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율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성소연,배성아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진로결정 자율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충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4곳 364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측정변인인 진로결정 자율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목표설정, 문제해결요인과 진로적응성의 진로호기심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진로결정 자율성의 경우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이들간의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에 직접적 효과를 보였으며, 변인간의 직․간접적 효과와 총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경유함으로써 그 영향력이 더욱 증가하는 비교적 양호한 모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및 적응에 있어 동기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학습자의 동기를 촉진시키기 위한 진로교육의 중요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Through a survey, We collected data from 361 students. As the results, first,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one another. Second, most subcategori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showed difference among grades, bu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did no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from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Through the direct and indirect and total effects among the factors, the mediation rol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were confirmed. These results indicated the significant role of career motivation on college students’career development. And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motivating students comes first in care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Toward an Approach of Gifted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성소연,한윤영,송인섭,이정규,육진경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It has been determined that gift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ace a variety ofproblems especially emotional ones stemming from the inability to adapt to culturaldifferences as well as the different type of backgrounds their parents face in everyday life. There is a critical need to give a considerable amount of attention both now and in thefuture regarding this issue. A different and more innovative approach is required in order to apply the theory ofbasic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me ways to consider thisinclude focusing on specific curriculum construction, prevention of wrong identification,and additional development of programs designed to meet the needs and pace Furthermore,a special and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his or her students is needed. It isthe hope that in the future, research for multicultural gifted children will develop andcontinue to be an integral part of the education process.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적 환경 및 창의적 리더십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

        성소연,최보라 한국영재교육학회 2018 영재와 영재교육 Vol.16 No.4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창의적 환경, 창의적 리더십 그리고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및 이론에 근거하여 창의적 환경은 외생변인으로, 창의적 리더십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내생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대상은 서울과 충청도에 소재한 대학교 학생 240명이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창의적 가정환경 수준이 높을수록 창의적 문제해결력(정의적‧인지적 문제해결력, 지식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 학교환경 수준이 높을수록 정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환경과 창의적 리더십 그리고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환경은 창의적 리더십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할 수 있는 관련 제반요인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긍정심리자본,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연구

        성소연(Sung, So-Yeon),김은영(Kim, E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을 선정하고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 충청도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64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관련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외생변인으로서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내생변인으로서 긍정심리자본과 대학생활적응 변인을 선정하고, 설정한 구조모형 검증을 위해  검증 실시 및 적합도 지수(CFI, TLI, RMSEA)를 산출하였다. 최종모형의 인과관계파악을 위해 SPSS 25.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변인 간의 경로계수를 구하였다. 결과 첫째, 세 개 변인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긍정심리자본과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세 변인 간의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양호한 수준의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의 직⋅간접효과 분석 결과,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나, 긍정심리자본을 경유하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긍정심리자본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이는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긍정심리 기반 프로그램 개발의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401 studen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llege life adjus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one another. Second,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the three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l is statistically good. Third, an analysis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and positive psy chological capital affecting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that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has a di rect nega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bu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mediator between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nd it suggested the intervention as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successful college life adjustment.

      • KCI등재

        대학환경 및 개인특성 요인이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소연(Sung So Yeon),배성아(Bae Sung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대학특성 및 개인특성 요인이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년 4월부터 6월까지 서울, 경기, 충남지역 소재 4년제 대학교 3곳에서 재학생 282명(남 161명, 여 12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환경 및 개인특성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교수 및 교육성과 요인과 신경증, 성실성 및 적극성 요인이 대학생활적응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환경 및 개인특성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대학환경에서는 교수와 대학의 교육여건 및 교육성과가, 개인특성에서는 신경증과 성실성 요인이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환경 중에서 ‘대학의 행정체제’ 요인은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수준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환경과 개인특성은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 제고뿐만 아니라 진로결정수준 향상에도 유의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진로결정수준보다는 대학생활적응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대학은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이 진로결정에 선행하는 이슈임을 인지하고 지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environment, personality traits, college students’ adjust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sample for this study is 282 college students(male: 161, female: 121) from three universities in Seoul, Kyung-gi province, and Chung-chung province in Kore from April to June in 2015. The conclusions that resulted from data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of college environment and personality trait o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Especially, professor and educational outcomes factors of college environment and neuroticism,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openness to experience factors of personality traits are more related to college students’ adjustment.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of college environment and personality trait on career decision level. In detail, educational condi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factors of college environment and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factors of personality traits are more related to career decision level. But, educational administration factor does not have an effect both o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In sum, this study indicates that college environment and personal traits influence both o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y affect more o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han career decision level.

      • KCI등재

        대학 교수자를 위한 교수역량자가진단도구 개발

        성소연(Sung, Soyeon),박혜영(Park, Hyeyo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4

        본 연구는 대학 교수자들의 교수역량을 스스로 평가하고 점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교수자 136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 실시 후 내적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문항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284명의 교수자 대상으로 한 본조사를 통해 문항의 신뢰도 및 구인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교수자 배경변인 간의 차이 분석을 하였다. 최종적으로 기본역량(열정적 태도, 다양성 존중, 입체적 사고) 12문항, 강의역량(전문적 교과지식, 강의개발, 강의운영, 상호작용) 18문항으로 구성된 전체 30 문항의 교수역량자가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교수자의 직급과 재직기간에 따른 교수역량을 살펴본 결과, 조교수와 부교수의 교수역량이 교수보다 더 높고, 신임 교수자가 21년 이상 재직한 교수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역량자가진단도구는 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세부적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교수자가 자기인식에 기반하여 강의를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ools that can self-evaluate and check the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professor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preliminary surveys were conducted on 136 professors, then the final questionnaire was completed through internal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urvey of 284 professors was conducted,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inal questionnaire were verified. In addition,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professor background variables were analyzed. Finally, self-lecture diagnostic tool was developed with a total of 30 questions, consisting of 12 in basic competency (passionate attitude, respect for diversity, multi-dimensional thinking) and 18 in lecture competency (professional knowledge, lecture development, lecture operation, interaction with studen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eaching competency according to the professors’ potions and length of service, the teaching competency of assistant professors and associate professors was higher than that of professors, and that of professors with 0-3 years of service was higher than that of professors over 21 years. The self-diagnosis tool for teaching competency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nables detailed diagnosis of the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professors to respond based on self-awareness to check and improve lectures.

      • KCI등재

        초등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 개발

        성소연(So Yeon Sung),성은현(Eun Hyun S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뤄지는 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 창의성 교육을 하는데 필요한 수업 요소들(학생의 특성에 대한 고려, 교사의 전문성, 학생중심교수학습방법, 인적·물적 자원의 활용)과 창의성 교육요소들(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개방성, 도전/호기심)을 문헌분석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한 후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초등학생 226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평가할 수 있는 수업요소 12문항과 창의성교육요소 24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가 입증되었으며 공인타당도도 확보하였다. 이 도구는 수업요소와 창의성교육요소를 구분하여 측정했기 때문에 보다 분석적이고 구체적인 진단을 가능하게 했다는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좋은 수업과 창의성 교육이 긴밀한 연관이 있다는 것과, 창의인성학교가 일반학교보다 창의성 교육과 학생주도적 교수학습을 잘 실천하고 있음을 확인하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student’s assessment of creativity education in an elementary classroom based on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found four components -consideration of students’ traits, speciality of teachers,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ersonal and physical resources- as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five components(divergent thinking, convergent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openness, curiosity) as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main survey was administrated to 226 students, and we developed 12 items for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24 items for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We confirmed also convergent validity with Beghetto, Kaufman, Baxter’s creative self-efficacy test and Kaufman’s Kaufman-Domains of Creativity Scale: K-DOCS. The distinctive point of this assessment is that we analysed more precisely based on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found it significant that creativity-personality model school focuses more on the creativity education and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than general school.

      • KCI등재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배성아,성소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9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4월부터 6월까지 서울과 경기, 충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3곳에서 수합한 401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학년에 따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문제해결 하위요인과 진로준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서는 차이가 나타났고, 셀프리더십의 모든 하위요인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변인들 사이의 가설적 모형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효과를 보이는 비교적 양호한 모델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셀프리더십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경유함으로써 그 영향력이 더욱 증가하는 매개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 발달에서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주는 것이며, 대학이 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병행한 진로교육을 할 때 보다 좋은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자기결정동기 유형에 따른 부모의 자율성지지 환경, 기본심리욕구, 자기결정동기, 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은영,성소연,최명구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the structural relation model among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environment, basic psychological need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engagement,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ype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o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parental autonomy support environment, basic needs, and engagement. The correlation of motiv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showed differently according to type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at is, positive correlation to identified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negative correlation to a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 to introjected motivation. Second, three-type's models were examined by SEM. Three models showed that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environmen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engagement, mediating basic needs and motivation. Introjected motivation model was found that environ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engagement, and basic needs have a negative effect on motivation, finally this motivation influences engagement posi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educational application ideas to facilitate the internalization regarding students' degree of autonomy.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의 내면화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자율성지지 환경, 기본심리욕구, 자기결정동기와 몰입 간의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자기결정동기 유형에 따라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대전, 대구 소재 중, 고등학교 재학생 484명을 연구대상으로, PASW 18.0과 AMOS 19,0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 상관분석과 구조적 관계 분석을 위한 모형의 적합도 검증 및 직 ․ 간접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의 자율성지지 환경, 기본심리욕구, 몰입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결정동기와의 관계는 확인동기, 내적동기와는 정적 상관을, 외적동기, 무동기와는 부적 상관을, 내사동기와는 정적 또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결정동기 유형의 요인분석에 따라 자율동기 모형, 타율동기 모형, 내사동기 모형 3가지로 구분하여 구조적 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통적으로 자율성지지 환경은 기본심리욕구, 자기결정동기를 매개로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사동기 모형의 경우 자율성지지 환경으로부터 몰입에 미치는 효과는 정적인 반면, 기본심리욕구로부터 부적인 영향을 받으며, 결과적으로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라 내면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교육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