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논문(論文) : 교육과학기술부 출범을 위한 입법과정 분석 -법 정책학적,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

        배상훈 ( Sang Hoon Bae ) 대한교육법학회 2010 敎育 法學 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교육부와 과기부의 통합 과정에 영향을 미친 정치사회적 맥락을 탐색하고, 정부조직법 개정 과정에서 나타난 정치권과 이해관계집단의 갈등 및 타협 과정에 대하여 분석하며, 교과 부 출범 이후 후속조치 과정에서 이러한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교육부와 과 기부가 통합 과정에는 정책적, 정치적 그리고 법적 현상이 긴밀히 상호 작용하였다. 둘째, 전 과정에서 걸쳐 정치적 고려와 판단이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셋째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볼 때, 양 부처의 통합 과정에서 나타난 긴장과 갈등은 오랜 기간 제도화 과정을 거친 서로 다른 역사적 산물을 단기간에 바꾸는 것이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 넷째, 비록 국회의 입법과정을 통해 최종 정책결정이 이루어졌지만, 정책의제 설정과정은 정책결정시 고려하게 될 정책대안을 생산하는 과정으로써 의미를 가지며, 따라서 최대한 합리성에 입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모든 정책 과정에서 같은 유형의 긴장과 갈등이 반복되는 현실을 볼 때, 보다 근본적으로 이를 파악하여 대처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ociopolitical context that affected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by merging two different ministries -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it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study found: a) combining two ministries entailed interactive process among policy making, politics and legislation; b) political consideration may not be overemphasized in the legislative process for building the new ministry; c) difference in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wo ministries created tension and conflicts when they were merged; d) the agenda-setting process was important in that it in fact limited the scope of decision-making. To throughly combine two ministries, it is necessary to resolve the cultural, psychological, and institutional conflicts between two parties.

      • KCI등재
      • KCI등재

        장거리 최적경로탐색을 위한 부분탐색기법 연구

        배상훈(Bae Sanghoon)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3D

        실시간 여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동적 최적경로탐색 시스템은 실시간 경로 탐색을 통해 대다수 사용지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최적경로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동적 최적경로탐색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최적경로를 갱신하여야 하므로 짧은 시간에 최적경로를 탐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제한적인 탐색영역 설정기법을 사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동적 경로탐색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저사양의 하드웨어로도 동적 경로탐색이 가능한 기법을 개발하였다. 대표경로를 사용한 탐색영역 설정 기법으로 갱신 주기에 따른 유효 탐색영역에 대한 최적해와 대표경로를 조합한 부분해를 사용하는 부분 탐색영역 설정기법을 제안하였다. 가상의 도로망에 적용한 결과 기존의 방법에 비해 최대 50% 정도의 좁은 탐색영역으로도 최적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었다. 또한 이동거리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탐색영역을 설정할 수 있어서 단거리 이동경로 탐색이 가능한 정도의 하드웨어 성능으로도 장거리 최적경로를 탐색할 수 있었다. It is widely known that the dynamic optimal path algorithm, adopting real-time pathfinding, can be supporting an optimal route with which users are satisfied economically and accurately. However, this system has to search optimal routes frequently for updating them. The proposed concept of optimizing search area lets it reach heuristic optimal path rapidly and efficiently. Since optimal path should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an distance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tremendous calculating time and highly efficient computers are required for searching tong distance journey. In this paper, as a result of which the concepts of partial solution and representative path are suggested. It was possible to find an optimal route by decreasing a half area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method. Furthermore, as the size of the searching area is uniform, comparatively low efficient computer is required for long distance trip.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실태

        배상훈(Bae, Sang-Hoon),홍지인(Hong, Jee-In),송유유(Song, You-You)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4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의 학습참여 실태를 한국 학생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국 9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373명과 한국학생 1,119명을 대상으로 6개 학습참여 요인(학업도전, 지적활동, 능동적 협동적 학습, 교우관계, 교수와 상호작용, 지원적 대학 환경)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중국 유학생들은 한국 학생들보다 읽기과제를 많이 수행한다고 인식하고 학습활동에 있어 전자매체를 보다 활발히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수업 중 발표 활동은 적었다. 교우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기술통계는 중국 학생들이 한국 학생들보다 소극적임을 보여주었다. 한국 학생들과 비교하여 교수와 활발히 교류하고 사회적 활동에 대한 대학의 지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학업적 성공을 돕는 지원에는 반대 인식을 보였다. 요컨대 중국인 유학생들은 성공적인 학습참여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인간관계의 형성에는 한계가 있었고 특히 수업 중 발표 등 보다 본질적인 학습참여의 면에서 한국 대학생보다 활발하지 못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인 유학생들의 성공적인 유학 생활을 위해서는 친구나 교수와 활발하고 긴밀한 인적 관계가 형성되도록 지원하고, 학습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student engagement(academic challenge, intellectual activities,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student interaction with peers, student interaction with faculty members, supportive campus environment) between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nine Korean universities. Samples include 373 Chinese students and 1,119 Korean students. T-test was conducted followed by focus group to examine the reasons of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mpared to Korean peers, Chinese students felt that they conducted more reading assignments and used electronic media for study but that they had less class presentations.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on student interaction with peers but descriptive statistics show lower interactions of Chinese students with peers. Compared to Korean students, Chinese students had generally active interactions with faculty members and positive perceptions on supportive campus environment except learning-related supports. Study results suggest that it is essential to support human relations and provide learning-centered program for Chinese students to have greater student engagement and thus better outcomes.

      • KCI등재

        대학생의 심층 학습(deep learning)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개 대학 사례 연구

        배상훈(Bae Sanghoon),전수빈(Jeon Suebin),홍지인(Hong Ji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층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국내 대학 맥락에서 탐색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개인적 특성을 가진 학생이 심층 학습을 활발히 하는지와 심층 학습을 유도하는 학습 환경(learning context)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심층 학습(deep learning)이란 단순 암기를 특징으로 하는 표면적 학습(surface learning)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지식의 통합, 반성, 재구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심층적인 학습 접근(deep approach to learning)을 지칭한다. 양적 조사(K-NSSE) 결과, 재학생의 심층 학습 수준이 우 수한 것으로 나타난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93명과 교수 37명에 대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고, 전사 한 자료를 주제 분류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의 심층 학습을 유도하는 학습 환경으로는 심층 학습 촉진자로서 교수의 역할, 문제해결 학습 상황, 협동 학습과 다양성 기반 학습 환경, 융합교육 환경, 기숙사 생활 등이 나타났다. 그리고 기관 특성으로는 대학의 규모와 교육 및 연구중심 등 대학기관 의 특성이 학생의 심층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인 특성으로는 개인의 성향, 학년이 심층 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에 대한 기대 및 동기와 전공 계열이 대학의 학습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심층 학습 경험을 촉진하고 있었다. 결론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대학생의 심층 학습을 이 끌어 내고자 하는 대학들이 실천적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Previous studies have claimed deep learning is highly associated with college students’ engagement as well as their academic achievement. With its importance in mind,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Korean college students’ deep learning. To investigate the research purpose, the study conducted multi-case analysis on three universities. The three universities have been in the upper ranks of the K-NSSE for their students’ deep learning participation.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20 professors and students at the subject universities. The analysis followed a strict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rocedure. Two major factors on college students’ adopting deep learning strategies were noted by analyzing the interviews: personal and contextual. Once the research results were deliberated, the study suggested some practical policies which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may adopt to improve and facilitate their students’ deep learning.

      • KCI등재

        학교평가의 목적, 평가주체, 평가위원 구성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배상훈(Sang-Hoon Bae),조은원(Eun-Won Cho)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책무성 확보를 위하여 도입된 학교평가와 관련하여, 학교평가 목적, 평가 주체, 평가위원 구성에 대하여 교사와 학부모 집단이 가지는 인식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40개 학교(초 17교, 중 12교, 고 11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교사 840명, 학부모 601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두 집단은 모두 학교평가가 ‘학교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실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점에서 같았다. 하지만, 교사들은 학부모 집단과 비교해서 자신들이 수행한 과업을 평가하는데 외부인이나 학부모가 개입하는 것을 꺼리고 자체 평가를 선호하였다. 반면 학부모들은 외부 전문가나 자신들이 참여한 학교평가에 대하여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학교평가의 목적이 교육 수요자의 만족도 제고라고 인식하는 정도에서 교사들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교육책무성, 교육소비자주의, 교육전문가주의, 주인-대리인 등의 이론을 적용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on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bout what goals school evaluation should pursue, who should evaluate school performance, and who should participate in school evaluation panels. Samples include 840 teachers and 601 parents from 40 schools in Daegeon metropolitan areas.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both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enhanc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s a goal of school performance evaluation. Compared to teachers, parents greatly agree that satisfaction of consumers should be a top priority among the goals of school performance evaluation. In addition, unlike teachers, parents may want to include themselves as members of evaluation committee. While parents were also found to prefer participation of outside experts in the process of school evaluation, teachers a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school evaluation. Finally, the study provides interpretation of results employing theory of school accountability, educational consumerism, educational professionalism, and Principal-Agent problem theory.

      • KCI우수등재

        캠퍼스 인간관계, 교수-학생 상호작용, 협동학습 및 대학몰입의 구조적 관계

        배상훈(Bae Sang Hoon),이순희(Lee Soon Hee)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이 인식한 캠퍼스 인간관계의 질, 교수와의 상호작용, 협동학습 및 대학몰입의 구조적인 영향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특히, 캠퍼스 인간관계와 대학몰입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협동학습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2019년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에 참여한 113개 대학에 재학하는 83,773명이 응답한 자료를 분석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학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인간관계의 질은 교수와의 상호작용, 협동학습, 대학몰입에 대하여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생들이 느끼는 인간관계의 질이긍정적일수록, 교수와의 상호작용 및 협동학습 빈도가 높아졌고, 이를 매개로 다시 학생의 대학몰입을 높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캠퍼스 구성원들이 형성하는 인간관계가 학생의 학업적, 정서적, 공동체적 성장과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환경 요인이 될 수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대학이 학생의 지속적인 학습과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인간관계, 즉 공동체적 대학을 만드는 데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atisfaction of human relations, interaction with the faculty, cooperative learning, and institutional commit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particular, the mediating effect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human relations and institution commitment was examined. Data from 83,773 students attending 113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2019 K-NSSE were analyzed,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quality of human relationships perceived by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action with professors, cooperative learning, and institu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greater positive perception on the quality of human relations led to more interactions with professors and cooperative learning, which in turn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institu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human environments formed by campus members’ relations can be an important factor that positively influences student s academic and emotional growth and development. Therefore, universities need to make efforts to establish a positive human environments, that is, building university community, in order to promote learning and growth of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