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부 실습 비교과프로그램이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전공효능감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나리,김대훈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5

        본 연구에서는 해부 실습 비교과프로그램이 의료보건계열 학생의 전공효능감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도구는 전공효능감 조사와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전공효능감 조사는 해부학 실습 참여 전-후 향상도, 해부학 그림 참여 전-후 향상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비교과프로그램 종료 후 해부학 실습과 해부학 그림 간 만족도조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그룹간 비교 분석 결과, 전공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프로그램 진행 전보다 후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만족도의 경우 해부학 실습 그룹의 만족도가 해부학 그림 그룹의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해부 실습 비교과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해부학 그림 작성 보다 해부학 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전공효능감과 만족도 점수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초임교사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능력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송나리,권정윤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교사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능력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하여 문헌연구, 요구 조사, 프로그램 시안 구성 및 검토의 단계를 거쳐 최종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 내용 및 조직, 교수-학습 방법 및 절차, 평가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초임교사 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4년 8월 27일부터 2015년 2월 12일까지 총 12회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또한 면담, 참여관찰, 초임교사 저널, 현장노트, 연구자저널, 교사교육 후 실시된 토의 내용 분석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본 교사교육에 참여한 초임교사들의 질적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임교사들은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인식, 유아 문제행동 지도 방법, 심리적인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송나리(Naree Song),조덕주(Dukjo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각 대학에서 비교과교육과정을 운영할 때,대 학의 특성을 반영하여 체계적으로 비교과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는 것에 있다. 방법 연구 방법의 절차는 연구 기획, 문헌 연구, 모형 개발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기획 단계는 Taba(1962)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토대로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을 기획하였으며, 문헌 연구 단계는 비교과, 비교과활동, 비교과교육과정등과 관련된 선행 연구, 교육과정개발 모형, 모형 연구,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단행본, 연구 논문 등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모형 개발 단계는 교육과정의 근간인 교육과정 모형, 교육과정 개발 모형 등을 바탕으로 시사점 추출하였으며, 교육과정 전문가의 타당성 검토를 거쳐 모형을 확정하였다. 결과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은 총 4단계로 설정되었으며, 각 단계는 1.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제안 및 기획, 2.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계획, 3.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실행 및 운영, 4.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평가 및 환류로 구성하였다. 각 단계를 다시 하위 5가지 세부 영역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는 각각 ①주체, ②시기, ③토대, ④방법, ⑤모형으로 구성하였다. 결론 비교과교육과정의 설치 및 운영의 이유는 핵심역량을 지닌, 대학과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으로서, 앞으로 대학에서 비교과교육과정은 전공이나 교양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단계와 절차에 따라 개발 및 운영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universities systemically develop and operate extracurricular curriculum that can reflect their own characteristics, through research on a development and management model for extracurricular curriculum activities. Methods The steps of research were progressed with three stages: research planning, literature review and the model development. Based on the Taba’s(1962)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e research planning stage planned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model of the university. The literature research stage collected and analyzed the extracurricular, extracurricular activities, extracurricular curriculum which were related to the pilot study,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model research, curriculum development the research paper and also were related to the books and research papers. The model development stage based on the curriculum model and the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which are the foundation of curriculum brought out the implication and the model was confirmed after a feasibility study by a expert of curriculum. Results The management and development model for extracurricular curriculums consists of four stages: 1. Drafting a proposal and planning of university extracurricular curriculums; 2. crafting detailed plans for each extracurricular curriculum activity; 3. executing and operating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activities; and 4. evaluating and assessing university extracurricular curriculums. Each stage is comprised of five different sub-categories, such as ① subject, ② period, ③ foundation, ④ method, and ⑤ model. Conclusions The reason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is to instill students with the university’s core values and help them become competent members of society and the university. Therefore, the university extracurricular curriculum must be develop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stages and procedures as in the required and elective curriculum.

      • KCI등재

        초임교사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능력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송나리 ( Song Na Ri ),권정윤 ( Kwon Jeong Yo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교사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능력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하여 문헌연구, 요구 조사, 프로그램 시안 구성 및 검토의 단계를 거쳐 최종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 내용 및 조직, 교수-학습 방법 및 절차, 평가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초임교사 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4년 8월 27일부터 2015년 2월 12일까지 총 12회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또한 면담, 참여관찰, 초임교사 저널, 현장노트, 연구자 저널, 교사교육 후 실시된 토의 내용분석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본 교사교육에 참여한 초임교사들의 질적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임교사들은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인식, 유아 문제행동 지도 방법, 심리적인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reinforcing newly appointed teachers` ability to guid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to examine the program effects on these teachers. A final program was developed for organizing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reinforcing newly appointed teachers` ability to guid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rough the process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requirements, the organization of a program draft proposal, and the expert consultation, etc. Teacher training program were established as follows: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targets and purposes,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methods, evaluation. In order to look into application effects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reinforcing six newly appointed teachers` ability to guid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eacher training was performed a total of twelve times from August 27 in 2014 to February 12, 2015. In addition, the process of qualitative changes of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eacher training by collecting data of face-to-face talks, participant observation, reflective journals, field notes, researcher journals, analyzed discussion details, etc. Consequently,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indicated that newly appointed teachers experienced awareness towar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methods of guid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psychological changes.

      • KCI등재

        은유 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연구

        송나리 ( Nari Song ),강보라 ( Bora Kang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은유 분석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은유로 표현하여 분석하였다. 2021년 11월 22일부터 12월 10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분석된 은유 표현은 133개였다. 이를 체계적 은유 분석 단계를 적용하여 범주화하고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 내용: 이 논문은 ‘평가의 목적’, ‘평가의 특징’, ‘평가의 어려움’의 3개 범주와 7개의 개념으로 분석되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경우 ‘평가의 목적’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평가의 특징’, ‘평가의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평가에 대해 다양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교사양성과정에서의 유아 평가 관련 교과목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evaluations through their metaphor analysis. The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the metaphors of the evaluations among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a university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was collected with an online questionnaire from Nov. 22-Dec. 10, 2021. A total of 133 metaphor expression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se expression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systematic steps of a metaphor analysis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obtained. The research content included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with seven concepts: goals of an evaluation, characteristics of an evaluation, and difficulties of an evaluation.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the highest perception of goals of an evaluation, which was followed by characteristics of an evaluation and difficulties of an evaluation, in that order.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various perceptions about evaluation, discuss the directions of subject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young children in the training course of teachers.

      • KCI등재

        유야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송나리 ( Na Ri Song ),권정윤 ( Jeong Yoon Kw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초임교사들이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경험과 요구는 어떠한지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초임교사들이 겪는 문제행동 지도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문제행동 지도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10명의 초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초임교사들이 유아를 지도하는 방법과 지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및 요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임교사들은 신호주기나 가벼운 주의주기, 이야기 나누기 활동과 이야기 및 동화 들려주기, 대화하기, 부모 및 동료교사와 협력하기, 타임이웃이나 칭찬 스티커, 단호하게 이야기 하거나 화내기, 위협하기 등의 지도방법을 사용하였다. 둘째, 초임교사들은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하면서 교사 개인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부모와의 관계, 환경 및 기관의 영향을 받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임교사들은 유아 문제행동 지도를 위하여 환경적 및 심리적인 지원을 원하고 있었으며, 효과적인 문제행동지도를 위해 예비교사교육의 강화, 연수 프로그램 및 전문가와의 협력, 경력교사와의 멘토링, 부모교육의 강화를 원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newly qualified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and needs regard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in order to get effective teaching and guiding methods and teaching improve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have worked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Korea? The researchers conducted in depth interviews and gathered the data. This study found that firstly, the newly qualified teachers applied the giving attention to the children, circle time discussion and using story books which is about relevant behavior problems, 1: 1 interaction, co-work with family and co-teachers, using time-out, using positive reinforcement, giving a warning being assertive, or threatening loosing teachers` temper on children`s behavior. Secondly, the newly qualified teachers had difficulties for teach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 difficulties were due to the teachers` psychological matters, the difficult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of the children, and the working environments. Lastly, the newly qualified teachers` wanted psychological and physical supports, intensified pre-service teacher training regarding the guidance for children`s behavior problems,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s, developing a mentoring program, and intensified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dealing with children`s behavior problems.

      • KCI우수등재

        외동이의 사회적 능력 및 인지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송나리(Na Lee Song),박성연(Seong Yeon Park) 한국아동학회 1993 아동학회지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ocial and cognitive competence of the only children in comparison with children with siblings. The sample consisted of 360 children from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2nd and 5th grade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Seoul.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s on social and cognitive competenc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ifferences in social and cognitive competence between only children and sibling children varied by age of the child.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by sex in social competence and cognitive competence among both only children and sibling children. (3) The voluntariness of fertility outcomes was not related either to the social or cognitive competence of only children for each age group.

      • KCI등재

        시각이미지 분석을 통한 그래픽 T-shirts 활성화 방안 연구 및 제안

        지성(Ji Sung Song),나리(Na Ri J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금융위기의 영향 하에서 정부가 중국 경제의 기반인내수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내수시장에 발 벗고 나서면서 중국은 세계 최대의 생산 기지인 동시에 세계 최대의 소비 시장으로서의 입지를 굳혀가고 있다. 경제 성장과 더불어 중국인들의 패션의식에도 변화가 일어나면서 의류 구매 시 가격보다는 품질을 중시하고 자신의 개성에 맞는 브랜드 제품을 추구함에 따라 글로벌브랜드들의 중국의 패션내수 시장공략이 활성화되고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 패션 기업들의 중국 시장 진출도 소싱기지 개척의 목적을 기점으로 활발하게진행되었으나 중국인들의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도 불구하고 성공률이 10%미만으로 추정되면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본 논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내수 시장에 진출 계획이 있거나 진출 중인 한국 패션기업에 중국 상해의 스트리트 패션과 패션 시장 분석을 통한 선호 패션 그래픽 모티브와 기법을 제시함으로써 현재 중국 패션 시장에 대한 지역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 하였는데, 실증적 연구에서는 중국 패션도시이자 경제중심 도시인상해를 선정하여 중요 패션 거리에서 2011년 S/S 시즌 현지 촬영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 판독이 용이한 20∼30대 성인 여성의 사진 3000장의 유형을 분류,분석 하였다. 상해의 5곳의 장소의 사진을 분석한 결과 티셔츠의 시각 요소 중 가장 높은 빈도의 모티브는 타이포, 캐릭터, 감성형 심플 도형 순위였고 기법요소로는 스팽글, 핫픽스, 큐빅등의 소재를 활용한 기법이 가장 높은빈도를 차지 하였다. 다음으로는 나염과 실사이미지를 활용한 그래픽의 선호도가 높게 나왔다. 분석결과 20-30대 중국 여성의 패션 그래픽 모티브 선호 유형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의 원리를 바탕으로 현지중국내의 브랜드에 적용을 제안해 보았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 고객의 선호도와 발빠른시장 트렌드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추후 지속적인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다면 빠르게 급변하고 예측하기 힘든 현대의 소비자들의 패션 트렌드를 빠르고 더 정확히 예측 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Under the influence of a financial crisis, as the government has taken measures in order to vitalize a domestic market whose base is the Chinese economy. Therefore, China is consolidating itself as both the world`s largest production base and consumption market. Along with its economic growth, a change in Chinese people`s awareness of fashion has taken place, thereby emphasizing quality over price upon purchasing clothes, while pursuing brand clothes tailored to their own taste. This, in turn, has allowed global brand makers to actively advance into China`s fashion market. Since the late 1990s, Korean fashion companies have also actively advanced into the Chinese market with an aim to establish sourcing bases, however they are struggling in the market with only 10% of a success rate despite Chinese people`s positive image o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regional data on the current Chinese fashion market to Korean companies that plan to advance into Shanghai, China or that are already stationed in the city by suggesting a preferred fashion graphic motive and technique through analyses on Shanghai`s street fashion and the city`s fashion market. A study method combines both a literature study and an empirical study.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in Shanghai, China`s city of fashion and of economy by filming the city`s major fashion streets with a theme of 2011 S/S season. As a result, 3,000 pictures of adult female in their 20s to the 30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pictures of five places in Shanghai, the most frequent motives for a t-shirt`s visual factors are typo, character, and sentimental simple figures in order. As for technique factors, techniques using spangle, hotpix, and cubic were most frequent in order. Next, preferences for graphics that employ textile printing and real images were hig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were able to understand a preferred type of a graphic motive for Chinese women in their 20s to the 3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