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리방법에 따른 고사리의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 비교

        박초희,김경희,육홍선,Park, Cho-Hee,Kim, Kyoung-Hee,Yook, Hong-Su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3

        조리방법(non-blanched, blanched, seasoned)에 따른 고사리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80% ethanol에서 추출한 고사리의 추출수율은 볶은 후가 4.29%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이어 데치기 전이 2.69%로 높았고, 데친 후가 0.30%로 가장 낮은 수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볶은 후가 $96.11{\pm}0.34mg\;GAE$/100 g RW로 가장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경우에도 볶은 후가 $20.90{\pm}0.28mg\;CE$/100 g R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3가지 항산화 실험(DPPH assay, ABTS assay, reducing power) 결과, 볶은 후 > 데치기 전 > 데친 후 순으로 볶은 후 고사리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항균활성 측정 결과, 데치기 전 고사리는 S. aureus를 제외한 모든 균에서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P. aeruginosa균에 대해서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는데, 5 mg/disc의 농도에서 $10{\pm}0.71mm$, 10 mg/disc의 농도에서 $10.25{\pm}0.35mm$의 생육 저해 환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데친 후와 볶은 후의 고사리는 어떠한 균에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항균활성 측면에서 고사리는 조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섭취하는 것이 이로우나, 건조나물의 특성상 섭취하기 위해서는 물에 불리고 데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고사리는 발암성분인 청산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데치는 조리과정을 거친 후 섭취해야 한다. 데치는 과정을 거치면서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가 손실되지만, 이는 조리하는 과정에서 갖은 양념이 첨가됨으로써 데치기 전보다 생리활성 물질 및 항산화활성이 증가하므로 고사리는 데치거나 볶는 과정을 거쳐 섭취하는 것이 건강적인 측면에서 이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yield of extract, antioxidant compounds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antioxidant (DPPH assay, ABTS assay and reducing power),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racken (Pteridium aquilinum Kuhn), according to cooking methods (non-blanched, blanched and seasoned). The yield of seasoned bracken extracts showed a high value of (4.59%) followed by non-blanched bracken and blanched bracken with 2.69% and 0.30%, respectively. In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seasoned bracken extracts showed higher antioxidant compounds ($96.11{\pm}0.34mg\;GAE$/100 g RW, $20.90{\pm}0.mg\;CE$/100 g RW) than non-blanched and blanched.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ies (DPPH assay, ABTS assay and reducing power) were shown to be in the order of seasoned bracken > non-blanched bracken > blanched bracken. I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non-blanched bracken extract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 cereus, B. subtilis, E. cloacae, E. coli, S. enterica, and P. aeruginosa except for S. aureus. The non-blanched bracken extracts (5 and 10 mg/disc) especially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 aeruginosa ($10.00{\pm}0.71$ and $10.25{\pm}0.35mm$). The inhibition zone diameter from the extracts of blanched bracken and seasoned bracken was not detected. Many seasonings added in the process of cooking can increase the antioxidant capacities.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cooked bracken with seasoning would be the most efficient way of ingesting antioxidant compounds.

      • KCI등재

        퍼머넌트 웨이브에 따른 모발 손상도의 물리적 속성 변화에 관한 연구

        박초희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열처리 온도 변화에 따른 모발 손상도의 역학 관계를 파악하여 모발의 화학적 시술에 의한 손상 정도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영구적 치료가 영향을 미치는 모발상태, 모발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 콜드 펌과 디지털 열의 영구적 치료가 적용된 모발의 인장강도 등을 모발의 역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대 미혼 여성을 대상으로 건강모를 가진 여성 8명의 모발과 화학적, 물리 적 손상을 입은 손상모 8명의 모발을 채취하여 시진, 촉진을 통해 분석 하였으며, Instron 측정기를 통해 분석치 는 SPSS win V.18.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한 모발에서 인장강도와 신장 검사율은 각각 0.0138kN 과 56.4% 이었다. 이에 비해 모발 처리율은 0.0131kN, 56.9%로 건강한 모발에 비해 모발 신장률이 크 고 인장강도가 낮다는 결론이 나왔으며, 이러한 결과는 디지털 세팅 시술이 콜드 펌 영구 시술보다 모발에 상당히 큰 악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ynamics of hair damage caused by changes in heat treatment temperature, provide basic data for hair damage caused by chemical procedures, permanent treatment, effect on hair damage, and tensile strength of hair applied with permanent treatment of cold pumps and digital heat. As for the research method, hair from 8 healthy hairs and 8 chemically and physically damaged hairs of single women in their 20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examination and palpation.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win V.18.0 statistical package. As a result of the study, tensile strength and kidney test rates in healthy hair were 0.0138kN and 56.4%,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hair processing rate was 0.0131kN and 56.9%, which concluded that the hair elongation rate was higher and the tensile strength was lower than that of healthy hair,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digital setting procedures had a significant adverse effect on hair than cold perm permanent procedures.

      • KCI등재후보

        A Study on Purchasing Decision Factors in Relation to Department Store Cosmetic Brands of British Female in London among Age Generations

        박초희,오정숙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19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9 No.1

        외모지상주의가 과열된 인들이 많아지면서 실제로 여성의 외모에 련된 화장품 지출이 차 증가하고 있다. 여성들이 화장품을 구입하 는 주요 구매결정 요인으로는 가격, 환경, 랜드 로열티, 포장 디자인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여성이 백화 화장품 구매 시 구입을 결정짓는 요인과 화장품 구매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다. 연구를 시행하기 하여 조사상자는 런던에 치한 웨스트 필드 쇼핑센터에서 180명의 여성들을 상으로 이루어 졌다. 연구 분석은 SPSS 21.0 통계로그램을 활용하다. 연구결과, 많은 여성들은 백화 화장품이 그들의 피부에 매우 요하다고 생각했으며 유명 랜드의 원료 성분은 신뢰할 수 있다고 응답하다. 하지만 국여성들은 유 명 랜드 화장품을 선호하지만 얼굴에 사용하는 크림에 많은 돈을 소비하는 것은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의미는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을 가격은 렴하면서 원료도 윤리으로 바른 것으로 하여 소비자의 믿음을 계속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건물의 연쇄붕괴 평가를 위한 소성힌지 증가 해석방법

        박초희,김주원,윤성기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2

        연쇄붕괴는 폭탄, 테러, 가스폭발, 설계의 결함, 화재, 지진 등 자연현상을 비롯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원인별 붕괴경향도 다르다. 미국의 GSA와 DoD 가이드라인의 경우, 주로 폭발에 의한 연쇄붕괴를 고려한다. 이것은 구조물의 주요부재가 파괴되더라도 추가붕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대체경로법은 해석방법에 따라 선형 정적해석, 비선형 정적해석, 선형 동적해석, 비선형 동적해석으로 나누며, 각각의 해석방법에 대한 적용방법과 설계고려하중이 달라지고 평가기준 또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다르다. 특히 중저층 건축물에 대해 GSA에서는 해석의 편의를 위해 별도의 선형 정적해석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선형해석의 연쇄붕괴해석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소성힌지를 도입한 것으로 실제 소성거동과 차이는 있지만 구조물의 항복 후 영향까지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SA의 선형정적해석을 이용하고 제시된 방법을 토대로 실제 소성붕괴로 발전시킨다.

      • KCI등재

        조리 과정 중 시금치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의 변화

        박초희,김경희,태미화,김나영,육홍선,Park, Cho-Hee,Kim, Kyoung-Hee,Tae, Mi-Hwa,Kim, Na-Young,Yook, Hong-Su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2

        시금치의 조리 과정(non-blanched, blanched, seasoned) 중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과 항균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80% 에탄올에 추출한 시금치의 수율은 데치기 전 1.64%, 데친 후 1.49%, 무친 후 6.01%로 무친 후 > 데치기 전 > 데친 후 순으로 높은 수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무친 후가 $124.31{\pm}1.37mg$ GAE/100 g FW로 가장 높았고, 데치기 전 $51.24{\pm}0.27mg$ GAE/100 g FW, 데친 후 $42.48{\pm}0.53mg$ GAE/100 g FW로 데친 후가 가장 낮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무친 후가 $15.60{\pm}0.20mg$ CHE/100 g F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무친 후의 시금치는 4가지의 항산화 실험(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Reducing power)에서도 데치기 전이나 데친 후의 시금치보다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항균 활성 측정 결과, 데치기 전 시금치는 S. enterica와 P. aeruginosa 두 개의 균에 대해서 5 mg/disc와 10 mg/disc의 두 농도에서 항균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데친 후 시금치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무친 후 시금치는 P. aeruginosa에 대해서만 10 mg/disc의 농도에서 8.15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항균 활성 측면에서는 시금치를 생으로 섭취하는 것이 이로우나, 시금치를 생으로 과다 섭취할 경우, 체내에 결석이 생길 수 있으므로 끓는 물에 시금치를 데쳐 어느 정도의 수산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며, 시금치를 무치는 과정에서 갖은 양념을 첨가함으로써 데치기 전보다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므로, 가능한 무친 후의 시금치를 섭취하는 것이 건강적인 측면에서 이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yield of extract, total phenolic compounds, total flavonoid compound conten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DPPH assay, ABTS assay), reducing power (Oyaizu's assay, FRAP assa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pinach according to various cooking methods (non-blanched, blanched, seasoned). The yield of non-blanched spinach is 1.64% and the extract yield of blanched spinach is 1.49%, and on the other hand, the yield of seasoned spinach is 6.01%.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seasoned spinach is recorded as $124.31{\pm}1.37mg$ GAE/100 g FW, non-blanched spinach $51.24{\pm}0.27mg$ GAE/100 g FW, and blanched spinach $42.48{\pm}0.53mg$ GAE/100 g FW. From the total flavonoids, seasoned spinach extracts ($15.60{\pm}0.20mg$ CE/100 g FW) showed higher total flavonoid contents than non-blanched. Total antioxidant activities (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reducing power) are shown to be in the order of seasoned spinach > non-blanched spinach > blanched spinach. I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non-blanched spinach (5, 10 mg/disc)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enterica and P. aeruginosa. The inhibition zone diameter from extracts of blanched spinach has not been detected. Seasoned spinach indicated antimicrobial activity only against P. aeruginosa (8.15 mm) at 10 mg/disc. If we are to eat a lot of non-blanched spinach, it would cause calculus. Blanching helps to prevent against calculus, since the blanching process can remove various amounts of oxalic acids.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seasoned cooked spinach would be the most efficient way of ingestion to consume antioxidant compounds.

      • KCI등재

        조리 과정 중 시래기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 비교

        박초희,김경희,육홍선,Park, Cho-Hee,Kim, Kyoung-Hee,Yook, Hong-Su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4

        본 실험에서는 조리과정(non-blanched, blanched, seasoned) 중 시래기의 항산화 관련 물질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여 한식 고유의 조리법인 나물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80% ethanol에 추출한 시래기의 수율은 무친 후가 7.55%로 가장 높았으며, 데치기 전이 4.91%를 나타내었고, 데친 후가 0.33%로 가장 낮은 수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3.57~129.85 mg GAE/100 g FW 범위로 무친 후 시래기가 $129.85{\pm}0.62mg$ GAE/100 g FW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무친 후가 $35.56{\pm}1.19mg$ CHE/100 g F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4가지의 항산화 실험(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Reducing power) 결과, 무친 후 > 데치기 전 > 데친 후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균 활성 측정 결과, 데치기 전 시래기에서만 활성이 나타났는데, B. cereus와 E. cloacae 두 균에 대해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냈고, E. coli와 P. aeruginosa 두 균에 대해서는 10 mg/disc의 농도에서만 각각 9.25 mm, 9 mm의 clear zone을 생성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할수록 radical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의 활성이 증가하여 시래기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항균 활성 측면에서는 시래기를 조리하지 않고 섭취하는 것이 좋으나, 건조 나물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특성상 반드시 불린 후 조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무치거나 조리하는 과정에서 갖은 양념이 첨가되어 항산화 효능이 증가하므로 시래기를 섭취할 경우, 가능하면 장시간 물에 삶는 조리법은 피하고, 무치는 조리법을 사용하는 것이 건강에 이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We evaluated the yield of extract, antioxidant compounds (total phenolic, total flavonoid), antioxidant (DPPH assay, ABTS assay, Oyaizu's assay, FRAP assa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iraegi (dried radish greens) according to cooking process (non-blanched, blanched, seasoned). The yield of non-blanched Siraegi was 4.91%, blanched Siraegi was 0.33%, and seasoned Siraegi was 7.55%. In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seasoned Siraegi extracts showed higher antioxidant compounds ($129.85{\pm}0.62mg$ GAE/100 g FW, $35.56{\pm}1.19mg$ CHE/100 g FW) than non-blanched and blanched. Total antioxidant activities (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reducing power) were shown to be in the order of seasoned Siraegi > non-blanched Siraegi > blanched Siraegi. In antimicrobial activity, non-blanched Siraegi (5, 10 mg/disc)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 cereus, E. cloacae, and E. coli (9.25 mm), and P. aeruginosa (9 mm) at 10 mg/disc. In terms of antimicrobial activity, non-blanched Siraegi was good but eating the dried vegetable was difficult so it is essential to blanch it. Also, with many added seasonings in the process of cooking, it can be easy to eat.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ooked Siraegi with seasoning would be the most efficient way of ingesting the antioxidant material.

      • KCI등재

        포도즙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 및 유리기 소거능

        박초희,김경희,육홍선,Park, Cho-Hee,Kim, Kyoung-Hee,Yook, Hong-Su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포도즙의 양(0 g, 50 g, 100 g, 150 g, 200 g)을 다르게 첨가하여 포도 양갱을 제조하고, pH, 당도, 색도, 기계적 물성, 총 페놀 함량, DPPH,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포도양갱의 pH는 포도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 값이 낮아지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당도는 대조군이 1.47 Brix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포도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당도가 점점 높아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색도는 명도값(L값)과 황색도(b값)이 포도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적색도(a값)는 그와 반대로 증가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포도즙 첨가가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은 포도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보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도 총 페놀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대조군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포도즙 첨가가 증가할수록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색, 향, 맛 등의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포도즙 150 g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항산화 실험에서 포도즙 200 g 첨가군의 결과가 가장 좋았으나, 관능검사 결과, 포도즙 150 g 첨가군을 가장 선호하는 결과를 함께 고려해 볼 때는 포도즙 150 g이 첨가된 양갱시료의 실용화가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yanggae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rape juice (GJ). GJ was incorporated into yanggaeng at different levels (containing 50, 100, 150, and 200 g of GJ in yanggaeng, respective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water. Sugar conten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however, pH showed a decrease with increasing levels of GJ. In terms of color, lightness and yellowness decreased significantly but re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GJ. In a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were increased; however,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GJ.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1,1-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GJ concentration increased in the formulation. The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yanggaeng containing the 150 g level of GJ showed the best preference in terms of color, taste, texture, flavor, and overall accept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ape juice may be a useful ingredient in yanggaeng to improve quality and antioxidant pote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