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 돌봄 서비스의 질 관리 모델 및 적용 방안

        배상훈(Bae, Sang Hoon),정영모(Jeong, Yeong Mo)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6 방과후학교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돌봄 서비스의 질 관리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한 질 관리 모델은 돌봄 서비스의 성과를 비롯하여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투입, 과정, 환경 요인을 포함한다. 투입 요인에는 아동의 인구학적 특성(성별, 나이, 학년 등), 가정 배경(부모 유무, 한부모 가정 여부, 부모의 맞벌이 여부 등), 거주 환경, 발달 수준(지적, 정서적 발달 및 사회성 수준 등) 등이 포함되었다. 과정 요인에는 돌봄 서비스의 질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 프로그램 요인, 인간적 요인, 조직적 요인이 적용되었다. 환경 요인에는 교육청 단위 행정지원 체계의 적정성, 정부에 의한 재정지원 체계의 효과성, 지역사회의 참여와 지원정도, 안전관리 체계 등이 포함된다. 돌봄 서비스의 성과는 지적 성취, 사회적, 정서적 발달, 폭력 및 비행의 예방, 건강 및 영양의 증진, 체력의 증진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질 관리 모델은 국가 차원의 질 관리, 공급자의 자체평가 등에 적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del of quality assurance for child-care programs. A model based on the systems theory perspective consists of inputs, process, environment, and outcomes. The input factor includ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background, residential environment, and developmental stage of students. The process factor consists of physical features, programs, people,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Environments include effectivens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ystems of local and central educational authorities, participation and supports from local community, and safety of the institution. Finally, outcomes of child care programs include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prevention of violence and misconducts, promotion of nutrition and health, and physical development of students. The model may be of use for evaluating child care programs by the government and self-assessment of the quality of the programs.

      • KCI등재후보

        방과후학교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교육철학적 기반, 정책적 의의, 그리고 발전 전망

        배상훈(Bae, Sang Hoon)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4 방과후학교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방과후학교가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하여 왔고, 오늘날 정책적 기능과 역할은 무엇이며, 앞으로 우리 공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면서 발전해 나갈 것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방과후학교가 어떠한 교육 철학적 토대와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어떠한 교육개혁 요구에 대응하면서 발전해왔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그동안 학생 개인의 방과후학교 참여에 따른 효과에 한정하였던 논의를 확장하여 앞으로 하나의 교육제도로서 방과후학교의 시행이 공교육 전반과 사회에 미치는, 그리고 앞으로 미치게 될 영향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그 동안 방과후학교는 교육 수요자의 현실적 필요와 정부차원의 정책적 요구에 효과적으로 부응하면서 발전하여 왔다. 또한 오늘날 활발히 형성되고 있는 방과후학교 시장의 힘을 토대로 꾸준히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논문은 앞으로 방과후학교가 공교육 및 사교육과 함께 한국의 교육을 구성하는 중요한 교육제도의 하나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istorical development, policy goals, and future prospect of after-school programs in Korea. It investigated what philosophical foundations after-school programs have relied upon, what goals they have pursued, and what kind of social and educational needs they have responded to. This research also examined the impact of after-school programs o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 general. The study found that after school programs in Korea have evolved effectively responding to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and playing important roles as a public policy with a variety of goals including reduction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of parents and providing extra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the disadvantaged. It was also found that after-school programs are expected to continue along with the growing market for educational activities of students after regular school hours. Finally,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highly possible that after-school will be developed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along with public schooling and private tutoring which have already been considered as institutions.

      • KCI등재

        한국과 미국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비교

        배상훈(Bae Sang Hoon),홍지인(Hong Ji In) 韓國比較敎育學會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3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학습참여 양상을 비교하였다. 미국 NSSE 모델을 한국 대학의 맥락에서 타당화한 K-NSSE 모델이 제시하는 9개 학습참여 요인(고차원 학습, 반성적 · 통합적 학습, 학습 전략, 협동적 학습, 다양한 사람과 토론, 교수-학생 상호작용, 효과적 교수활동, 학내 구성원과 상호작용의 질, 지원적 대학환경)을 중심으로 대학 규모에 따라 1학년과 4학년을 비교하였다. t-test를 수행한 후, Cohen's D 값을 산출하여 효과 크기(effect size)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전략', '협동적 학습', '교수와 상호작용'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한국 학생들은 미국의 비교집단보다 학습참여 정도가 낮았고, 이는 모든 대학 규모에서 동일하였다. 단, 4학년이 되면서 차이가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학습 전략'은 한국 4학년 학생들이 미국 학생들보다 높은 수준이었고, '협동적 학습'은 한국 학생들이 미국 학생들보다 1학년 때에는 높았지만, 4학년이 되면서 역전되었다. '교수와의 상호 작용'은 두 집단 사이의 차이가 일관되지 않았다. 미국 학생들과 비교하여, 한국 학생들은 교수의 교수 활동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정도가 낮았다. '다양한 집단과의 교류'는 한국 학생들이 미국 학생들과 비교하여 가장 취약한 분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에서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대학생들의 국경을 넘는 이동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대학생의 학습과정에 대한 심층 분석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정책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student engagement' between Korean and US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Nine student engagement factors from the K-NSSE(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model were employed for comparison of freshman and senior students between two groups. Korean students, compared to US peers, were found to have lower engagement in all factors except three factors - learning strategies,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student-faculty interaction. However, the gaps between two groups became smaller when they were senior students. Korean senior students were found to have greater learning strategies than US counterparts. Korean freshman group showed higher collaborative learning than US peers, while the situation became the other way around among senior student groups. Inconsistent results were found on comparison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gap on discussion with diverse others was found to be greatest between two groups.

      • KCI등재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이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지원적 대학환경, 교수-학생 상호작용, 고차원 학습, 학습량을 중심으로

        배상훈(Sang Hoon Bae),라은종(Ra, Eun Jong),한송이(Han, Song Ie)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의 수행이 대학생의 학습참여(지원적 대학환경, 교수-학생 상호작용, 고차원 학습, 학습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2013~2016년 4년 동안 이루어진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10 개 ACE 대학과 11개 비ACE 대학에 재학 중인 11,715명의 대학생이다. 2013년에 1학년이었던 입학 코호트를 4년 동안 추적하여 종속 변인의 성장 궤적을 분석하기 위해 3수준 다층성장모 형을 적용하였다. 제1수준에는 학생특성(성별, 고교내신등급, 가계소득수준)을, 제2수준에는 시 간(연도)을, 제3수준에는 대학특성(소재지, 규모, 연구 경쟁력, 교육 여건, 대학의 고교내신등 급 평균값)을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초기 수준(2013년 1학년)에서 ACE 대학 학생들은 비 ACE 대학 학생들보다 지원적 대학환경에 대한 인식과 교수-학생 상호작용 수준이 높았고, 이 후 4년 동안 동률의 성장을 보였다. 반면 고차원 학습 경험은 두 집단이 초기 수준에는 차이 가 없었지만, 이후 ACE 집단에서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학습량에 있어서는 두 집단 사이에 서 초기 수준과 성장률 모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부 재정지원 사업 의 성과 창출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ACE) project on student engagement (supportive environment, student-faculty interaction, higher-order learning, and quantity of learning). Utilizing the longitudinal cohort data collected from 2013~2016 K-NSSE surveys, this study includes the sample of 11,715 students from 21 univers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degree of growth of the 2003 freshman cohort in outcome variables as they advance through their degree programs. With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data, three-level multilevel modeling is conducted.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gender, high school GPA, family income (at the student level), year (at the time level), and location, size, research capacity, educational resources, and average high school GPA (at the university level). The findings indicate that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students from the ACE universities show a higher level of supportive environment and student-faculty interaction compared to students from the non-ACE universities. The results further reveal that when holding other variables constant students from the ACE universities indicate greater growth in higher-order learning for four years in comparison with their counterparts.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consistently create and expand positive outcomes through the ACE project.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글쓰기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이 글쓰기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배상훈(Sang Hoon Bae),윤유진(Eugene Yoon)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7 No.3

        글쓰기가 대학교육을 통하여 길러야 할 핵심 역량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글쓰기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이 글쓰기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독립변인으로는 성별, 학년, 출신지역 규모, 부학력, 모학력, 소득수준 등 개인적 배경과 출신고교 유형, 대학 전공 유형 등 교육적 경험을 활용하였고, 글쓰기에 대한 태도와 인식으로는 글쓰기에 대한 흥미 및 결과 기대 수준을 적용하였다. 종속변인인 글쓰기 효능감은 일반적인 글쓰기 역량에 대한 효능감과 특정 과제별(실용적 글쓰기, 학문적 글쓰기, 창의적 글쓰기) 글쓰기 역량에 대한 효능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전국 15개 대학에 재학 중인 1,053명의 대학생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은 글쓰기 효능감과 관련이 없었고, 글쓰기에 대한 흥미 수준과 결과 기대가 글쓰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외적으로 학술적 글쓰기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효능감이 높았고, 창의적 글쓰기 분야에서 여학생의 글쓰기 효능감이 높았다. 또한 창의적 글쓰기에서 학생의 결과 기대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글쓰기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글쓰기에 대하여 흥미와 긍정적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 글쓰기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and perception on writing and writ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educational experience, the attitude and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writing. Samples are 1,053 students from 15 universities in Kore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self-efficacy and predictors, particularly writing interest and writing expectancy. In general, th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positive attitude on writing and writ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The greater writing interest and outcome expectancy, the higher writing self efficacy. An exception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ing outcome expectancy and writing self efficacy in creative writing.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for university students to improve writing self-efficacy, it is essential to help them develop positive attitudes and interest in writing.

      • KCI등재

        대학 편입생의 학습 참여 분석

        배상훈(Sang-Hoon Bae),윤수경(Soo-Kyung Yoon),한송이(Song-Ie Han),곽은주(Eun-Ju Kwak),이규린(Gyu-Rin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대학 편입생이 신입학 일반 학생과 비교하여 집단 차원에서 차별화되는 인구학적 배경을 확인하고, 두 집단 사이에서 학습 참여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전국 99개 대학에 재학 중인 26,047명의 학생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 통계 및 교차 분 석(카이제곱 검정), 경향점수매칭,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학적 배경 측면에서 성별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편입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연령이 높고, 고교내 신 등급은 낮으며, 가계소득 수준은 높았다. 또한 편입생은 일반 학생보다 대학 진학 과정에서 대학과 전공 모두를 고려하여 선택한 비율이 높았고, 대학과 전공 모두 원하는 대로 선택하지 못한 비율은 낮 았다. 편입 여부에 따른 학습 참여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성별, 고교내신 등급, 가계소득 수준을 공변인으로 하는 경향점수매칭을 실시하였고, 동 변인들에 대하여 등가성을 가진 2,250명의 자료가 최 종적으로 추출되었다. 연구 결과, 편입생은 일반 학생 보다 학습 전략, 교직원 관계, 지원적 대학 환경 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았고, 능동적․협동적 학습, 교수-학생 상호작용, 교우관계는 낮게 나타났다. 고 차원 학습과 반성적․통합적 학습, 다양한 토론, 효과적 교수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 함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ifferences exist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tudent engagement between transferred students and their non-transferred counterparts. Samples included 26,047 students from 99 four-year colleges. Chi-squared test and t-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ropensity score matching technique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transfer by accounting for the covariates that predict transfer of students. Study results showed that transferred students compared to non-transferred peers were older, have lower academic performance at high schools, and higher family income. In addition, transferred students tend to consider more the college reputation and major when they went to college, compared to their peers. Transferred students in comparison with their peers showed higher levels of learning strategies, relationships with the college staff, and perceived supportive college climate, while they showed lower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d peer relationship compared to their peers.

      • KCI등재

        논문(論文) : 교육과학기술부 출범을 위한 입법과정 분석 -법 정책학적,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

        배상훈 ( Sang Hoon Bae ) 대한교육법학회 2010 敎育 法學 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교육부와 과기부의 통합 과정에 영향을 미친 정치사회적 맥락을 탐색하고, 정부조직법 개정 과정에서 나타난 정치권과 이해관계집단의 갈등 및 타협 과정에 대하여 분석하며, 교과 부 출범 이후 후속조치 과정에서 이러한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교육부와 과 기부가 통합 과정에는 정책적, 정치적 그리고 법적 현상이 긴밀히 상호 작용하였다. 둘째, 전 과정에서 걸쳐 정치적 고려와 판단이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셋째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볼 때, 양 부처의 통합 과정에서 나타난 긴장과 갈등은 오랜 기간 제도화 과정을 거친 서로 다른 역사적 산물을 단기간에 바꾸는 것이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 넷째, 비록 국회의 입법과정을 통해 최종 정책결정이 이루어졌지만, 정책의제 설정과정은 정책결정시 고려하게 될 정책대안을 생산하는 과정으로써 의미를 가지며, 따라서 최대한 합리성에 입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모든 정책 과정에서 같은 유형의 긴장과 갈등이 반복되는 현실을 볼 때, 보다 근본적으로 이를 파악하여 대처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ociopolitical context that affected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by merging two different ministries -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it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study found: a) combining two ministries entailed interactive process among policy making, politics and legislation; b) political consideration may not be overemphasized in the legislative process for building the new ministry; c) difference in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wo ministries created tension and conflicts when they were merged; d) the agenda-setting process was important in that it in fact limited the scope of decision-making. To throughly combine two ministries, it is necessary to resolve the cultural, psychological, and institutional conflicts between two parties.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실태

        배상훈(Bae, Sang-Hoon),홍지인(Hong, Jee-In),송유유(Song, You-You)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4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의 학습참여 실태를 한국 학생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국 9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373명과 한국학생 1,119명을 대상으로 6개 학습참여 요인(학업도전, 지적활동, 능동적 협동적 학습, 교우관계, 교수와 상호작용, 지원적 대학 환경)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중국 유학생들은 한국 학생들보다 읽기과제를 많이 수행한다고 인식하고 학습활동에 있어 전자매체를 보다 활발히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수업 중 발표 활동은 적었다. 교우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기술통계는 중국 학생들이 한국 학생들보다 소극적임을 보여주었다. 한국 학생들과 비교하여 교수와 활발히 교류하고 사회적 활동에 대한 대학의 지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학업적 성공을 돕는 지원에는 반대 인식을 보였다. 요컨대 중국인 유학생들은 성공적인 학습참여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인간관계의 형성에는 한계가 있었고 특히 수업 중 발표 등 보다 본질적인 학습참여의 면에서 한국 대학생보다 활발하지 못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인 유학생들의 성공적인 유학 생활을 위해서는 친구나 교수와 활발하고 긴밀한 인적 관계가 형성되도록 지원하고, 학습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student engagement(academic challenge, intellectual activities,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student interaction with peers, student interaction with faculty members, supportive campus environment) between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nine Korean universities. Samples include 373 Chinese students and 1,119 Korean students. T-test was conducted followed by focus group to examine the reasons of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mpared to Korean peers, Chinese students felt that they conducted more reading assignments and used electronic media for study but that they had less class presentations.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on student interaction with peers but descriptive statistics show lower interactions of Chinese students with peers. Compared to Korean students, Chinese students had generally active interactions with faculty members and positive perceptions on supportive campus environment except learning-related supports. Study results suggest that it is essential to support human relations and provide learning-centered program for Chinese students to have greater student engagement and thus better outcomes.

      • KCI등재

        학교평가의 목적, 평가주체, 평가위원 구성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배상훈(Sang-Hoon Bae),조은원(Eun-Won Cho)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책무성 확보를 위하여 도입된 학교평가와 관련하여, 학교평가 목적, 평가 주체, 평가위원 구성에 대하여 교사와 학부모 집단이 가지는 인식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40개 학교(초 17교, 중 12교, 고 11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교사 840명, 학부모 601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두 집단은 모두 학교평가가 ‘학교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실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점에서 같았다. 하지만, 교사들은 학부모 집단과 비교해서 자신들이 수행한 과업을 평가하는데 외부인이나 학부모가 개입하는 것을 꺼리고 자체 평가를 선호하였다. 반면 학부모들은 외부 전문가나 자신들이 참여한 학교평가에 대하여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학교평가의 목적이 교육 수요자의 만족도 제고라고 인식하는 정도에서 교사들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교육책무성, 교육소비자주의, 교육전문가주의, 주인-대리인 등의 이론을 적용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on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bout what goals school evaluation should pursue, who should evaluate school performance, and who should participate in school evaluation panels. Samples include 840 teachers and 601 parents from 40 schools in Daegeon metropolitan areas.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both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enhanc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s a goal of school performance evaluation. Compared to teachers, parents greatly agree that satisfaction of consumers should be a top priority among the goals of school performance evaluation. In addition, unlike teachers, parents may want to include themselves as members of evaluation committee. While parents were also found to prefer participation of outside experts in the process of school evaluation, teachers a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school evaluation. Finally, the study provides interpretation of results employing theory of school accountability, educational consumerism, educational professionalism, and Principal-Agent problem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