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가족기능 및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배은숙,강혜승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 and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and provide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o undergraduates. The survey was conducted 340 students attending 3 universities and 1 college in G city from May 25th to June 4th, 2016. Data was collected from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bout depression, family fun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job-seeking stress. Data were used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dummy variables. As a result,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grade, family income per year, collegiate-life satisfaction, employment status, satisfaction in preparing for employment, Leisure activities, smoking. Also depress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family function,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seeking stres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were family income per year,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family function and job-seeking stress accounting for a total of 48% of the varianc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undergraduates to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aimed at reducing depression and job-seeking stress and it would be effective to focus on strengthening family function for them.

      • KCI등재
      • KCI등재

        역사 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문제 개발과 적용 사례 연구

        배은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to history subject among various learner-centered learning methods. The researcher grasp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cedent research that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is invented and utiliz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through two questionnaires. In the process of problem development, this study tried to present a problem that requires a complex thinking power as well as a topic to penetrate the history of Greece and Rome. The main theme was the war tha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Greece and Rome. As regards Greece, learners should be aware of Herodotus, a criticism of Western supremacy, and the critical view of him and the prisoners of war. As regards Rome, scholars are interested in the purpose of the war.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or should provide a concrete and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Second, learners seemed to grasp the intention of the instructor if the problem was clear and simple. Third, after problem-based learning, learners’ level of difficulty, amount of learning, amount of knowledge, and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preference for problem-based learning is lowered. An educational effect is high when intention of the instructor who is inherent in problem is conveyed properly. The instructor should not provide one-sided lectures and answers, but provide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increase their opportunities to actively seek knowledge. 본 연구는 다양한 학습자중심의 학습법 중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역사 과목에 적용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문제 개발 과정에서 그리스와 로마의 팽창에 일조한 전쟁을 핵심 주제로 선정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고 난 후 활동 보고서, 학습 보고서,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 보고서에서 학습자들은 익숙하지 않은 학습 방법에 대해 어색해 했다. 따라서 교수자가 다양한 사례를 통해 문제중심학습법에 대한 구체적이면서도 충분한 설명을 해 주어야 학습자들의 생소함은 줄어들고 교육적 효과가 더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둘째, 학습 보고서에서 문제가 명확하고 단선적일 경우는 교수자의 의도를 잘 파악하는 것 같았다. 반면 교수자의 의도가 명확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복합적인 문제일 경우, 관련 자료가 없는 경우 교수자의 의도와 다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교수자는 문제의 의도, 문제의 해결 방법, 문제의 시간적, 공간적 상하한선, 보고서의 방식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 학기 초에 비해 학기 말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지도, 난이도, 학습량, 지식 습득량, 교육목표 달성 정도가 높은데 반해,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선호도는 낮아졌다. 이는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설명을 들었을 때보다 실제 학습을 하면서 난이도나 학습량이 훨씬 높고 많다는 것을 체감한 결과로 해석된다. 역사 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문제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본 결론은 현대적인 문제 이면에 시대적 사건이 내포된 문제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역사적 사건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범위와 한계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 다양한 해결 방법이 있으나 역사적 사례로 제한해야 한다는 것 등을 교수자가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수자는 일방적인 강의나 해답을 제시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이 원하는 지식을 능동적으로 찾아가는 기회를 늘려주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 KCI등재

        한국사 게이미피케이션을 위한 서양사 전략 게임 분석

        배은숙 대구사학회 2020 대구사학 Vol.1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ategy games of Western history and ultimately seek the direction of Korean history gam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otal War: Rome 2> and <Civilization 5> which are considered to be both popular and historical. In terms of the realism of the times, these games tended to naturally unravel the order of the wars by embedding it into the rules of the game. The players were given a choice and not allowed to escape the limitations of the times. The variation in the compilation or the development of the siege warfare has been adapted into a rating improvement, that is, an advanced form that the player can acquire, rather than a simple explanatory deployment method. On the tactical side, it is up to the player to decide when to deploy a combat deployment or to deploy and withdraw troops. Since most of the tactics the player uses freely are those that were actually used in ancient battles, they have historical realism in the style of combat. If historical realism is included after thorough examination, the games can instill a correct sense of history into the player. But it is important to give players discretion, and at the same time embedding rules to know historical events and the process of transition. We should consider creating game rules that do not go beyond the limits of the times while instilling uncertainty in play, a sense of challenge and crisis,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서양사 전략 게임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한국사 전략 게임의 지향점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대중성과 역사성을 골고루 겸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토탈워: 로마2>와 <문명5>이다. 이들 게임은 전쟁 순서를 게임의 규칙에 내재해 시대적 사실성을 자연스럽게 풀어내는 경향이 있었다. 플레이어에게 선택권을 주면서 시대적 한계를 벗어날 수 없도록 한 것이다. 편제 변화나 공성전의 발전은 단순한 설명식 전개 방식이 아니라 등급 향상, 즉 플레이어가 획득해야 하는 항목으로 각색되었다. 전술적 측면에서 전투 대형 전개나 병력 투입과 철수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플레이어에게 있다. 플레이어가 자유롭게 구사하는 전술들이 대부분 고대 전투에서 실제로 사용되었던 전술이므로 전투 방식의 역사적 사실성은 갖춰져 있다. 한국사 게이미피케이션을 위한 제언은 역사적 사실의 나열식 전개가 불확실성의 감소로 대중성을 획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철저한 고증을 거쳐 역사적 사실성이 내포되면 게임을 통해 플레이어에게 올바른 역사의식을 심어줄 수 있다. 하지만 단순한 설명식의 사건 전개나 무구나 인물 같은 세부적인 사실 묘사보다는 플레이어에게 재량권을 부여하되 역사적 사건과 변천 과정을 알도록 규칙을 내재하는 것이 더 중요한 것 같다. 플레이의 불확실성, 도전과 위기의식, 성취감을 불어넣으면서 시대적 한계를 벗어나지 않는 게임 규칙을 만드는 일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아우구스투스의 피린키파투스 확립과 원로원의 성격변화

        배은숙 한국서양사학회 2001 西洋史論 Vol.68 No.1

        아우구스투스와 원로원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이들 양자를 적대 관계, 또는 협력 관계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기존 견해들이 아우구스투스의 원로원 정책과 그 결과를 소홀히 다룸에 따라 프린키파투스의 확립과 세습이 가능했던 배경을 이해하는데는 다소 한계가 있었다. 아우구스투스는 공화정과 원로원의 권위를 회복시킨 프린켑스로 보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는 프린켑스라는 공화정기의 칭호를 빌어 왔고, 원로원의 승인이라는 형식만 갖추었을 뿐, 실제로는 강력한 지배력을 행사 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여 세습시켰다. 이를 위해 그는 원로원을 장악해 나갔다. 아우구스투스의 원로원 정책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그는 원로원을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그는 한편으로 원로원 의원의 명부수정이라는 합법적인 방법을 통해 일부 적대적인 의원들을 추방하였고, 다른 한편으로 기사들에게 원로원에 들어올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둘째, 아우구스투스는 원로원 회의에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하였다. 그는 추진하고자 하는 정책을 의안으로 상정하여 자신의 견해를 먼저 밝히고 우호적인 의원들의 의견을 청원하는 방법으로 결론을 유도하였다. 그가 원로원으로부터 각종 권한을 받을 수 있었던 배경은 이러한 결론 유도 방식 때문이었다. 셋째, 아우구스투스는 의원들의 행정적 역할을 제한하였다. 로마시와 이탈리아 행정에서 의원들은 특정 부분의 역할만을 부여받았다. 속주에서도 공화정을 지향하는 의원들은 군단이 주둔하지 않는 공공 속주를 다스렸다. 다른 한편으로 아우구스투스는 기사들에게 각종 군사직과 행정직을 부여함으로써 그들을 대안세력으로 활용하였다. 이상의 세 가지 정책은 기원전 19년 프린키파투스가 확립된 후 아우구스투스와 원로원의 관계 및 원로원 자체의 성격에 점점 영향을 끼쳤다. 첫째, 명부 수정의 방식이 달라졌다. 아우구스투스는 더 이상 의원들을 제명하지 않고 가난한 의원들에게 돈을 빌려주면서까지 의원직을 유지하게 해 주었다. 이런 정책 변화는 아우구스투스와 원로원의 관계가 우호적으로 바뀌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둘째, 의원들이 회의에서 아우구스투스의 견해에 따르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아우구스투스는 두 명의 콘술들 사이에 있는 높은 연단에 앉아서 의원들의 성향이나 회의 분위기를 모두 파악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의원들이 아우구스투스의 의중만을 헤아리려고 하자, 오히려 아우구스투스가 회의에 참석하지 않거나 참석해도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지 않는 방식으로 토론을 유도할 정도였다. 이 또한 양자간의 관계변화와 정책 변화를 의미한다. 셋째, 의원들이 아우구스투스에 대해 의존적인 태도를 보였다. 많은 권한을 보유한 아우구스투스와 좋은 관계를 가지는 것이 승진과 직결되었기 때문에 의원들은 점차 그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의원들은 점점 출세 지향적, 개인주의적인 성향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성향은 일련의 연설가들에게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치세 초기 원로원은 아우구스투스에 대한 반발의 구심점이었다. 그러나 아우구스투스의 원로원 정책의 결과, 의원들은 제명이나 충원의 과정을 보면서 의원직 유지와 획득에 결정적인 영향을 줄 사람이 아우구스투스임을 차츰 알게 되었다. 또 그들은 아우구스투스의 권한과 부를 볼 때 각종 행정직과 경제적 안정을 얻게 해 줄 사람도 그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결국 아우구스투스의 지배권 강화는 프린키파투스의 확립을 가능하게 하였고, 그 과정에서 취한 원로원 정책은 원로원의 성격을 의존적으로, 체제 순응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이로써 양자의 관계는 적대 관계에서 우호 관계로 발전하여 치세 후기로 갈수록 아우구스투스의 지위에 대한 반발이 거의 없어지고, 프린켑스 지위의 세습이 가능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프린키파투스가 확립, 세습된 배경은 아우구스투스의 지배권 강화와 원로원의 순응적 성격에 있었다.

      • KCI등재후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의 정보파악, 노인 간호 지식과 기술 및 노인 서비스 질과의 관계

        배은숙,김미정,Bae, Eun-Sook,Kim, Mi-Jung 한국가정간호학회 2012 가정간호학회지 Vol.19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worker's service quality of the elders at a nursing home. Methods: A total of 371 workers, who were engaged in caring for the elders at a nursing home in B-Metropolitan city and Kyungnam, answered the questionnaires regarding the knowledge & skills of service, information cognition and service quality for the elders related to their clients. Results: Service quality for the eld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level of knowledge and skills, as well as the information cognition for the elders, and frequency of educational participation. Service quality for the eld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knowledge and skills, and information cognition for the elders. These two variables accounted for 37% of the variance in service quality for the elders.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worker's care level, the workers engaged in caring for the elders should make the efforts to be given a nursing education related to the knowledge & skills, as well as the information for the elders.

      • KCI등재

        기병 전술의 아시아적 기원―파르티아 기병을 중심으로―

        배은숙 동아인문학회 2023 동아인문학 Vol.6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로마군과 파르티아군의 최초의 충돌인 카라이 전투에서 파르티아군의 승리 전술을 분석하는 데 있다. 파르티아군의 군사력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패전의 책임을 안고 있는 크라수스의 무지와 무능도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 방법은 전투 과정을 상세히 적은 플루타르코스의 기록을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문헌 사료를 해석, 분석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파르티아군이 전술적 우수성과 다양성을 가진 강력한 군대였다는 것이다. 파르티아군의 핵심 병력인 카타프락티는 장창으로 인해 뛰어난 살상력을 가졌고, 근접전을 피하고 기마 궁수와의 협공 전술로 약점을 약화시키는 뛰어난 전술을 구사했다. 또 심리 전술, 위장 후퇴 전술, 매복 전술, 병참 전술, 집중 공격 전술 등 다양한 전술을 구사하여 로마군이 대응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카라이 전투에서의 승리 원인은 크라수스의 무지와 무능보다 파르티아군의 전술적 우수성과 다양성을 고려해야 해명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병 전술의 기원은 아시아, 특히 스키티아를 포함한 중앙아시아 스텝지역의 유목민에게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inning tactics of the Parthian army in the Battle of Carrhae, the first conflict between the Roman and Parthian armies. Only when we analyze the military power of the Parthian army can we also analyze the ignorance and incompetence of Crassus, who was responsible for the defeat. The research method is to interpret and analyze various literary sources based on Plutarch's record of the battle process in detail.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tactical excellence and diversity of the Parthian army. The Cataphracti, the core force of the Parthian army, had excellent killing power with their long spears, and they were also excellent at avoiding close combat and weakening weaknesses through joint attacks with mounted archers.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for the Roman army to respond as it used a variety of tactics such as psychological tactics, disguised retreat tactics, ambush tactics, logistics tactics, and concentrated attack tactics. The Battle of Carrhae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Rome to seek tactical development without belittling the Western Asian countries.

      • KCI등재

        고대 동서양 카타프락티(cataphracti)의 무기공학적 전술 분석 - 로마와 파르티아를 중심으로 -

        배은숙 효원사학회 2023 역사와 세계 Vol.- No.63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전투 사례를 통해 카타프락티에 대항해 로마군이 취했던 전술의 유효성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카타프락티의 방어용 무구와 공격용 무기의 전투력, 이에 대항한 로마군의 전술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카타프락티에 관한 문헌 사료는 물론 부조나 묘비석과 같은 고고학 자료도 참고하여 무기의 효용성을 분석할 것이다. 카타프락티의 전신 갑옷은 높은 방어력과 낮은 기동성이라는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갑옷 무게로 인해 민첩한 활동이 어려울 때 이 약점을 겨냥한 전술을 택하면 승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단점을 활용하여 보병 위주의 로마군이 지연전을 펼친다면 승산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카타프락티에 대항한 로마군 보병이 투척하는 무기를 사용한 흔적이나 지연전을 펼친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카타프락티의 말 밑으로 가서 말의 배를 찌른 기병들의 전술이 주효했다. 카타프락티의 장창에 대항해 고지라는 지형적 이점을 활용하거나 위장 후퇴 전술과 유인 전술을 통해 카타프락티의 체력 소모를 유도하는 전술이 유익하다. 또 카타프락티는 방패가 없어 장창을 양손으로 쥐고 있으면 측면과 배후를 공격받기 쉬웠다. 측면과 배후를 공격하는 전술도 유효하다. 하지만 벤티디우스를 제외하고 이런 전술은 전혀 사용되지 않았다. 따라서 공화정기 카타프락티에 대한 로마군의 두려움의 원인은 로마군 기병의 허약성이 아니라 로마군 보병의 전술 부재에 있었다.

      • KCI등재

        오스만튀르크 제국 팽창에서 수도의 지리적 의미

        배은숙,오창우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Geographical Significance of the Capitalin the Expansion of the Ottoman EmpireEunsuk Bae & Changwoo Oh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eographical advantages of Bursa and Constantinople, the capital of the Ottoman Empire, based on historical documents from the 13th to the 15th century. Studies have shown that Bursa and Constantinople were important transport and commercial centers. Constantinople also benefited militarily because of the city's defenses. Therefore, the view that Bursa and Constantinople are the capitals of the Ottoman division is open to reconsideration. Key Words: Ottoman Empire, Bursa, Constantinople, Silk Industry, Military Center 오스만튀르크 제국 팽창에서 수도의 지리적 의미배 은 숙*ㆍ오 창 우** 요약: 연구목적은 13세기부터 15세기까지 문헌 사료를 근거로 오스만튀르크 제국의 수도인 부르사와 콘스탄티노플의 지리적 이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부르사는 지리적 측면에서 실크 산업의 주요 교역로 중에서 가장 짧은 거리에 있었다. 또 부르사는 자체 상품을 생산할 능력이 있었다. 부르사 다음의 수도였던 콘스탄티노플은 중요한 교통과 상업의 중심지였다. 또 콘스탄티노플은 도시 자체의 방어력과 서쪽의 게르만족, 동쪽의 페르시아나 이슬람 세력에 대한 대응력이 높아 군사적으로도 유익했다. 따라서 콘스탄티노플이 오스만튀르크의 분열을 지향하는 수도라는 견해는 재고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제국의 수도가 국가 경제와 군사력 강화에 끼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수도의 지리적 위치의 중요성을 검증한 점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20세기 수도가 된 앙카라의 지리적 이점을 다음 과제로 남긴 점이다. 핵심어: 오스만튀르크 제국, 부르사, 콘스탄티노플, 실크 산업, 군사적 요충지 □ 접수일: 2022년 5월 25일, 수정일: 2022년 6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주저자, 계명대학교 조교수(First Author, Assistant Professor, Keimyung Univ., Email: jejs@kmu.ac.kr)** 교신저자, 계명대학교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eimyung Univ., Email: ohchwoo@kmu.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