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소리 감지를 이용한 유아 보호 스마트 통신 시스템 구현
배기동 ( Ki-dong Bae ),황은지 ( Eun-ji Hwang ),임호균 ( Ho-kyun Yim ),이강만 ( Gangman Y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2 No.1
최근 주변 사물과 IT기술을 접목하여 사람들의 불필요한 시간을 줄여주는 제품들이 각광받고 있고 이러한 제품들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임베디드 디바이스 또한 많은 개발과 발전을 하였다. 본 프로젝트는 아두이노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통신을 통해 아이의 위기와 이상을 감지하여 물리적 먼 거리에 서도 보호자가 위기 상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통보하는 디바이스를 개발하였다. 아두이노와 사운드 센서를 기본 디바이스로 아이의 울음을 감지하고, wifi 쉴드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며 스마트 디바이스는 이를 감지하여 부모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여 보호가 필요한 아이의 위급 상황에 빠른 대처가 가능하게 하였다.
배기동(Bae Ki-dong)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9 아시아문화연구 Vol.16 No.-
한반도의 후기구석기시대의 편년은 크게 대형석인과 슴베찌르개를 공반하는 석인석기공작을 초기의 형식이라고 보고 이것은 현재의 절대연대자료를 토대로 4만년 전에서 3만 5천년 전 경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후기구석기의 후기에는 일반적으로 중석기시대로 구분하는 세석인 석기공작이 2만 년 전 경에 발전하게 되는데 이를 전후하여 후기구석기시대에 지속적으로 출현하던 고식의 석영박편석기전통은 점차로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세석인 석기공작은 분명하지는 않지만 1 만년전후한 시기에 까지 지속되며 신석기시작과 함께 사라지게 된다. 후기구석기문화의 기원은 현재로서는 두 가지의 다른 방향에서 생각되고 있다. 하나는 석인석기의 도입으로 후기구석기가 시작된다는 것과 과도기를 거쳐서 자체 발전하였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다시 말해서, 전ㆍ중기에 나타나는 구식석기들이 발달하여 후기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포함하고 석인은 후기구석기의 중기에 출현한다는 설명이다. 석인석기의 도입은 분명 북방 시베리아 지역에서 북중국을 거쳐 유입된 것으로 보는 것이 보편적이며 이는 흔히 제안하듯이 현생인류의 확산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후기구석기시대에 석영석기전통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에 대해서 석인석기집단 이전에 존재하던 고인류 집단의 문화가 지속되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시기적으로 볼 때 석인석기와 공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적응과정의 산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한반도의 후기구석기문화가 시베리아의 석인석기공작이 전파하여 온 것과 동시에 불규칙한 석영석기를가진 다른 현생인류 집단이 중국의 남부지역에서 들어와서 문화적으로 공존하면서 서서히 문화변동이 일어난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The Upper Paleolithic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early and late. Early Upper Paleolithic industries consist of long blades and tang points while late of micro-blades. Early Upper Paleolithic industries appeared sometime between 40 k BP and 35 k BP on the basis of AMS datings. Micro-blade industries are often thought to have appeared 20 k BP, although some of AMS dates indicate older than this time. Small flake tool industries on vein quartz persisted in the early Upper Paleolithic Age and gradually disappeared at the time of introduction of micro-blade technology. Origin of blade industriesis believed to have diffused from Siberian region via Inner Mongolia and northern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It is clearly associated with the migrationof the modern man. Continuing appearance stone industries on of quartz or quartzite raw material is often considered an evidence of local development of Upper Paleolithic industries, however the coexistence of the two different industries in the early Upper Paleolithic Age could represent two different origins of modern human in the Korean peninsula. Some Upper Paleolithic immigrants from the Southern China may not have had blade technology, but conventional expedient tools on crude raw material. Although strong possibilityof migration from this area exists, currently no presence of blade has been reported in this area. This would be an alternative explanation for the cultural complexity of the early Upper Paleolithic Age along with an explanation of modern blade maker’s local adaptation to poor raw material after arrival in northeast Asia.
배기동,크리스토퍼 배,이철민,김기룡,Bae, Ki-Dong,Bae, Christopher,Lee, Chul-Min,Kim, Ki-Ryong 한국제4기학회 2011 제사기학회지 Vol.25 No.1
고대의 인간거주의 흔적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부 내륙의 석회암 지대인 평창, 단양, 진천, 괴산, 제천, 문경, 보은, 상주 등지에 대한 조사에서 모두 고고학적으로 기조사된 동굴 6개소 및 31개소의 동굴이 지표조사 되었다. 조사는 주로 입지와 퇴적층의 유무 그리고 문화유물의 부존가능성에 대한 확인을 포함하였다. 조사된 동굴 중에서 평창의 광천선굴이나 문경의 모산굴을 비롯한 11개소가 퇴적층의 잔존상황이나 토기나 동물 뼈 등의 유물의 산포상황으로 미루어 고고학적으로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 중에 문경 모산굴은 크기나 내부의 퇴적층 그리고 발견된 토기로 미루어 고고학적인 가치가 분명하게 확인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자료는 그동안 이 지역에서 조사된 인간거주의 증거들과 함께 구석기시대 이래의 생활사를 잘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Archaeological survey has been carried out to find some evidence of human occupation in 31 caves in Pyeoungchang, Danyang, Jincheon, Goesan, Munkyoung, Boeun, Sangju in central limestone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Among those caves, some archaeological evidences were observed in 11 caves. Various types of potteries, animal bones and stone artifacts were collected on surface of sediments in caves. Among them, the Mosan cave in Munkyoung and the Kwangcheonseongul in Pyeoungchang are very likely to yield important archaeological remains in the well preserved deposits in the caves. Further researches are expected to provide significant information for explaining human living from prehistoric time to historical periods.
황은지 ( Eun-ji Hwang ),배기동 ( Ki-dong Bae ),임호균 ( Ho-kyun Yim ),이강만 ( Gangman Y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2 No.1
최근 현대인들에게 스마트 기기는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고, 바쁜 일상을 보내기 때문에 시간을 절약 할 수 있는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아두이노와 스마트 기기의 통신을 이용하여 바쁜 현대인들이 일상생활 속에서도 생리현상을 통해 건강상태를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구현 하였다. 아두이노와 가스센서를 이용해 암모니아 및 여러 가스들의 농도를 측정하고, wifi 쉴드를 통해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에 전달한다. 받아온 데이터를 분석하여 나온 건강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출력 하도록 하여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건강을 체크할 수 있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