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면 거리 기반 3차원 형태 기술자

        박현,문영식,김재협 대한전자공학회 2006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3 No.3

        In this thesis, we propose a new 3D shape descriptor. The proposed descriptor measures geometric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shortest path on surfaces. The descriptor is robust against a change of local posture. We measure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3D object through a new shape function to construct the shape distribution. The proposed shape function is the shortest path shape function. The shape function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on the surface of a 3D object.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compared with the previous method. The precision of retrievals improved by 23% in the case of articulated objects and is improved by 12% in the case of general objects.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객체의 표면에서 이루어지는 최단 경로(Shortest Path)를 이용하여 3차원 객체의 전체적인 형태의 특성을 측정하는 3차원 형태 기술자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3차원 형태 기술자는 기존 방법에서 문제가 된 부분적 자세 변화에 대한 민감성 부분을 해결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새로운 형태 함수를 통해 3차원 객체의 전체적인 형태의 특성을 측정하여 형태 분포를 생성한다. 새로운 형태 함수는 표면에서 이루어지는 최단 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최단 경로 형태 함수다. 3차원 객체 표면의 임의의 두 점을 선정한 후 그 두 점의 거리를 최단 경로 형태 함수를 통해 측정하며 이와 같은 형태 함수의 적용을 통하여 3차원 객체의 부분적 자세 변화에 강건하도록 한다. 기존의 형태 분포와 비교하여 성능을 평가한 결과, 관절 객체에 대해서는 약 23%, 일반 객체에 대해서는 약 12%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KCI등재

        영상 특성을 이용한 3D-DCT 기반의적응적인 비디오 워터마킹

        박현,문영식,이성현 대한전자공학회 2006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3 No.5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aptive video watermarking method using human visual system(HVS) and characteristics of three-dimensional cosine transform (3D-DCT) cubes. We classify 3D-DCT cubes into three pattern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coefficients in the 3D-DCT cube: cube with motion and textures, cube with high textures and little motion, and cube with little textures and little motion. Images are also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se patterns: images with motion and textures, images with high textures and little motion, and images with little textures and little motion. The proposed watermarking method adaptivelyinserts the watermark on the coefficients of the mid-range in the 3D-DCT cube using the appropriately learned sensitivity table and the proportional constants depending on the patterns of 3D-DCT cubes and types of imag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invisibility and robustness than the previous method.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시각 특성(Human Visual System)과 3D-DCT(Three Dimensional Discrete Cosine Transform) 블록 특성을 이용한 적응적인 비디오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한다. 3D-DCT 계수들의 분포에 따라 3D-DCT 블록을 움직임과 텍스쳐 모두 있는 블록, 움직임은 거의 없고 텍스쳐만 있는 블록, 움직임과 텍스쳐 모두 거의 없는 블록 등 3가지 패턴으로 분류한다. 또한 분류된 3D-DCT 블록의 패턴 비율에 따라 영상을 움직임과 텍스쳐 모두 있는 영상, 움직임은 거의 없고 텍스쳐만 있는 영상, 움직임과 텍스쳐 모두 거의 없는 영상 등 3가지 타입으로 분류한다. 제안된 워터마크 삽입 방법은 분류된 3D-DCT 블록 패턴과 영상 타입에 따라 적응적으로 학습된 민감도 테이블과 비례 상수를 이용하여 입력 비디오 영상의 3D-DCT 중간 대역 계수에 적응적으로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실험 결과들은 제안된 방법이 투명성과 강건성에서 이전 방법보다 우수함을 보인다.

      • KCI등재

        2차원 칼라 얼굴 영상에서 반복적인 PCA 재구성을 이용한 자동적인 잡음 제거

        박현,문영식 대한전자공학회 2006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3 No.2

        Denoising and reconstruction of color images are extensively studied in the field of computer vision and image processing. Especially, denoising and reconstruction of color face images are more difficult than those of natural images because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uman faces as well as the subtleties of color interac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noising method based on PCA reconstruction for removing complex color noise on human faces, which is not easy to remove by using vectorial color filters. The proposed method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five steps: training of canonical eigenface space using PCA, automatic extraction of facial features using active appearance model, relighing of reconstructed color image using bilateral filter, extraction of noise regions using the variance of training data, and reconstruction using partial information of input images (except the noise regions) and blending of the reconstructed image with the original imag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denoising method maintain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put faces, while efficiently removing complex color noise. 칼라 영상의 잡음 제거 및 복원은 컴퓨터 비젼 및 영상 처리 분야에서 점점 더 많은 연구가 되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칼라 얼굴 영상에서의 잡음 제거 및 복원은 색상들 간의 미묘한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얼굴의 구조학적 특징 때문에 일반적인 영상의 처리보다 더욱 어렵다. 본 논문은 벡터기반의 영상 필터들을 이용하여 제거하기 어려운 칼라 얼굴 영상의 복합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PCA 재구성 기반의 잡음 제거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PCA를 이용한 정준 고유얼굴 공간의 학습단계, 동적 외양 모델을 이용한 자동적인 얼굴 특징 추출 단계, Bilateral 필터를 이용한 복원된 칼라 영상의 재조명(Relighting) 단계, 학습 데이터들의 분산 값들을 이용한 잡음 영역 추출 단계, 입력 영상의 부분 정보를 이용한 재구성과 이를 원본 영상과 합성하여 잡음이 제거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등 총 5 단계로 구성된다. 실험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입력 얼굴 영상들의 구조적 특징들은 잘 유지하면서 복합적인 칼라 잡음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열대열 말라리아에 대한 상피목 및 죽과의 항 말라리아의 효과

        박현,김명수,전병훈,이존화,Takaya, Yoshiaki,Wataya, Yusuke,김혜숙 대한동의병리학회 2003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7 No.3

        Among extracts prepared from Alstonia scholaris, Phyllostachys pubescens and Bambusa veitchii, methanol fraction of Alstonia scholaris was found to have antiplasmodial effect by inhibiting growth of the chloroquine-resistant Plasmodium falciparum strain FCR-3 with less than 14 ㎍/ml of EC50 values. Methanol fraction 2 of Alstonia scholaris revealed the strongest antiplasmodial effect with 40 ㎍/ml of EC50 value. Especially, this fraction showed higher than 3-folds selective toxicity on a Plasmodium as the EC value was 116 ㎍/ml on the host FM3A cell. This is the first report on which an extract compound from Alstonia scholaris showed antimalarial effect.

      • KCI등재

        한국에서 9월의 기상인자가 송이 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그 극복방안

        박현,김교수,구창덕 ( Hyun Park,Kyo Soo Kim,Chang Duck Koo ) 한국산림과학회 199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4 No.4

        Relationships between pine-mushroom(Tricholoma matsutake) yield and important climatic factors for the yield(such as monthly precipitation, relative humidity, temperature, and radiation percentage) were examined to find out limiting factors for pine-mushroom production and to develop a method for overcoming the factors by analyzing the yield and climate data for 17 years collected from 18 main regions of pine-mushroom production. Although there were variations among the production regions, climatic condition of September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pine-mushroom yield in general, and the degrees of importance of each climatic factors were different among the production regions. Mean minimum temperature of Septembe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ine-mushroom yield(r²◎0.41) at the 1% level, of which were 9 regions such as Youngduck, U1jin, Samchuck, Bongwha arid so on. In these regions, vegetation control was expected to be effective for pine-mushroom production by allowing much sunlight penetration to the pine stand, which may increase soil temperature and keep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fungal colony in soil. Precipitation during Septembe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ine-mushroom yield(r²◎0.41) at Namwon, Moonkyung and Sangju. Thus, irrigation around fungal colony in dry soil during September would be effective for enhancing mushroom yield at the regions. Pine-mushroom yield of 1994 was quite low, similar to that of 1993, due to serious drought. In this period, we could manifest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pine-mushroom yield by irrigation for overcoming drought at Moonkyung and Keochang regions.

      • 현대인의 건강과 술의 상관관계 ; 운동 전 또는 운동 중 시원한 맥주 한 잔! 괜찮을까?

        박현 대한보건협회 2010 건강생활 Vol.- No.68

        알코올 섭취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판단 착오, 감각 저하, 민첩성 저하, 무리한 플레이 등의 원인이 되어 경기력을 저하시키고 운동 상해의 위험도 크게 증가시켜, 몇 달 또는 그 이상 운동을 못하게 되는 원치 않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