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초등학생과 초등 예비교사의 멘토링에 대한 인식

        서미옥(Suh, Meeock),배상식(Bae, Sangsi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4

        국내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교육지도를 위한 멘토링 활동은 시작단계이다.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에서 겨울방학동안 실시한 5주간 15회기의 멘토링에 참여한 초등예비교사들과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111명의 멘토들과 144명의 멘티들이며, 설문응답에 대한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을 통해 산출되었다.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멘토링 경험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둘째, 멘티초등학생들은 멘토링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멘토링 활동은 교과지도에 집중되었는데, 멘티들은 초등예비교사들의 지도방법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일부 멘티 초등학생들은 교과지도 이외에 문화체험이나 생활지도를 더 요구하였다. 멘토링이 교과지도에만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추후에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어떤 멘티 초등학생들은1회에 3시간씩 진행되는 수업시간이 길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것 같다.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이 다문화 멘토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앞으로 이들이 교사가 되었을 때, 다문화 가정의 아동을 이해하 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추후 연구는 멘토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system of mentor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in Korea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 mentoring of elementary in-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mentoring program was led by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for 15 sessions over 5 weeks during the winter vacation. The participants included 111 mentors and 144 mentorees. After the survey was concluded,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d percentile. The results highlighted several areas of interest. Firstly, pre-service teachers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the experience of mentoring. Secondly, elementary students also expressed positive outcomes for mentoring. The mentors mostly concentrated on teaching curricular subjects, and mentorees were satisfied with that. However some of the mentorees had hoped for a different kind of learning experience. For example mentorees suggested exploring culture, counseling and guidance. Based on these results, it would be possible to plan and develop various different mentoring activities. The mentoring time was for three hours per session. The mentorees perceived that this was too long a time. It was therefore crucial that the time needed to be properly managed. The in-service teachers participation helped them to underst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future study, qualitative studies are recommended.

      • KCI등재후보

        이야기 꾸미기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상상력 수준, 문장 수와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서미옥(Suh Meeoc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3

        아동의 상상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장차 예비교사기 되는 4년제 A. B대학교 유아교육과 71명을 대상으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통해 나타난 상상력 수준 문장 수와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야기 꾸미기 활동의 매체로는 ‘사람 아저씨’ 라는 글 없는 그림책이 활용되었다. 또한 창의적 인성 검사는 하주현(2000)이 개발한 척도가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예비교사의 상상력 수준은 3수준에 해당되는 빈도가 기장 많았다. 상상력 수준과 문장 수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상상력 수준과 창의적 인성, 창의적 인성과 문장 수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창의성 인성(고/저집단)에 따라 상상력 수준과 문장 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일선현장에서 유아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촉진할 수 있는 바람직한 자질과 특성을 겸비한 유아교사를 양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level of imagination, number of sentences in story ma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on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1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two different university. Imaginative task was used story making experience through wordless picture book. Level of imagination consisted of 4 step. Number of sentences that expressed composition by wordless picture book. Assessment was by Hah Juhyun's Creative Personality Test(2000). Frequencies, percentiles, Pearson's product correlation and one-way ANOVA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3 level of imagination was most high frequency. Secon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vel of imagination and number of sentences. Third, the effect for creative personality level(high/low groups) was not significant for level of imagination and number of sentences that expressed composition by wordless picture book.

      • KCI등재

        혼합연구를 통해 본 플립드 러닝의 영향과 인식

        서미옥 ( Meeock Suh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 러닝과 전통식 수업을 실시한 후에, 학습자의 학업 자기효능감, 강의만족도, 자기행동 평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차이를 비교하고, 플립드 러닝에 참여한 학생들의 인식을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교육심리학 강좌를 수강한 98명의 예비교사들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49명)은 거꾸로 교실에 배치되고, 통제집단(49명)은 전통식 수업에 배치되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실험실계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학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플립드 러닝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교수 실재감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플립드 러닝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수업만족도가 전통식 수업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플립드 러닝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자기행동 평가가 전통식 수업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다섯째, 플립드 러닝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중간시험과 기말시험에서 통제집단보다 학업성취가 높았다. 여섯째, 플립드 러닝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인식은 7가지 항목으로 분류되었다. 비록 약간의 수고가 뒤따르지만, 학습자는 전통식 수업보다 플립드 러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플립드 러닝이 우리 교육현장에 정착되기 위해서 필요한 사항들에 대해 논의되었다. To investigate the two teaching methodologies of a flipped learning style versus a traditional lecture-styl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n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course satisfaction of two different teaching methods, the behavior rating scale, academic achievement, and also student``s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through qualitative measures.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pre service teachers who had taken a course on educational psychology.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n=49) experienced an “inverted classroom”. while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n=49) experienced s “traditional classroom”.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self-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 flipped classroom showed higher teaching presence scores than the traditional classroom. Third, the flipped classroom showed higher course satisfaction scores than the traditional classroom. Forth, self-assessment behaviors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flipped classroo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raditional classroom. Fifth, the flipped classroom demonstrat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on their midterm and final exams than the traditional classroom. Sixth, the awareness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flipped classroom was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Learners showed a preference for flipped learning to a traditional classroom approach.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how flipped learning is an effective way to engage students in the learning process.

      • KCI등재

        플립드 러닝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서미옥 ( Meeock Suh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플립드 러닝의 효과성을 검증하려는 것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2011년부터 2016년까지의 학위논문 22편과 학술지 논문 9편, 총 31편이다. 31편 논문의 76개의 효과크기로 메타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R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효과크기의 모형은 연구대상이 초등학생부터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질적인 집단이라는 판단 하에 무선모형이 선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드 러닝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47.로서 중간크기를 나타내었다. 둘째, 조절변수의 효과에서 연령별, 처치기간, 처치교과목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실험집단 크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있었다. 30명 미만일 경우에 가장 플립드 러닝의 효과크기가 컸다. 셋째, 종속변인에 대한 플립드 러닝의 효과크기를 비교해보면, 학업성취에 대한 플립드 러닝의 평균효과크기는 .30으로 나타났고, 학습동기는 .61, 학습태도는 .63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장에서 플립드 러닝을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collected studies employing experimental design research methods for studying flipped classroom from January 2011 to September 2016. Through several screening processes, a total of 31 papers and 76 effect sizes were used for analysis. To conduct the meta-analysis, the R-statistical software was used. The Random Effects model was chosen as an analysis model on account of the heterogeneity of divers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47, which showed middling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 of the age lev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40, middle school students .32, high school students .70, and university students .55; none of the age group categories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moderator effects of group size was significant by subgroups, but periods of experiments and type of subjects were not significant by subgroups. Third, the results of dependant variables influenced by flipped learning were as follows; The mean effect size of achievement was .30, the mean effect size of motivation showed .61, and the mean effect size of learning attitude showed .63.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온라인 토론방 매체를 통한 조기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연구

        서미옥(Suh MeeOc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온라인 토론방에서 ‘조기교육의 실과 허’라는 주제를 설정하여 연구참여자들의 7주간에 이루어진 토론 사례와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들은 20대부터 50대의 다양한 연령층으로 D 사이버대학교의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을 목적으로 ‘교육 심리학’을 수강한 77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토론사례의 분석결과 조기교육을 시행하는 이유는 남들보다 내 아이가 앞서기를 바라는 부모의 기대감, 주변사람이나 언론매체의 영향, 아이의 흥미를 고려한 결과, 조기교육이 아동의 전반적인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 조기교육의 효과에 대한 의문제기로 나타났다. 7주간의 토론이 끝난 후에 일반 학습과 외국어 교육, 예체능 교육에 대한 조기교육의 필요성을 토론 참여자들에게 최종 질문하였다. 그 결과로 일반 학습에 대해 반대하는 비율이 41.6%. 찬성 은 28.6%로 나타났다 예체능 분야에 대해서는 조기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57.1%이었다. 외국어 조기교육에 대해 반대가 33.8%, 찬성이 26.0%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rgue merits and limitation of early educa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7 undergraduate students. The study was used of the Web-bulletin board system as a means to facilitate the interaction through Web Discussion. Frequency analysis, chi square test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urpo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analyzed 5 item that 1) expectancy of parents for their children's superiority 2) effect of environments and Media 3) effectiveness for learning in school 4) regarding for children's interest 5) undesirable for early education Second, 57.1% of subjects showed positive preference on art and music courses. but 41.6% of subjects showed negative preference on learning(reading, writing and counting). 33.8% of subjects showed negative suggestion while 26.0% of that showed positive on foreign language.

      • KCI등재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태도 및 교육적 활용

        서미옥(Suh, Mee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목적은 미래 교육에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앞으로 예비교사 양성기관에서 어떤 방식의 교수전략을 계획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로 모두 77명이다. 이들은 2020년 가을학기에 D대학교의 스마트 존에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체험을 1회 하였다. 이들은 체험 후에 4가지 문항으로 된 온라인 설문 조사에 응답하였으며 이들의 응답 보고서를 토대로 양적, 질적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졌다. 결과 예비교사의 대부분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에 대한 개념과 의미를 알고 있었고, 체험한 적이 있었다. 특히 수집된 질적 자료에 의하면 예비교사들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체험을 통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들이 가르칠 전공 분야에 활용할 구체적인 교수설계 방안도 계획하고 있었다. 결론 미래 교육에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하려면 교원양성기관에서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교육 공학적 접근을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re-service teachers on how to apply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future education, and to explore ways to plan what kind of teaching strategy in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77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he college of education. They experienced VR and AR once in the smart zone of D university in the fall semester of 2020. After the experience, they responded to a four item online survey, and quan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ir response reports. Results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knew the concepts and meanings of VR and AR, and had experience. In paticular, according to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they recogniz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hrough VR and AR experience. They were also planning a specific instructional design to be used in the major subjects they were going to teach. Conclusions In order to utilize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futur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open a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to strengthen educational technology approaches. This study was provided insight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using VR and AR in school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