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을 기반한 창의적 문제해결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습자 주도성의 발달과정과 미래창의융합역량함양에 관한 혼합연구

        박현희(Hyun Hee Park),곽민정(Minjung Kwa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을 기초로 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수업에서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발달과정과 미래창의융합역량의 함양을 혼합연구방법으로 알아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질적자료수집은 15주간의 참여학습자로부터 생성된 수업성찰, 수업과제 결과물, 교수자 면담, 동료평가지 등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량은 A4용지 683장이였으며 줄분석방법(Line by line analysis)을 활용하였다. 질적연구를 지지하고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양적자료 수집도 진행하였는데 박현희, 곽민정(2023)의 미래창의융합인재역량의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전문가 타당도를 통해 본 연구에 맞는 문항만을 활용하여 15주간 수업의 사전-사후로 미래창의융합역량을 측정을 하였다. 수집된 양적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질적자료 분석결과 세가지 핵심주제 ‘학습자 주도성 이해와 발휘’, ‘소통과 협력의 실천’, ‘평생학습자로서의 지속적인 성찰 인식 으로 범주화되었다’.양적 자료 분석의 결과학습자 , 주도성에 기초한 창의적문제해결력 교과목을 수강신청한 대학생들의 미래창의융합역량은 함양되었음을 검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미래를 위한 핵심교육역량인 학습자 주도성에 기초한 창의력문제해결수업은 수강한 미래창의융합역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핵심 주제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팀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학습자 주도성이 함양되는 수업이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결과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한계점 시사점,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rocess of learner initiative(student agen-cy) and the cultivation of future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in creative problem solving class based on learner initiative(student agency) and to explore implications. Methods The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from 15 weeks of class reflection, class project results, teacher inter-views, peer evaluation papers, etc. The amount of collected data was 683 sheets of A4 paper and line by line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support and supplement qualitative research, quantitative data collection was also conducted. Based on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future creative convergence talent competency by Park Hyun-hee and Kwak Min-jung (2023), future creative convergence measuremen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15-week class using questions suitable for this study through expert validity.Th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 statistical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it was categorized into three core themes ⁇ understanding and demonstrating learner initiative, practic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recognizing continuous re-flection as a lifelong learner.As a result of quantitative data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the future creative con-vergenc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who applied for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course based on learner initiative was cultivated.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creativity problem solving class based on the learner ini-tiative, which is the core educational capacity for the future, has a high level of convergence ability of future crea-tivity, which is related to the core them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class in which the learner initiative is culti-vated through the team project activity was performed.Through this, discussions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f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패션제품 버리기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

        박현희,구양숙,Park, Hyun-Hee,Ku, Yang-Suk 한국의류산업학회 2017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and demographic factors influencing the difficulty people may have in discarding fashion goods. In addition, differences of disposal behavior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ported difficulty with which people discarded fashion goods. A total of 260 surve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requency, correl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22.0.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iculty of discarding of fashion goods was positively affected by concern for the environment and the potential for creative reuse of fashion goods, whereas it was not influenced by interdependenc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ifficulty with which people discarded fashion goods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nd whether or not they held certain religious belief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other demographic factors. Third, the group demonstrating a high degree of difficulty in discarding fashion goods preferred certain disposal behaviors such as donating to religious organizations, schools, charities etc., exchanging with other people or bartering, reforming for other purposes, selling to secondhand shops or on the internet, storing without wearing it, or discarding it after salvaging reusable p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various guidelines for consumers and retailers of fashion products who are interested in the efficient disposal of fashion goods.

      • KCI등재

        Effect of glycerin on the surface hardness of composites after curing

        박현희,이인복,Park, Hyun-Hee,Lee, In-Bog The Korean Academy of Conservative Dentistry 201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6 No.6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글리세린의 도포가 복합레진의 중합 후 표면경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디스크 형태의 황동 몰드에 복합레진(Z-250, 3M ESPE)을 충전 후 다음과 같이 광중합 하였다. 1군(대조군)은 복합레진 표면을 공기 중에 노출한 후 40초 동안 광조사, 2군은 표면을 Mylar strip으로 덮은 후 40초 광조사, 3군은 표면을 glycerin으로 도포 후 40초 광조사, 4군은 공기 중에 노출시켜 20초 광조사한 다음 시편 표면에 glycerin으로 도포한 후 추가로 20초 동안 광조사 하였다. 각 그룹당 20개의 시편을 준비하였고, 연마 후 또는 연마를 하지 않고 시편의 표면경도를 측정하였다. 5일 후 각 시편의 표면경도를 재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three-way ANOVA와 Tukey's post hoc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중합 직 후, 연마하지 않은 시편의 표면경도는 2군 > 3군 > 4군 > 1군의 순이었다. 연마한 경우 각 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같은 군 내에서는 5일 후 표면경도가 중합 직 후 보다 증가하였고 연마한 경우가 연마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높은 표면경도를 나타냈다. 결론: 중합 후 복합레진의 표면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연마였고, 중합 전 Mylar strip의 사용이나 glycerin의 도포 역시 중합된 복합레진의 표면경도를 증가시켰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lycerin topical application on the surface hardness of composite after curing. Materials and Methods: A composite (Z-250, 3M ESPE) was packed into a disc-shaped brass mold and light cured according to one of the following protocols. Group 1 (control) was exposed to air and light cured for 40 sec, group 2 was covered with a Mylar strip and light cured for 40 sec, group 3 was surface coated with glycerin and light cured for 40 sec, and group 4 was exposed to air and light cured for 20 sec and then surface coated with glycerin and cured for additional 20 sec. Twenty specimens were prepared for each group. The surface hardnesses of specimens were measured with or without polishing. Five days later, the surface hardness of each specimen was measured again. Data were analyzed by three-way ANOVA and Tukey's post hoc tests. Results: The surface hardnesses of the unpolished specimens immediately after curing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group 2 > 3 > 4 > 1. For the polished specime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Within the same group, the hardness measured after five days was increased compared to that immediately after curing, and the polished specimens showed greater hardness than did the unpolished specimens. Conclusions: The most effective way to increase the surface hardness of composite is polishing after curing. The uses of a Mylar strip or glycerin topical application before curing is recommended.

      • 블록 기반 실시간 계수 시스템

        박현희,이형구,김재희,Park Hyun-Hee,Lee Hyung-Gu,Kim Jai-Hie 대한전자공학회 2006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3 No.5

        본 논문에서는 블록 기반 실시간 계수 시스템을 제안한다. 계수 시스템은 쇼핑몰이나 대형건물의 출입구,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의 핵심은 세 부분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첫째, 환경 변화에 강인한 배경 제거 기법, 둘째, 학습을 이용한 블록 기반 계수 결정 방법, 마지막으로 4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한 시스템 구현이다. 환경 변화에 강인한 배경 제거 기법으로 MOG(mixture of gaussian)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블록 기반 계수 결정 방법은 영상을 $6{\times}1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학습 영상을 이용하여 각각의 블록에서 물체의 크기에 대한 평균과 분산을 계산하고 이를 저장하여 계수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마지막으로 4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처리 하기 위하여 추출된 물체 각각을 구분하여 추적하는 것이 아니라 물체가 이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 즉 결합이나 분리되는 현상을 분석하여 계수 판단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 복도 그리고 출입문등과 같이 조명환경과 그림자 상황 등이 변하는 환경에서 의 계수 정확도는 $90{\sim}94%$, 채널 당 처리 속도는 15 frames/sec 이상의 성능을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block-based real-time people counting system that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including showing mall entrances, elevators and escalators.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robust background subtraction, the block-based decision method and real-time processing. For robust background subtraction obtained from a number of image sequences, we used a mixture of K Gaussian. The block-based decision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given objects (moving people) in each block. We divided the images into $6{\times}12$ blocks and trained the mean and variance values of the specific objects in each block. This was done in order to provide real-time processing for up to 4 channels. Finally, we analyzed various actions that can occur with moving people in real world environments.

      • KCI등재

        옥수수 유식물 신초에서 Brassinosteroids의 항상성 조절을 위반 C-26 탈메틸 반응의 중요성

        박현희,김영수,김성기,Park, Hyun-Hee,Kim, Young-Soo,Kim, Seong-Ki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6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3 No.1

        옥수수 유식물 줄기에서 중요 BRs의 함량조절 기작을 옥수수 유식물 줄기로부터 얻어진 효소원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먼저 활성형 BR인 CS의 대사를 [$^2H_0$]-와[$^2H_6$]-CS를 기질로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2H_0$]- 와 [$^2H_6$]-CS는 각각 [$^2H_0$]-26-norCS와 [$^2H_3$]-28-norCS로 전환됨을 GC-MS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두 가지의 대사과정 중 C-26 탈메틸 반응에 의한 CS에서 26-norCS로의 전환만이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반응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주요 생합성 전구물질인 6-deoxoTE와 6-deoxoTY에 대해서도 같은 효소원을 이용하여 C-26 탈메틸 반응에 의한 대사를 조사한 결과 6-deoxoTE는 6-deoxo-3-dehydroTE와 6-deoxoTY로, 6-deoxoTY는 6-deoxo-3-dehydroTE와 6-deoxoTE로 전환됨을 확인함과 동시에, 6-deoxoTE는 6-deoxo-26-norTE 로, 6-deoxo-3-DHT는 3-dehydro-6-deoxo-26-norTE, 6-deoxoTY는 6-deoxo-26-norTY로 전환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옥수수 유식물 줄기에서 중요 BRs가 모두 C-26 탈메틸 반응이 일어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로서 BRs의 C-26 탈메틸 반응이 활성형 BR뿐만 아니라 그 생합성 전구물질에도 중요한 함량조절 기작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Regulatory mechanism for endogenous levels of castasterone (CS) and its biosynthetic precursors in shoots of maize was investigated by the use of enzyme solution prepared from the plant tissue. When [$^2H_0$]- and [$^2H_6$]-CS was used as substrates, [$^2H_0$]-26-norCS and [$^2H_3$]-28-norCS were identified as products, indicating that [$^2H_0$]- and [$^2H_6$]-CS are differently metabolized into [$^2H_0$]-26-norCS and [$^2H_3$]-28-norCS by C-26 and C-28 demethylation,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both C-26 and C-28 demethylation can be involved in CS catabolism. In fact that C-28 demethylation only occurred when isotope labeled substrate was used, however, C-26 demethylation is thought be a natural reaction occurred in the maize shoots. When 6-deoxoteasterone (6-deoxoTE) was used, 6-deoxo-26-norTE and 3-dehydro-6-deoxo-26-norTE as well as 6-deoxo-3-dehydroTE and 6-deoxotyphasterol (6-deoxoTY) were identified as enzyme products. When 6-deoxoTY was added, 6-deoxo-26-norTY as well as 6-deoxo-3-dehydroTE and 6-deoxoTE was identified as products. These indicate that C-26 demethylation of 6-deoxoTE, 6-deoxo-3-dehydroTE and 6-deoxoTY as well as a reversible C-3 epimerization from 6-deoxoTE to 6-deoxoTY intermediated by 6-deoxo-3-dehydroTE are operative in the maize shoots, demonstrating that endogenous levels of biosynthetic precursors of CS are also controlled by C-26 demethylatio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C-26 demethylation is an important and a common deactivation process which functions to maintain steady state levels of endogenous brassinosteroids in the maize shoots.

      • KCI등재

        Fisher 선형 분류법을 이용한 비정상 트래픽 탐지

        박현희,김미정,강철희,Park, Hyun-Hee,Kim, Mee-Joung,Kang, Chul-Hee 한국전기전자학회 2009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3 No.2

        최근 인터넷을 통한 각종 침해사고 및 트래픽 폭주와 같은 현상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의 비정상적 상황을 조기에 탐지하기 위한 보다 능동적이고 진보적인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캠퍼스 네트워크와 같이 트래픽이 주기적인 특성을 띠는 환경에서 Fisher 선형 분류법(FLD)을 사용하여 트래픽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네트워크에 유입되는 트래픽이 어떤 그룹에 속하는지를 판별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WISE-Mon이라 불리는 트래픽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캠퍼스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수집하고 이를 모니터링해서 분석을 수행한다. 생성된 트래픽의 training set을 이용하여 비정상 트래픽의 범위를 판단하기 위한 chi-square distribution을 유도하고, FLD를 적용하여 유입되는 트래픽을 두 그룹으로 분리하기 위한 초평면 (hyperplane)을 만든다. 또한 네트워크 내의 트래픽 패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하는 상황을 반영하기 위하여 self-learning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캠퍼스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적용한 수학적 결과를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보여준다. Traffic anomaly detection is one of important technology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network security and administr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bnormal traffic detection mechanism that includes traffic monitoring and traffic analysis. We develop analytical passive monitoring system called WISE-Mon which can inspect traffic behavior. We establish a criter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 traffic training set. To detect abnormal traffic, we derive a hyperplane by using Fisher linear discriminant and chi-square distribution as well as th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raffic. Our mechanism can support reliable results for traffic anomaly detection and is compatible to real-time detection. In addition, since the trend of traffic can be changed as time passes, the hyperplane has to be updated periodically to reflect the changes. Accordingly, we consider the self-learning algorithm which reflects the trend of the traffic and so enables to increase the pliability of detection probability. Numerical results are presented to validate the accuracy of proposed mechanism. It shows that the proposed mechanism is reliable and relevant for traffic anomaly detection.

      • 우리나라기업의 물류환경변화에 따른 제3자물류에 관한 연구

        박현희,Park, Hyun-Hee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2 情報學硏究 Vol.5 No.3

        오늘날 기업들은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할 수 있는 제품을 생산제조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중요시 여기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경쟁력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시간과 장소에 따른 물리적 제품의 이동활동을 물류활동이라고 한다. 기업의 물류활동을 아웃소싱 의 일종인 제3자 물류산업으로 전환하여 기업의 물류비 절감과 물류서비스의 극대화를 추구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수출지원수단으로써 관세환급제도의 경제적 효과 분석

        박현희(Hyun-Hee Park) 한국관세학회 2011 관세학회지 Vol.12 No.1

        The duty drawback system is a system under which customs duties and other taxes levied on imported raw materials can be refunded after they are used to produce export goods. It is one of several export incentives that are being used to increase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exports. Since the launch of he WTO system, government support for export has been restricted. The duty drawback system is an export incentives that is not regarded as the prohibited export subsidies, as long as the amount of duty drawback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level. So under the current WTO system, it is one of the major export incentives allowed to the WTO Members. This paper examines whether or not the duty drawback system has contributed to promoting Korea's exports. Since in the unit root test, the concerned variables were non-stationary. This paper applies the ordinary least squares estimation using the first differenced variables, and examines the impact of the relative price, domestic demand pressure and duty drawbacks as export subsidies on export supply.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duty drawbacks have a positive impact on export volume. Therefore, duty drawbacks strengthen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exporters. Thus, an efficiently managed duty drawback system may contribute much to export promotion.

      • KCI등재

        통상협상 : 우리나라 농산물 원산지 결정기준에 관한 연구 -기 체결 FTA 협정을 중심으로-

        박현희 ( Hyun Hee Park ),조성제 ( Sung Je Cho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2 통상정보연구 Vol.14 No.2

        원산지란 국제간의 교역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모든 물품에 대한 국적을 나타내는 규정으로서 각국은 원산지 규정을 법 또는 제도로서 운영관리하며 산업재산권 보호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최근 경제 지도를 확대하기 위한 일환으로 확산되고 있는 FTA 협정에서 원산지규정은 매우 복잡한 절차와 이해를 필요로 하는 분야로 국가 간 협상의 최대 쟁점이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한·칠레 FTA를 시작으로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된 FTA 협정에서 원산지 기준은 각 협정별 차이로 인해 일관성이 결여되고 국가 간 협상이 쉽지 않은 분야이다. 특히 농업부문의 원산지 기준은 다른 재화와는 다른 농산물의 특성이 반영되어야 하며, 각 품목별 특성을 고려해야 하는 분야이다. 기 체결된 협정문에서 다루어진 원산지 기준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품목별 비교를 통해 향후 추진되고 있는 FTA 협정체결과정에서 농업부문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체결 FTA협정에서 농업부문의 원산지결정 기준에 대하여 칠레, 미국, ASEAN 그리고 EU와의 FTA협정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추진되는 FTA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A Certificate of Origin is used in international trade. It is a printed form, completed by the exporter or its agent and certified by an issuing body, attesting that the goods in a particular export shipment have been wholly produced, manufactured or processed in a particular country, FTA rules of origin in recent FTA agreement is a very complex procedure that requires international negotiations in the field has become the largest issues, Case of Korea-Chile FTA, starting with the origin criteria for each agreements is inconsistent due to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is an area that is not easy to negotiate. This study is covered in the agreement signed on the origin criteria for adequate review and comparison by item currently being pursued through the FTA was signed during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agricultural sector has to offer.

      • KCI등재후보

        지방공무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 스트레스 요인

        박현희(Hyun-Hee Park),류소연(So-Yeon Ryu),김보은(Bo-Eun Kim),천인애(In-Ae Chun),김명권(Myung-Guon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9

        이 연구는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수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 서구의 지방 공무원 734명을 대상으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와 우울도구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변수는 일반적 특징, 직업 관련 특징, 직무스트레스(KOSS), 우울(CES-D)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t-검정, 분산분석과 피어슨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직무스트레스 점수는 44.38±7.96 점으로 전문가 집단과 유사했으며, 우울은 14.46±10.19 점으로 나타났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 하부요인 중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직무 요구, 직무 불안정, 보상 부적절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and to find the associated domains of job stress with depression among local public officials. The study subjects consist of 734 local public officials in Seogu, Gwang Ju. A structure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job stress(KOSS), and depression(CES-D). The use statistical methods wer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total score of job stress was 44.38±7.96 and the score of depression was 14.46±10.19. The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shown that the three domains of job stress including job demand, job insecurity and lack of reward were associated with the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