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시공책임형 CM의 국내 공공부문 도입을 위한 제도적 기반 수립 연구
박지호,김경래,배병윤,Park, Jiho,Kim, Kyungrai,Bae, Byungy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2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2 No.4
국내 건설산업은 시공자 중심의 일방적인 생산방식에서 발주자와 시공자의 협업이 가능한 생산방식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 발주 방식에 따라 입·낙찰 방식, 계약 방식, 그리고 발주자의 사업 관여 정도도 달라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환경에 적합한 '시공책임형 건설사업관리' 도입을 위해서 국·내외 제도 분석과 입·낙찰 프로세스 분석, 계약이행 및 관리 분석, 사후관리 분석을 하고, 법제화를 위한 관련 법령 조문화와 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국·내외 시공책임형 건설사업관리의 제도 및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건설산업기본법에 정의된 '시공책임형 건설사업관리'는 Pre-Con 업무를 수행하는 용역계약인 본 계약 이전 계약과 건설사업관리 및 공사계약인 본 계약으로 구분된다. 그러므로 '시공책임형 건설사업관리'는 해외의 사례와 같이 낙찰제도가 아니라 발주 방식의 하나로 보아야 하며, 도입을 위해서 설계/시공 일괄입찰, 기술제안 입찰과 동등한 입찰제도로서의 법제화가 필요하다. 국내 환경에 적합한 '시공책임형 건설사업관리' 도입을 위해서 국·내외 제도 분석과 입·낙찰 프로세스 분석, 계약이행 및 관리분석, 사후관리 분석을 하고, 법제화를 위한 관련 법령 조문의 개정과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방법을 본 제도의 본래 장점은 유지하면서 국내 시장에서 적용이 가능하도록 제시하였다.
박지호(Park, Jiho),김호철(Kim, Hocheol) 한국지역개발학회 2022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4 No.1
This study aimed to objectively analyze the importance of each stakeholder s perception of a real estate PF loan and promote understanding among participant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entire group are as follows. Firstly, the first level showed that relative importance of individual business characteristics(0.325) was the highest. Secondly, the loan ratio(0.380) and whether or not licensing was completed(0.326) were relatively important factors in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in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projects, respectively. In addition, completion under responsibility of construction companies(0.374) and indicators of whether or not the metropolitan area(0.370) were relatively important factors in projec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in real estate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Thirdly, results of comprehensive analysis of indicators showed that relative importance of completion under responsibility of construction companies(0.108) was the highest so that a third-party guarante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rather than business feasibility in real estate PF loans. In addition, as for analysis results of perception of importance by the participation groups, perceptions between financial institutions and construction companies were similar. This seems because tendency to put importance on stability due to business structure was reflected.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did not reveal reasons of importance recognition and did not consider policy factors. 본 연구는 부동산PF대출에 대한 이해주체별 인식의 중요도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참여자간 이해를 도모하고자 진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금융기관, 시행사, 시공사 집단을 기준으로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AHP분석을 통해 부동산PF대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전체를 기준한 분석결과 첫째, 1차수준에서는 개별사업특성(0.325)의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2차수준 중 재무특성에서는 대출비율(0.380), 개발사업특성에서는 인허가 완료 여부(0.326), 사업수행특성에서는 시공사 책임준공(0.374), 부동산특성에서는 수도권 여부(0.370) 지표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표의 종합분석결과 시공사의 책임준공(0.108)의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부동산PF대출에서 사업성보다는 제3자의 보증이 중요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참여집단의 중요도 인식을 살펴볼 때 금융기관과 시공사의 인식이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사업구조상 안정성을 중요시하는 성향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중요도 인식의 원인을 밝히지 못했다는 점과 정책적 요인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박지호(Jiho Park),박태경(Taekyung Park)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경영연구 Vol.27 No.2
최근 치열해지는 글로벌 경쟁과 급변하는 사업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으로 혁신(innovation)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의 대표적인 두 형태인 제품혁신(product innovation)과 관리혁신(managerial innovation)의 역할과 기업성과와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다. 특히 이 두 가지 혁신유형이 상호작용을 할 때 궁극적으로 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기여를 하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실증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구·경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소기업 315개를 대상으로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품혁신과 관리혁신은 모두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제품혁신과 관리혁신의 상호작용은 기업성과 향상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Growing attention is being paid to the concept of innovation and its critical importance to firms' activities in a today's fierce global competition and fast-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This research explores two types of innovation - product innovation and managerial innovation -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business performance. More emphasis places on the impa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types of innovation on the performance. Building on previous literature, hypotheses are developed and tested for 315 data gathered from small and medium-sized firms that operate in the Daegu-Gyeongbuk region. Results show that both product innovation and managerial innovation are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to business outcome. More importantly, it is also found that their interaction effect is significantly positive to the performanc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