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본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에 대한 온라인 토론의 과학교육적 함의: 광우병 사례를 중심으로

        송진웅 ( Jin Woong Song ),조헌국 ( Hun Koog Jho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0 No.8

        이 연구는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의 온라인 토론의 특징을 드러내고 이를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은 광우병과 관련된 과학적 주장 및 사회, 경제, 정치적 쟁점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며 텍스트의 독창성, 저자와 독자의 관계, 발화 목적에 따른 특징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온라인을 통한 사회적 논쟁의 대표적 사례인, 2008년 수입 쇠고기 논쟁을 중심으로 포털 사이트의 토론 게시판 66개의 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텍스트는 광우병과 관련된 5가지 과학적 논쟁 - 광우병의 발병원인, 변형 프리온의 검출 위치, 변형 프리온 섭취량과 인간 광우병의 발병 관계, 광우병에 대한 한국인의 유전적 취약 여부, 치매환자 증가와 광우병 사이의 상관관계 - 을 담고 있었다. 각 주장은 국내 소고기 시장의 파급 효과, 수입소 위생 및 사육환경, 무역 보복 가능성 등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문제가 얽혀 있었다. 독창성의 관점에서 텍스트는 짜깁기와 ‘펌’, 독자에 의한 간섭을 통해 저자의 권한이 약화되고 집단적 특징의 글쓰기를 보여주었다. 나아가 저자와 독자 간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 저자의 정체성이나 개인적인 이야기들이 텍스트 속에 소개되었다. 발화 목적의 관점에서는 체계적인 논리와 정보의 전달보다는 감정 표현이나 행동의 변화가 중심이 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feature a socio-scientific issue debated on the Internet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rom a postmodernist perspective. This study concentrates on disentanglement of the relation to society, economy, politics and science and characterization of the given text centering on its origin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er and reader, and the purpose of utterance. Sixty-six most read articles on a web message board were chosen and analyzed as a typical case of a socio-scientific issue in the internet. In them, five scientific disputes were identified: the cause of mad cow disease (MCD), specified risk material and the incubation period, the cause of new variant Creutzfeld-Jakob disease (vCJD), vulnerability of vCJD and the relation of Alzheimer and vCJD in American patients. Each argument is intertwined with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problems such as its impact on the domestic beef market, feeding environment of imported cattle and the retaliation against denial of importation. With regard to originality, it is found that the originality of an author is weakened but communal through repetitive quotation of `Peom`, cutting and pasting, and engagement of readers with their comments. Furthermore, in order to close the gap between writer and reader, identity and personal narrative of the writers are often introduced into their writing. In terms of purpose of utterance, these are intended to deliver one`s feelings or facilitate human behavior rather than inform through verification of a principle.

      • KCI등재

        1930 - 50 년대 영국의 `과학시민의식` 운동과 L . Hogben 의 Science for the Citizen

        송진웅(Jin Woong Song) 한국과학교육학회 200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1 No.2

        In this study, the contexts and values of the movement called `Science and Citizenship` during the 1930-50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chool science education in Britain and to the current STS movement in school science. A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activities and ideas of a then eminent biologist, Lancelot Hogben(1895-1975) who published a textbook-like science book, called 「Science for the Citizen」(1938).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re was a growing realization that British education system needed to be changed in order to provide school science teaching to a wider audience with more emphasis on the relevance, industrial and humanistic aspects of science. This was echoed by a lecture series called `Science and Citizenship` which was reported in the School Science Review, then the only nationwide professional journal for science educators and by a group of professional scientists who had socialist ideas toward society. Hogben was one of the key member of the group and delivered the second lecture of `Science and Citizenship`, titled Biological Instruction and education for Citizenship. Hogben`s main idea, illustrated in this lecture as well as in 「Science for the Citizen」, was that science education should be a way of teaching citizen for promoting democratic society and to achieve that science need to be taught in more integrated, utilitarian and humanistic manners, for example by showing the usefulness, relevance, historical and democratic aspects of science. In addition, a summary of his own life and activities, the social background and socialist scientists of the time, and comparisons between `Science and Citizenship` movement and the General Science movement in the UK as well as the progressive science education in the USA, and the STS education movement in 1980s are discussed.

      • KCI등재

        한 초등 경력교사의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교수지향과 PCK 요소들 사이의 관련성 탐색 -물체의 운동과 빛과 렌즈 단원을 중심으로-

        신채연,송진웅,Shin, Chaeyeon,Song, Jinwoong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2

        이 연구는 초등 과학교과 전담을 맡고 있는 한 경력 교사의 과학교수지향(sceience teaching orientation)의 특징과 과학 교수지향이 다른 PCK 요소들과 어떤 관련이 맺고 있는지를 탐색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Magnusson, Krajcik, & Borko(1999)의 PCK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특히 과학 교수지향과 관련하여 Friedrichsen, Driel, & Abell(2011)의 정의를 이용하였다. 과학수업에 전문성이 있다고 인정받는 한 명의 초등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그의 과학수업 21차시를 관찰하였다(물체의 운동 단원 10차시, 빛과 렌즈 단원 11차시). 교사 면담과 참여 교사의 PCK를 명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CoRe(content representation) 응답지를 수집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먼저 사전 면담 자료를 통해 참여 교사의 과학 교수지향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Friedrichsen, Driel, & Abell(2011)이 제안한 과학 교수지향의 세 측면(과학 교수의 목적과 목표에 관한 신념, 과학의 본성에 관한 신념, 과학 교수학습에 관한 신념)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어구를 찾고, 이를 상위 범주로 분류하여 이에 이름을 붙이는 범주화 작업을 하였다. 과학 교수지향을 제외한 다른 PCK 요소들의 특징은 CoRe 응답지와 수업 관찰 자료를 Magnusson, Krajcik, & Borko 1999)의 PCK 모델에 따라 연역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교수지향의 세 측면과 관련하여 그는 각각 '과학과 일상생활과의 관계와 과학 개념의 습득', '앎에 이르는 방법으로서의 과학', '학생 중심수업'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세 측면은 다중적이고 복합적으로 얽혀 있었으나 '과학 탐구'라는 하나의 과학 교수지향으로 수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가 다른 PCK 요소의 선정과 조직에 관련하여 의사결정을 내릴 때 더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신념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과학수업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고 인정받는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지향의 특징, 과학 교수지향과 다른 PCK 요소들과의 관련성을 탐색한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실천을 이해하는데 있어 과학 교수지향의 역할과 의미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features of science teaching orientation (STO) and its relationships with other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mponents. To do this, based on the definition of STO by Friedrichsen, Driel, & Abell(2011) and PCK model by Magnusson, Krajcik, & Borko(1999), we observed one experienced elementary teacher's science lessons for 21 lesson hours (10 hours of 'Motion of Objects' and 11 hours of 'Light and Lens') and carried out qualitative analyses of the data obtained from lessons observation, teacher interviews, and CoRe (content representation) responses. We analyzed the teacher's three aspects of STO (i.e. beliefs about the goals and purpose of science teaching,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nd beliefs abou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which can converge into an overall STO of 'inquiry'. And these aspects of STO appear to interact differently with four PCK components (i.e. curriculum knowledge, learner knowledge, instructional knowledge, and assessment knowledge) depending on the topic of the lesson. It is hoped that thi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STO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PCK components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how to monitor and improve STO and PCK of elementary teachers.

      • KCI등재

        '지혜'의 개념과 과학교사들의 '지혜'에 대한 인식

        임인숙,송진웅,Lim, Insook,Song, Jinwoong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지식 기반사회이자 스마트 시대에 접어든 오늘날, '지혜로서의 과학'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는 과학교육에서 새로운 접근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교육의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교육적 대안으로서 '지혜'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먼저 철학, 심리학, 교육학에서의 지혜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혜개념의 4가지 영역과 20개의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식조사 설문지를 제작하여 세 집단(예비 과학교사, 과학교사, 타교과 교사)의 지혜 개념 인식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들이 속해 있는 지혜의 4가지 영역별 평균을 낸 결과, 세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실제적, 지능적, 정신적, 대인적 영역의 순서대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둘째, 20개의 문항 각각에 대해 평균을 낸 결과,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문항은 '무엇이 중요한 문제인지 잘 포착한다.(문항5)'였다. 셋째, '주변의 지혜로운 사람'의 특징을 묻는 개방형 질문에 대해서는 실제적 영역 다음으로 대인적 영역에 해당하는 응답이 많이 기술되어 첫 번째 연구결과와 대조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응답자의 80% 정도가 학교교육을 통해 지혜가 길러질 수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방법으로 교과지식 위주의 학습적 측면과 교과지식 외의 활동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과학 과목에 등장하는 핵심 개념들 중에서 '지혜'라는 말을 듣고 떠오르는 개념과 그 이유를 적게 한 개방형 문항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유형-(1) 해당 개념을 이해하거나 적용하는 데 지혜가 요구됨 (2) 해당개념의 의미에 지혜의 요소가 포함됨 (3) 해당 개념을 만든 사람 또는 만든 과정이 지혜로움 (4) 지혜 계발에 도움이 되는 과학관련 활동 또는 역량-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part of our research project that considers 'Science as Wisdom (SaW)' as a new approach to science education. We presented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wisdom from relevant areas as philosophy, psychology and education, and drew a few educational meanings. We also conducted a survey of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wisdom to obtain implications for a follow-up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service science teachers, and teachers of other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ree groups of participants perceive 'practical' domain of wisdom as most important while 'interpersonal' domain was perceived as least important. Second, all three groups of participants perceive that 'to catch what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is the most important among 20 elements of wisdom. Third, when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e 'wise people around them', the interpersonal domain followed as the second most frequent response after the 'practical' domain, which was in contrast to our first finding above. Fourth, about 80% of all participants answered that wisdom can be cultivated through school education. Finally, answers to the question asking the scientific concepts related to wisdom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s follows: (1) the wisdom required to understand and apply scientific knowledge, (2) the wisdom included in the meaning of scientific knowledge, (3) the wisdom needed to discover scientific knowledge, (4) the wisdom that can be developed through scientific activities.

      • KCI등재

        열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의 특징 - 발현의 맥락 및 논리적 사고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박준형 ( Joonhyeong Park ),송진웅 ( Jinwoong S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열 현상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의 특징을 `발현의 맥락`과 `직관적사고와 논리적 사고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 9명에게 열 현상과 관련된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를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설명 기저에 있는 사고의 맥락을 총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임상면담 기법을 활용하여 학생의 사고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관적 사고의 특징을 `발현 과정의 특징`과 `발현의 촉진` 측면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직관적 사고의 발현 과정에서 학생들은 직관적 사고를 통해 해결방법을 먼저 떠올리고 논리적으로 해결방법을 정당화하였으며, 문제 상황과 관련된 구체물과 추상적개념을 직관적으로 연결 짓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충분하지 않은 정보 속에서 직관적인 예감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갔다. 둘째, 직관적 사고는 의도적인 사고 전략을 통해 발현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전략으로 그림으로 그려보기, 다른 관점이나 반대로 생각해 보기, 방법을 통합하기가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직관적 사고에 대한 본 연구결과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하였던 학생들의 직관적 사고를 드러내어 탐색하고,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겠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문제해결 상황에서의 과학학습에서 나타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elementary students` intuitive thinking emerged during problem solving activities as it related to thermal phenomena, focusing on when intuitive thinking appears and how it is related to logical thinking. For this, we presented a problem related to thermal phenomena to nine 5th-grade students, and examined how students` thinking emerged in the activities. We conducted clinical interviews to investigate the thinking process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made their own solutions and justified it later during the emergence process of intuitive thinking.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connected concrete materials and abstract concepts intuitively. They solved the problem by making predictions even when information is insufficient. Second, it was shown that intuitive thinking can emerge through the intended strategies such as drawing a mental image, think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nd integrating methods. These results, which are related to the students` intuitive thinking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and will be the basis for helping students in the context of discovery of their problem solving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