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량(食糧)의 안정적(安定的) 공급(供給)을 위한 산지개발이용의 필요성(必要性)과 전망(展望)

        박종문,Park, Johng-Moon 한국토양비료학회 197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1 No.4

        장기적(長期的)으로 2000년대(年代)를 전망(展望)할 때 인구(人口)의 증가에 따른 우리나라 국민의 주곡(主穀) 수요량(需要量)은 계속 크게 증가 될 것이고 특히(特) 경제성장이 지속되고 국민의 소득(所得)이 향상(向上)됨에 따라 육류(肉類), 우유, 계란 등(等) 축산물(畜産物) 수요량(需要量)이 급증할 것이며 이와 상응하여 옥수수, 밀, 콩, 과수(果樹), 채소(菜蔬) 등(等)의 수요량(需要量)이 점진적(漸進的)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와같이 수요량(需要量)은 크게 증가할 전망(展望)에 있는 반면(反面) 작물(作物)의 재배기지(栽培基地)인 농경지(農耕地)는 공업화(工業化) 과정(過程)에 따른 기존(旣存) 농경지(農耕地)의 잠식 및 전용은 점차 심화할 것이므로 현재와 같은 추세(趨勢)로 큰 전환없는 실정이 그대로 1991년(年)까지 이어진다면 식량(食糧)의 자급도(自給度)는 현재(現在)의 79%에서 62% 정도(程度)의 수준(水準)으로 감소(減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처 국내식량, 축산물(畜産物), 채소(菜蔬), 과수(果樹) 등(等)의 자급도(自給度)를 높이는 길은 기존 농경지(農耕地)의 전용억제와 경지이용도제고(耕地利用度提高) 등(等) 시책(施策)을 계속 강력히 추진(推進)해야 할 것이며 특(特)히 무엇보다도 주요(主要)한 것은 산지(山地)의 대대적(大大的) 개간이용(開墾利用)과 간척지(干拓地)의 개발 등(等) 농경지(農耕地)의 외연적(外延的) 확대를 서둘러 농경지(農耕地) 신규소요면적(新規所要面積)을 확대 확보(確保)해야 할 것이다. 산지(山地)의 개간이용(開墾利用)에 있어서는 합리적(合理的) 개간공법(開墾工法)의 도입(導入), 토양(土壤)의 유실방지(流失防止), 토양(土壤)의 물리화학적 특성(特性)에 바탕을 둔 이화학적 개량(改良), 농업지대(農業地帶)의 구분설정, 입지적(立地的) 조건을 감안한 적지적작(適地適作) 지정(指定), 개간지(開墾地)의 경제성 조사(調査) 등(等)이 긴요(緊要)하며 또한 산지개간(山地開墾)에 있어서 농로관개(農路灌漑), 토양보전처리, 배수(排水) 등(等) 기간시설(基幹施設)의 정부지원(政府支援)으로 농민(農民)의 산지개발의욕을 고취(鼓吹)시키고 안전영농을 도모하여 개발된 땅이 단수제고(段收提高)와 소득증대로 연결(連結)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식량(食糧) 수요량(需要量)을 안정적(安定的)으로 생산공급(生産供給)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It is generally agreed that the country's population will grow up to the level of 52 million by the year of 2000 and that due the active growth of industry, urbanization and road constructions, sizable portion of existing arable lands will be utilized for other purposes than agriculture in near future. From 1966 to 1977, it was estimated that, the average annual conversion of arable lands to other uses, was 12,909 ha. If this trend persists, it is predicted that from 1978 to 1991 when the 6th Five Years Economic Development Plan will terminate, approximately 181,000 ha of arable lands will be converted for other uses again. On the other hand, it is certain that the increased population (39 million in 1981, 45 million in 1991, 52 million in 2001) and the changes in food pattern along with the enhancement of living standards will bring about the phenomenal increase in demands for not only the staple food but also the livestock products such as meat, milk and eggs, vegetables and fruits. These future increased demands for various foods, naturally mean the increased needs for the expansion of arable lands at the same time. It is predicted that, if more activities than present scale are not taken for the expansion of arable lands, the national food self sufficiency level will drop from 79% in 1977 down to 62% in 1991. To meet the increased food demands in future, there are several ways and means. These will include the increased land use intensity, elevation of unit area yield levels, minimization of conversion of arable lands to other uses and expansion of arable lands through the reclamations of idle hillside lands and tidal lands. Among these, the expansion of arable lands through reclamations of idle hillside lands and tidal lands are more positive measures to cope with the increased production of foods in future. The reclamation of hillside lands demands more attention because it needs more advanced technologies in agrono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larger scale fundings and integrated socioeconomic considerations. In agromical aspects, the thechniques for early improvement of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soils, proper soil conservation measures and rational cropping systems are of particular importance. As to the financial supports to encourage the farmings in hillside land, much bold fund inputs are essential for the construction of roads, installation of irrigation and drainage facilities, soil conservation mechanisms, which will ensure the stabilized farming with reasonable incomes in the newly reclaimed lands.

      • KCI등재

        WOBR : 효과적인 그룹별 접근을 지원하는 웹데브 기반의 OSGi 번들 저장소

        박종문,박양수,이명준,Park, Jong-Moon,Park, Yang-Soo,Lee, Myung-Jo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2

        OSGi 프레임워크는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바 기반의 서비스 플랫폼으로서 응용프로그램의 생명주기 관리모델과 서비스 레지스트리, 실행 환경을 제공하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OSGi 계층과 API, 서비스가 정의되어 있다. 번들은 OSGi 프레임워크에서 실행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번들 저장소를 통해서 배포되고 일반적으로 저장소에 있는 번들은 지정된 웹 페이지를 통해서 접근 가능하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현재의 번들 저장소는 어떠한 종류의 그룹별 접근이나 동적인 번들의 설치와 배포에 대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사용자 그룹의 접근을 제어하는 웹데브(WebDAV) 프로토콜 기반의 OSGi 번들 저장소인 WOBR에 대하여 기술한다. WOBR은 WOBR 저장소와 이를 관리하고 접근하기 위한 관리 번들과 접근 번들로 구성된다. 관리 번들은 WOBR 번들 저장소의 설정과 저장소에 접근하는 사용자 그룹을 관리한다. 접근 번들은 저장소 접근기능과 번들의 검색을 지원한다. 추가적으로, 로컬 환경에 설치된 번들의 생명주기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The OSGi framework is a java-based service platform that can be remotely managed, providing an application life cycle management model, a service registry and an execution environment. Based on the framework, various OSGi layers, APIs, and services have been defined. A bundle is an application that can be executed in the OSGi framework, deployed through a bundle repository. Usually, bundles in the repository are accessible via a designated web page. Unfortunately, the current bundle repositories do not provide any kind of group access services and dynamic bundle installation and deployment. In this paper, we describe a WebDAV-Based OSGi bundle repository named WOBR, which supports effective group-based accesses. WOBR is composed of a WOBR bundle repository, a management bundle and an access bundle that interact with the bundle repository. The management bundle is for configuration of the WOBR bundle repository, managing group access facility to the repository. The access bundle provides access to the repository and search mechanism for the bundles. Additionally, it provides the life cycle management of the installed bundles on the local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

        CoSlide 협업시스템을 지원하는 CoSpace 클라이언트의 원격 버전 관리

        박종문,이명준,Park, Jong-Moon,Lee, Myung-Jo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1

        CoSlide는 WebDAV 기반의 Jakarta Slide 서버를 확장한 협업시스템으로서 협업참여자들을 위하여 그룹작업장을 제공한다. CoSpace는 WebDAV프로토콜을 통하여 CoSlide 서버에서 다양한 협업저작 활동을 지원하는 클라이언트이며 협업참여자들 사이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협업참여자들의 공유자원 관리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협업 수행에 있어서 공유자원의 동시 수정은 협업참여자들에 의해 생성된 수정본들 사이의 충돌을 발생할 수 있어, 프로젝트 진행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CoSpace 클라이언트의 확장에 대하여 기술한다. 확장된 CoSpace는 협업참여자들이 서버 자원의 버전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원격 버전 관리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프로그램 소스코드와 같은 텍스트 파일의 변경 사항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확장된 클라이언트는 두 버전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작업장 전체에 대한 버전 관리 기능과 지정된 자원의 불필요한 버전을 일괄적으로 제거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CoSlide is a collaborative system, extending the Jakarta Slide WebDAV server. The CoSlide server provides group workspaces for collaborators. CoSpace is a client which supports various collaborative authoring activities on the CoSlide server through the WebDAV protocol. CoSpace provides graphic user interfaces to support effective interaction among the collaborators, managing the shared resources for them. However, during collaboration, simultaneous modifications on the content of shared resources might cause conflicts among the content of the revisions made by the collaborators, leading to serious problems on project progress. In this paper, we describe an extension of the CoSpace client to solve the problem. The extended CoSpace client supports the remote version management facility through which the collaborators can manage the versions of the associated server resources in the distance. Also, to identify the changes of the text files such as program source codes, the extended client provides the facility for comparing two versions and displaying the differences in a visual manner. In addition, it provides the version management of a whole workspace and the removal of all the unnecessary versions of the designated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