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부시 행정부 출범 이후 중국을 둘러싼 한미동맹의 안보딜레마

        서정경 ( Jung Kyung Seo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5 국방연구 Vol.48 No.2

        중국이 급속히 부상하는 가운데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수성과 한미간 각기 상이한 대 중국 위협 인식 및 안보 전략으로 인해, 한미 양국은 동맹의 안보딜레마(Alliance`s security dilemma)를 겪고 있다. 한국의 MD 체제 가입 문제,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화 문제, 한중 군사교류의 강화 문제, `협력적 자주국방’의 추진 문제 그리고 ‘동북아 균형자론’의 추진 문제를 각각 글렌 스나이더(Glenn H. Snyder)의 ‘동맹의 안보 딜레마 이론’에 적용한 분석 결과는 한국이 미중간 무력 분쟁에 연루(entrapment)될 위험을 줄이는 동시에 미국에게 방기(abandonment)될 위험을 피하기 위해 동맹에 관한 상대적 자율성을 증진시키고,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구도에서 차지하는 자신의 전략적 가치를 제고시키는 방안을 강구해야 함을 나타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orea-US Alliance`s Security Dilemma on China since the Bush administration`s inauguration. Because of the Korean peninsula`s particular geopolitical condition, and disparities of each Korea and US`s threat recognition and the security strategy on China, both Korea and US are in a Alliance` Security Dilemma now. This study examines the five issues of the Korea-America alliance`s "entrapment" and "abandonment" dilemmas; Korea`s participation in MD system, USFK`s seeking for "strategic flexibility", Korea`s pursuit of the military cooperation with China, Korea`s seeking for "the Cooperative Self-reliant Defense," and the "The Balancer in Northeast Asia" declared by President Roh. This study suggests the propositions for the Korea-US alliance. The core of the Korea-America alliance`s security dilemmas is that Korea should always find its appropriate status of the relations with the US when Korea makes an effort to decrease its possibility of entrapment in future US-China military dispute at Taiwan Strait, and when Korea seeks to avoid facing the risk of abandonment by US. It also shows that the relative autonomy of Korea during the political game with US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US, But the China factor makes Korea`s strategic value rise when US evaluate the strategic value of Korea.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 should concentrate on raising its strategic value and improving its relative autonomy, Only if it is that way, Korea could ensure the wider diplomatic room with continental countries under the background of stable Korea -US alliance.

      • KCI등재

        출산자녀수별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정연(Jeongyeon Seo),김한곤(HanGon Kim) 한국인구학회 2015 한국인구학 Vol.3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기혼여성의 현재 출산자녀수별로 집단을 구분지어 그들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이며, 이를 통해 출산지원정책에 대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체감효과를 개선하고, 기혼여성에게 아이를 낳고 싶은 욕구가 발현될 수 있도록 그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기혼여성의 인구학적 요인, 가족 가치관 요인, 돌봄 여건 요인, 정책적 요인 등을 도입하여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관한 통계적 모형을 설정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EM)의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무자녀 기혼여성의 경우, 연령이 적을수록, 부모됨가치가 높을수록, 비용부담이 적을수록, 노동 부담이 적을수록, 정책지지도가 높을수록 출산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자녀 기혼여성의 경우, 연령이 적을수록, 자녀가치가 높을수록, 비용부담이 적을수록, 수혜가능성이 높을수록 출산의지가 강할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자녀 기혼여성의 경우, 연령이 적을수록, 기혼여성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자녀가치가 높을수록 출산의지가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현재 한국사회의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보다는 기혼여성의 현재 출산자녀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혼여성의 기회비용에 대한 안정된 사회적 지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출산뿐만 아니라 양육에 대한 선택권이 존중되어야 하며, 양육의 선택권에는 아내만이 아니라 남편 역시 존중받을 수 있는 사회적·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즉 자녀출산과 양육에 대한 책임을 남편과 아내, 즉 부부의 공동책임으로 인식함으로써 사회 구성원 모두가 주된 양육자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을 조성하는 것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지를 높이는 데 가장 중요한 첫 걸음이 될 것 이다. His study aims to ver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married women to have a child by grouping married women based on the number of children.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improve the actual benefits of childbirth support policies, which still remain insignificant, and to develop measures to encourage married women to give birth. According to the above purpose, the statistical model for the intention of married women to have a child was developed and a multi-group analysis of SEM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rried childless women have a stronger intention to have a child when they are younger, have a higher value of being a parent, have lower cost burdens, have lower labor burdens, and support policies more strongly. Married women who have one child have a stronger intention to have a second child when they are younger, have a higher value of having a child, have lower cost burdens, and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receiving policy benefits. Married women who have two children have a stronger intention to have a third child when they are younger, have a higher income, and have a higher value of having a child. The above indicates that there is a need to take a selective approach to the intention of married women to have a child, based on the number of children they currently have while stable social support to cover the opportunity cost of married women is of the greatest importance. In addition, the choice of childcare as well as childbirth should be respected, and there is a need for so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respect the choice of childcare of not only married women but their spouses as wel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학교 내 건강 활동 프로그램이 비만아동의 대사성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효과

        서정기(Jeong Ki Seo) 한국체육교육학회 201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비만아동에게 학교 내 건강 활동 프로그램을 12주간 실시하여 신체조성, 대사성증후군 위험인자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C시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 비만아동 20명을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한 뒤 건강 활동 프로그램을 음악줄넘기와 행동수정요법을 병행하여 운영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후 피험자의 신체조성, 대사성 증후군 위험인자(허리둘레, 혈압, HDL-C, TG, Glucose)를 분석하였다. 측정항목에 대한 자료처리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했으며 two-way repeated ANOVA와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조성은 실험집단이 프로그램 실시 후 체중의 변화는 없었지만 체지방률과 BMI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대사성증후군 위험인자는 실험집단이 프로그램 실시 후 HDL-C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축기혈압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허리둘레, 이완기혈압, TG, Glucose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body composition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fter carrying out the Health Activity Program in school on female obese children for 12 weeks. The study included 20 female obese children who atten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 city, with 10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 Health Activity Program was coordinated with musical rope-skipping and the Habit Modifying Program. It analyzed the subjects` body composition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waist, blood pressure, HDL-C, Glucose, TG, before and after carrying out the program. Data processing on measurement items calculat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consisted of two-way repeated ANOVA and t-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body composition, the experimental group didn`t show a difference in weight but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body fat percentage and BMI. I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in HDL-C but decreased significantly in SBP after carrying out program and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aist, DBP, TG, and Glucose.

      • 일 대학병원 종합건강증진센터를 내원한 수진자의 대사증후군과 관련요인

        서정아 ( Jung A Seo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8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4 No.2

        본 연구는 G시의 한 대학병원에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방문한 수진자의 대사증후군과 관련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대사증후군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궁극적으로 대상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총 67명으로 남성은 55.2%, 여성은 44.8%, 연령대에서는 40대 이상이 68.7%, 음주자는 62.7%, 운동하는 사람은 25.4%를 나타냈다. 그에 따라 대사증후군 여부 분포를 살펴보면 남성은 37.8%, 여성은 16.7%, 40세 이상에서 34.8%, 음주자는 31.0%, 운동 안 한 자는 34.0%가 대사증후군을 가지고 있었고, 복부비만은 73.1%로 높았으며, 본 조사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8.4%로 이전에 국내에서 조사되었던 한국인에서의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1998년의 국민영양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성인의 경우 약 23.6% 정도에 달하며 남성의 경우는 22.1%, 여성은 27.8%, 2001년 24.1%보다 높게 나타났다. Park 등(2004)이 미국 제 2차 국민영양조사자료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미국인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자 22.8%, 여자 22.9%로 나타났고 남녀 간의 차이는 없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증가하는데 40대를 기점으로 건강관리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건강유지 증진하는데 노력이 필요하다. 대사증후군 여부에 따른 생화학적 검사의 평균치를 보면 ALT는 대사증후군에서는 41.42±32.82, GGT는 대사증후군 108.42±111.26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이에 따른 대사증후군 여부는 대사증후군에서는 41.42±32.82, GGT는 대사증후군 108.42±111.26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이에 따른 대사증후군 여부분포를 살펴보면 ALT 비정상에서 대사증후군 60.0%, GGT 비정상에서 대사증후군 53.3%이었고, 교차비에서도 ALT 비정상군이 3.8배와 GGT 비정상군이 3.2배로 높았다. 기존 연구 고혈압 혹은 당뇨병 발생에 있어서 혈청 GGT와 알코올 섭취 혹은혈청 GGT와 비만도 간의 교호작용을 보고한 바 있다. 즉, 음주량이 많을수록 혈청 GGT와 고혈압 발생 간의 관련성이 더 뚜렷하였으며, 비만도가 높을수록 혈청 GGT와 당뇨병 간의 관련성이 크며, 최근 서양에서는 비알콜성 지방간과 인슐린 저항성의연관성에 대한 몇몇 연구가 이루어졌고, 근래 우리나라에서도 비알콜성 지방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Kim, 2002).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간 효소 검사를 포함한 혈액검사가 보편화됨에 따라 간 효소치의 증가를 보이는 환자를 자주 접하게 된다. 이런 경우 바이러스 감염이 없고 음주력이 없는 환자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AFLD)으로 다른 간 질환과동반 되거나 단독으로 현재 유병률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나라나 중국, 일본 등지에서도 식습관의 변화로 인해 비만 인구가 증가됨에 따라 NAFLD의 인구가 증가 추세에 있으며, ALT의증가 유무는 진단적 검사를 시작하는데 중요하며 간수치의 증가와 동반하여 위험인자를 가진 경우 식이습관의 변화, 체중조절, 혈당의 확인 및 조절 등의 경험적 예방관리의 필요에 대한접근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관련성 있는 영향요인이 이전 연구와 일치성이 부족하지만 운동을 생활화하고 술과 담배를 줄이는 것이 대사증후군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흡연은 선행연구의 주요한 대사증후군의 예측변인이었다(Lym et al., 2003; Park et al., 2004). 적당한 알코올섭취는 비섭취군이나 다량의 음주군보다 HDL 콜레스테롤의 증가와 함께 심혈관질환 발생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 대사증후군이 운동한다보다 운동 안한다가 2.3배로 높게 나왔다. 비만한 사람이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체중을 줄이게 되면 신체의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될 뿐 아니라 이와 동반된 당뇨병이나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증상도 호전될 수 있다는 것이 연구 결과를 통해 증명된 바 있다. 하루 30분 정도 걷기(1주에 15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나 가벼운 조깅은 체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혈압 개선과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당뇨병 발생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다. 운동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복부를 중심으로 한 살빼기다. 운동은 NCEP-ATP III의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이며 심혈관질환과의 관련성이 높은 복부비만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또한 허리둘레를 줄이면 내장비만의 위험성도 감소하고 이에 따라 대사증후군에 걸릴 확률도 줄어들며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인슐린 감수성을 전반적으로 호전시키므로 규칙적인 운동을 병행함은 물론 음주의 관련성이 대사증후군과 의의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들이 대사증후군 발생빈도가 낮은 경향이었고,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대사증후군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바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현대인들은 운동을 필수적 요소로 적극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Metabolic syndrome (also known as insulin resistance syndrome) represents a constellation of hypertriglyceridemia, hypertension,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obesity. Presently,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metabolic syndromewas assessed in patients of a university hospital comprehensive medical examination center. Methods: Age, sex, blood pressure, height, weight, triglyceride leve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in 67 people(37 males and 30 females). These factors were correlated with tobacco use, alcohol consumption, and exercise habits. Metabolic syndrome and abdominal obesity were assessed according to NCEP-ATP III criteria and the Asia-Pacific guidelines(male obesity defined as a waist circumference exceeding 90 cm), respectively.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Respective percentages were: tobacco use (14.9% of the 67 people), no tobacco use (85.1%),alcohol consumption (62.7%), no alcohol consumption (37.3%), regular exercise (25.4%), no regular exercise (74.6%).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a gender-related odds ratio of 2.3 for metabolic syndrome and no exercise. Conclusions: Weight reduction and physical exercise may decreas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Early identifica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risk factor modification is prudent in cases of obesity, diabetes, hyperlipidemia, and hypertension.

      • KCI등재

        영남지역에 전승되는 <생전예수재> 연구 - 부산ㆍ마산ㆍ밀양의 의례절차 비교를 중심으로 -

        서정매 ( Seo Jeong-ma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0

        본 연구는 현재 영남지역에서 불교의식이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는 부산, 마산, 밀양의 세 지역을 중심으로 생전예수재 절차의 전개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며 전승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 내용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에서의 예수재 의식문으로는 『범어사어산집』(1700), 『결전기』(1926)ㆍ『예수문』(1942)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의식집으로는 부산 최초의 무형문화재 보유자였던 용운의 은법스승이자 소리스승인 대산(大山)이 편찬한 『예수문』이다. 『예수문』은 총 35편의 절차로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를 저본으로 하고 있되, 절차가 좀 더 추가된 『석문의범』과 마찬가지로 총 35편으로 이루어져있지만, 중단영청, 마구단청과 고사단권공, 마구단권공이 따로 제시되어있는 점이 다르다. 즉 『예수문』은 전국적으로 통용되는 『석문의범』의 것을 따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분명한 부산지역만의 지역적 특색을 지닌다. 둘째, 1928년에 어장 일봉화상이 육필로 작성한 『결전기』는 식전의식과 본의식, 부록이 각각 수록되어있으며, 기존에 없던 목차를 새롭게 추가하여 기존의 의례서에서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특히 식전의식은 현왕청, 가람단, 풍백우사단, 용왕청, 결단분위, 조명전의식, 금은전이운까지로 명시되어 있고, 본의식은 영산작법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적어도 1900년대 초반의 예수작법의식은 통서인유가 아닌 영산작법부터로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범음집인 『범어사어산집』(1700)은 총 11개의 의식문이 수록되어있고, 그중 <예수작법절차>는 9번째로 책 후반에 수록되어있다. 이로 인해 책 후반부에서는 앞에서 중복되는 절차는 대부분 협주로 간략히 되어있고, 심지어 통서인유편, 엄정팔방편, 사자단권공 등과 같은 본의식 조차도 협주로 제목만 제시되어있다. 결국 『범어사어산집』에 수록된 <예수작법절차>는 약례에 해당된다. 그리고 의식절차가 작은 글씨로 띄어쓰기가 없이 빽빽하게 기록되어있는 부분이 많아서 의식서로 사용하기에는 편리성이 떨어져 보이는데, 이는 마치 지선의 『오종범음집』(1661)과도 매우 닮았다. 간행연대의 차이도 39년으로, 두 의례집은 매우 근접한 시기이므로 『범어사어산집』은 『오종범음집』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넷째, 마산지역의 의례서로는 <불모산영산재>에서 간행한 『예수재어산집』(2011)을 손꼽을 수 있다. 식전의식으로는 외대령, 삼신이운(괘불이운), 관욕, 조전점안, 건회소, 영산작법이 수록되어있고, 본의식은 통서인유에서부터 보신회향까지 전체적으로 『석문의범』과 절차가 거의 비슷하다. 다만, 경신봉송, 화재수용, 봉송명부와 같은 기존의 순서가 경신봉송, 봉송명부, 화재수용의 순으로 되어있고 삼회향이 마지막을 장식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특히 부록에 수록된 예수재물욕은 매우 상세하고 구체적이며, 각 소는 절차의 순서에 따라 수록되었고 『석문의범』처럼 한자(漢字) 옆에 한글로 음이 표기되어있다. 이런 편리성으로 인해 마산을 비롯한 경남 일대의 범패승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의례서로 활용되고 있다. 다섯째, 밀양의 작약산예수재는 본의식은 『석문의범』과 거의 같으나, 다만 새벽 3시에 새벽예불을 시작으로 식전의식이 시작되고 본의식은 오후 3시에 통서인유편을 시작으로 하여 다음날 새벽에 회향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 상단과 중단 성현을 청해 모시는 의식을 야외에 따로 마련한 영청소로 이동해서 행하고, 성현을 청한 이후에 같은 장소에서 관욕의식을 이어가고, 그 다음에는 시련을 통해 성현을 법 도량으로 모시는 점이 주목된다. 현재 한국불교에서 예수재의 봉행 시간은 대부분 오전에는 식전의식을 행하고 오후부터 본의식을 진행하여 오후에 마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밀양의 경우에는 반드시 1박 2일로 설행한다. 이러한 특징은 견기이작에 의한 절차의 생략이나 누락 없이 전통을 제대로 계승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간주된다. 여섯째, 부산ㆍ마산ㆍ밀양은 생전예수재에서 본의식으로 들어가기 전의절차인 영산작법이 공통적으로 할향에서 고향게까지로만 구성된다. 이는 『범어사어산집』(1700), 결전기』(1926), 『예수문』(1942), 『예수재어산집』(2011) 등의 의례집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특징의 근원은 『범어사어산집』(1700)에서 찾을 수 있다. 『범어사어산집』은 총 11개의 재 의식이 수록되어있으며 <예수작법절차>는 9번째로 후반부에 있다. 그런데 영산작법의 첫 절차인 할향만 큰 글씨로 수록되어있을 뿐, 지심정례, 개계소, 합장게, 고향게, 심지어 통서인유 및 엄정팔방 및 사자단권공과 같은 본의식까지도 협주로 제목만 제시되어있다. 즉 『범어사어산집』의 예수작법절차는 약례이다. 그런데 부산ㆍ마산ㆍ밀양에서의 예수재 의식에서의 영산작법은 현재까지도 『범어사어산집』의 이러한 약례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곱째, 현행의 예수재는 식전의식과 본의식으로 구성되지만,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에서는 식전의식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1700년에 편찬된 『범어사어산집』에서 처음으로 식전의식인 영산작법이 발견된다. 즉 예수재 의례에서 영산작법이 수록된 것은 『범어사어산집』이 최초이다. 따라서 기록상으로 볼 때, 예수재 의식에서 본의식 외에 식전의식이 생긴 시기는 1700년 『범어사어산집』부터이며,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반에서부터 대부분 식전의식과 본의식이 함께 수록되고 있는 양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현재에서는 식전의식 절차가 점차 추가되어 시련, 대령, 관욕, 괘불이운, 영산작법, 개계소, 신중작법, 조전점안, 금은전이운 등이 보편화되었으며, 지역과 종단에 따라 견기이작(見機而作)화되어 절차가 생략되기도 하고, 다른 절차가 더 추가되기도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ariation phase of porcedures of SaengjeonYesujae focused on Youngnam Province, especially Pusan, Masan, and Miryang, where buddhist rituals are most active in the transmission. It was found that it has been transmitted showing differences among the three areas. The summari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ritual collections on Yesujae such as 『Beomeotemple Eosan collection』(1700), 『Gyeoljeongi』(1926)ㆍ『Yesumun』 in Pusan area. Among them, currently 『Yesumun』 has been most widely used which was compiled by Monk. Daesan who was the master and music teacher of Monk. Y ongun who held the first Intangible Cutural Assets in Pusan. 『Yesumun』 holds 35 procedures in total and has 『Yesusiwangsaengchiljaeuichanyo』 as original script. Compared to 『Seokmunuibeom』 which added a few procedures, Even if it has the same number of procedures as Seokmunuibeom, it presents jungdanyeongcheong, Magudancheong, Gosadangwongong, and Magudangwongong separately. In other words, 『Yesumun』 didn`t just follow or copy 『Seokmunuibeom』 which has been most used in nationwide, but it has a unique and local characteristics. Second, 『Gyeoljeongi』, which was handwritten by a headmonk.Monk. Ilbonghwasang in 1928, has three parts: preceremony, original ceremony, and appendix. He sought to supplement insufficient parts which previous ritual collections had had by adding new parts to the table of contents. In particular, preceremony consists of hyeonwangcheong, garamdan, pungbaekusadan, yongwangcheong, gyeoldanbunwi, jomyeongjeonuisik, and geumeunjeoniun, and from the part of Yeongsanjakbeop, original ceremony starts. Accordingly, Yesujaejakbeop has been perceived from Yeongsanjakbeop not from tongseoinyu가 since at least 1900`s. Third, 『Beomeotemple Eosan collection』(1700), which is the oldest ritual collections in Pusan, has 11 rituals. Among them, < Yesujaejakbeopjeolcha > comes in the ninth, which caused the part presented in the beginning to repeat. So the repeating parts are written as footnotes attached beside in a small letters(hyeopju), still less, even original ceremonies such as tongseoinyupyeon, eomjeongpalbangpyeon, and sajadangwongong presents only titles in hyeopju.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 Yesujaejakbeopjeolcha > in 『Beomeotemple Eosan collection』 belongs to one of abbreviated ritual collections. Its each procedure is written in very sall letters densely no space between letters at large, so that it is inconvenient for ritual collections in practice, and the case is similar to 『Ojongbeomeum collections』(1661) by Monk. Jiseon, which can make an assumption that 『Beomeotemple Eosan collection』 could be affected by 『Ojongbeomeum collections』 with another grounds that the gap of the year when they are published is just 39 years. Fourth, Masan has a leading ritual collection, 『YesujaeEosan collection』(2011) published by < PulmosanYoungsanjae > which has oedaeryeong, Samsinliun(Gwaebuliun), Gwanyok, jojeonJeoman, Geonhoeso, and Yeongsanjakbeop as preceremonies, from tongseoinyu to Bosinhoehyang as original ceremonies, which is almost same as 『Seokmunuibeom』 on the whole. Still, there are differces between them in terms of order. from Gyeongsinbongsong, hwjaesuyong, bongsongmyeongbu to Gyeongsinbongsong, bongsongmyeongbu, hwjaesuyong, and the part of samhoehyang appears in the last. When it comes to the appendix, YesujaeMulyok has detailed and specific contents and So(疎) is written in the order of procedures. But how to read is written in small letters of Hangeul beside of chinese characters like in 『Seokmunuibeom』 These conveniences make it a most widely used ritual collection for ritual monks in Gyeongnam Province including Masan. Fifth, JakyaksanYesujae in Miyrang, start with saebyeoyebul as a preceremony at 3 at dawn, next tongseoinyupyeon, an original ceremony at 3 in the afternoon, then completes(hoehyang) at dawn of the next day. The procedure of original ceremony is almost identical to 『Seokmunuibeom』 but has unique features, which is that original ceremony is performed after moving to yeongcheong소 which is set up outdoor to perform the ritual which evoke the Saints of sangdan and jungdan. After that, the ritual of Gwanyok is performed at the same place and then Saints are invited to the inside of the temple through siryeon. Another feature is that unlike other Yesujae which are performed divided into in the morning and in the afternoon, the former is for preceremony and the latter is for original ceremony, Miryang spends necessarily 1 night 2 days which can be considered to make efforts to inherit and tranmmit the traditions properly without abbreviation which happens depending on circumstances in other cases. Sixth, Yeongsanjakbeop in SaengjeonYesujae, as a procedure which is performed before starting original ceremony, is composed from halhyang to Gohyangge in Pusan, Masan, and Miryang. This is the case with other ritual collections: 『Beomeotemple Eosan collection』(1700), Gyeoljeongi』(1926), 『Yesumun』(1942), and 『YesujaeEosan collection』(2011). The sauce can be found in 『Beomeotemple Eosan collection.』(1700). It has 11 rituals and < Yesujaejakbeopjeolcha > comes in the ninth which belongs to the latter part. Seeing that it starts with halhyang, Yeongsanjakbeop must be an important part of it. However, halhyang is the only part which is written in big letters, the others, even in tongseoinyu and eomjeongpalbangpyeon, are written in small letters only with titles. In short, the procedure of Yesujaejakbeop in 『Beomeotemple Eosan collection』 can be referred to as an abbreviated ritual. It is obvious that Yeongsanjakbeop in Yesujae has been influenced by 『Beomeotemple Eosan collection』 in Pusan, Masan, and Miryang up to now. Seventh, 『Yesusiwangsaengchiljaeuichanyo』 has no preceremony, as opposed to the current Yesujae which has both preceremony and original ceremony. Yeongsanjakbeop, a kind of preceremony, appeared for the first time 『Beomeotemple Eosan collection』 published in 1700. In other words, 『Beomeotemple Eosan collection』 is the first collection which has Yeongsanjakbeop in the ritual of Yesujae. According, judging from the records, in addition to original ceremony, the first preceremony appeared 『Beomeotemple Eosan collection』 in 1700. There has been the tendency that ritual collections have both preceremony and original ceremony since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Currently, by adding other rituals as preceremonies, it is common now to have siryeon, daeryeong, Gwanyok, Gwaebuliun, Yeongsanjakbeop, gaegyeso, sinjungjakbeop, jojeonJeoman, and geumeunjeoniun, depending on locations and religious bodies, the procedures are left out or added up with accordance with circumstances.

      • KCI등재

        현대문학 : 문학 패러다임의 열림과 확장 -독일문학의 문화학적 개방성과 상호문화성-

        서정일 ( Jung Il Seo ) 한국브레히트학회 2015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0 No.32

        Goethes Vorstellung von Weltliteratur hatte die Moglichkeiten eines transnationalen Literatur- und Kulturaustauschs geweitet. Casar Flaischlen schriebt in seiner Graphische-Litteratur-Tafel von 1890: “Es mag uberraschend sein, wie viel fremde Elemente in unsrer Dichtung wirksam wurden und waren.” Der Verlauf der deutschen Literatur ist nicht ohne sein transnational Dimension zu sehen. Heute ist von der kulturwissenschaftliche Offnung der Germanistik die Rede. Manche stimmen darin uberein, daß der Literaturbegriff nicht mehr so eng wie fruher verstanden wird. Die Literaturwissenschaft wird verstarkt als Teil der Kulturwissenschaft gesehen und diese neue Orientierung greift auf transdisziplinare ausgerichtete Stromungen zuruck. Die “Interkulturalitat” gilt heute sowohl in der Geisteswissenschaft als auch im Alltag als Modewort. Die Auspragung von Interkulturalitat ist durch den Aspekt der Beruhrung gepragt. Die Interkulturalitat erhalt auch einen solidarischen Sinn, dessen Kern nicht nur in dem simplen “Zwischen” oder “Nebeneinander”, sondern auch in einer “Reziprozitat” steckt. Fur viele sozial-kulturelle Probleme ist daher eine solidarische Orientierung, d.h. “eine politische Aufklarung” notwendig.

      •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서정아 ( Seo Jung-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본 논문은 수준별 교양영어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수도권 소재 대학을 대상으로, 수준별 영어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보다 효율적인 교양영어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 대학의 수준별 교양영어 수업은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고안되었으며, 두 트랙으로 나누어져 있다. 토익성적 500점 이하의 학생들은 <영어1><영어2> 수업을, 500점 이상의 학생들은 <영어3><영어4> 과목을 선택하도록 되어있으며, 토익성적 300점 이하의 학생들은 <영어1> 수강 전에 <기초영어>과목을 선 수강 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모든 학생들은 영어독해 4학점과 영어회화 2학점을 교양필수 과목으로 이수하도록 되어 있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는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총 404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은 모의토익을 근거로 편성되는 반 편성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였으며, 수준별 수업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 수준별 수업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영어회화 원어민교수와 영어독해 한국인교수 모두에게 비교적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 특히 ‘교수들의 전문지식과 교수법’ ‘교재와 교육자료’를 포함한 전반적인 부분에서, 영어독해 한국교수에 대한 평가가 더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원하는 개선사항으로는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과목 개발을 꼽았으며, 다양한 선택 과목들과 함께 토익 같은 공인 시험들을 준비할 수 있는 과목들이 개설되기를 희망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교양영어 프로그램의 개선에 대한 몇 가지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level-differentiated general English program at college on the basis of students’ perception. The general English course were designed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skills in English and were offered for two semest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otal of 404 college students who are taking general English course participated in the survey. Fist of all, the survey showed that students have positive attitude to their belonging group based on their entrance TOEIC exam. Most students strongly approved of the need for the level-differentiated curriculum. The survey results also showed tha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level-differentiated general English courses. Students also showed relatively satisfaction for both native English-speaking professors and Korean non-native English-speaking professors. Korean non-native English professors received better evaluations than foreign native-English professors in overall satisfaction including Professors' expertise and teaching methods and textbooks and educational materials. Students expressed high level of needs in increasing the number of course and reducing the class size.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on the improvement of college English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