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HC/ZUPT의 장착 비정렬 추정 칼만필터 설계 및 성능분석

        박영범,김갑진,박준표,Park, Young-Bum,Kim, Kap-Jin,Park, Jun-Pyo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9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2 No.5

        NHC means that the velocity of the vehicle i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forward direction is almost zero. The main error source of NHC is the mounting misalignment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ody frame of a land vehicle and the sensor frame of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This paper suggests new NHC algorithm that can reduce position errors by real-time estimation of mounting misalignment. Then NHC/ZUPT integrated land navigation system is designed and its performances are analyzed by simulations with van test data.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NHC/ZUPT land navigation system improves navigation accuracy regardless of misalignment angle and is very useful when SDINS operates stand-alone for land vehicle navigation with large mounting misalignmen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교리, 복음을 토대로 한 그리스 정신의 작품? ― 하르낙의 『교리사 교본 I』을 통해 본 교리와 복음의 이해

        박영범 ( Park Young Bum ) 한국조직신학회 2018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2 No.-

        종교개혁은 다시금 복음의 본질을 되살리려는 운동이었다. 그리고 계몽주의 신학 혹은 자유주의 신학의 발견사 혹은 연구사는 분명 인간을 위한 새로운 공간, 사유의 공간을 열어 주었다. 하르낙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자신과 동일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결코 주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르낙은 전혀 다른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했다. 그래서 역사바평적 성서연구 방법이 제공하는 예수의 모습, 복음서들이 묘사하는 예수를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기를 시도했다. 교회가 형성한 기독교 교리나 교회의 신학은 우리가 단지 순종해야만 하거나 혹은 단순히 외어야만 하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이런 측면에서 하르낙은 그리스도인들에게 새로운 자유를 제공하려 했던 것이다. 이제 종교개혁 500주년을 넘어선 오늘, 우리 앞에는 복음의 중요성을 다시금 묻는 시대의 물음이 놓여 있다. 이런 물음에 대해서 본 논문은 자유주의 신학의 대표격인 하르낙의 교리와 복음의 이해를 살펴봄으로써 그가 주장한 신학과 한계를 드러내고, 종교개혁의 정신을 다시금 건강한 복음주의 신학으로 펼쳐 놓을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The Reformation was a movement to rediscover the essence of the gospel. And the historical research of the Enlightenment or liberal theology has opened a new aspect for mankind. Harnack never claims that all Christians should think like him. Rather, Harnack offered a completely new possibility, so that he tried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picture of Jesus and the dogmas more accurately through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of the Bible. The Christian doctrine or the theology of the church that has formed the church is not an absolute truth that we ought to be obedient or simply to follow. In this regard, Harnack tried to create new freedoms for Christians. Now that we have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behind us, we again ask ourselves the question of the meaning of the gospel. In this regard, this work attempts to delineate the limits of his theology and understanding of the gospel by examining Harnack’s doctrine of dogmas and the original gospel. finally, this study seeks to transform the spirit of the Reformation again into today’s church in Korea and to make a living church.

      • KCI등재

        코로나 시대와 성만찬: 웨슬리의 성만찬 이해를 통한 교회론적 조언의 모색

        박영범 ( Park¸ Young Bum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1 영산신학저널 Vol.- No.58

        교회의 표지는 “말씀의 순수한 가르침”(evangelium pure docetur)과 “올바른 성례전의 집행”(recte administrantur sacramenta)이다. 또한 교회는 예배(Leiturgia), 증인됨(Martyria), 섬김(Diakonia)과 함께 사귐(koinonia)을 본질적인 기능으로 한다. 이 모든 것은 전통적으로 대면적 만남이라는 공간에서 실현되었다. 그러나 비대면적 만남이 일상이 된 오늘날은 교회의 본질적 특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여전히 뜨거운 논쟁이 되는 교회론적 주제가 있다. 바로 성만찬에 관한 논쟁이다. 즉, 사회적 거리두기와 이른바 언택트의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 교회는 성만찬에 직접 참여해야 하는가? 혹은 온라인을 통한 성만찬은 가능한가? 특히 이런 상황에서 교회는 성만찬의 본래적 의미를 어떻게 계속 보존할 수 있는가? 이제 교회는 성만찬에 대한 진지한 신학적 논의를 시작해야 할 시점에 도달했다. 본 논문은 오늘날 성만찬에 관한 교회의 질문에 교회론적 조언을 모색하려는 동기를 갖는다. 먼저, 교회의 현실적 질문으로 다가온 성만찬을 주목한다. 그리고 성만찬의 비대면적 집행에 대한 단순한 찬반의 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 성만찬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 의미와 함께 전통적인 논쟁점을 간략하게 연구사적 측면에서 정리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교회를 향한 질문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낼 것이며, 조언으로서 웨슬리의 성만찬 이해의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본다. 그리고 오늘날 비대면 언택트 시대를 살아가는 교회가 성만찬에 대한 웨슬리적 원칙을 보존해야 함과 더 나아가 성만찬에 관한 교회적 질문의 전환이 필요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Churches are certified as being authentic by two essential marks of the true church: “evangelium pure docetur et recte administrantur sacramenta (the Gospel is preached in purity and the holy sacraments are administered).” These marks are inseparably concerned with the key functions of the true church such as worship (leiturgia), witness (martyria), service (diakonia), and community (koinonia). All these functions have been realized through congregational gathering. Today, however, new interpretations o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Church are required due to the prevailing contactless communication in daily lives. Accordingly, the Lord’s Supper has become one of the most keenly debated issues in churches. How can the church preserve the original meaning of the Lord’s Supper and, as it were, reinterpret it for the church? The church has now reached a point where it must begin a serious theological discussion of the Lord’s Supper. This study is aimed at offering ecclesiological insights into the Lord’s Supper in today’s peculiar situation. First, the issue of the Lord’s Supper will be discussed as a practical question for the church. And in order to overcome the simple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 contactless execution of the Lord’s Supper, the traditional views of its core meanings will be briefly examined. This will clarify the questions for today’s churches. Meanwhile, some features of Wesley’s understanding of the Lord’s Supper will be taken into account. And finally, this study will assert that the church, which faces the challenge of contactless interactions, should preserve Wesley’s principle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the Lord’s Supper and that it is also necessary to deepen the church’s question about the Lord’s Supper.

      • KCI등재

        신정론과 하나님의 고난 신정론 문제의 응답으로써 하나님 고난이 주는 의미

        박영범 ( Young Bum Park ) 한국조직신학회 2012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3 No.-

        How do we say both the negative experiences of suffering and evil and our Almighty God altogether without contradiction? This paper does not attempt to present answers which have not provided so far to the Theodicy question. The main concern of this paper is to primarily discu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Suffering of God” as response to the Theodicy question by investigating its relation to the “Suffering of God” which has been presented as an alternative explanation to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Theodicy. To this end, the Theodicy question(Theodizeefrage) will be distinguished from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Theodicy (Theodizeeproblem). Then, focusing on J. Moltmann and H. Jonas, in particular, among modern theologians, the concept of the “Suffering of God” will be reviewed. The review is intended to identify what connection the “Suffering of God” has with the Theodicy ques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it is a way of answering the Theodicy question conclusively. The result of the discussion will show that, first of all, the answer to the Theodicy question(Theodizeefrage) is impossible and that Jonas and Moltmann also do not consider the concept of the “Suffering of God” as an answer to the Theodicy question. However, it will be revealed that a passionate inquiry on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Theodicy (Theodizeeproblem) make us through the Theodicy question to look earnestly at the suffering in reality which has been lost. The concept of the Suffering of God is the one that has been revisited by identifying the critical questions implied in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Theodicy. Second, the concept of the Suffering of God has changed the traditional metaphysical image of God which was effective in the past. God now participates in the human suffering experience in reality, instead of being Almighty. In addition, the consolation of Christ who is crucified on the cross is now expected along with the fellowship which is given in the suffering. When the secretive fellowship in crucified Christ is given in the place of suffering, they become humble at the same place. In this place, they feel that God participates in the suffering. In this place, they get relief and concern about the suffering of others. And they see the light of hope from God and get the new power to overcome the suffering. The theology of the Suffering of God, however, has also challenges. Theologians who speak of the Suffering of God tend to emphasize God`s love and goodness more than God`s almighty. Without a doubt, God`s love and goodness are his amazing grace. But the problem is that the more we emphasize his love, the more severe the suffering gets in reality. How can God of love tolerate this suffering? Why is God in silence for Auschwitz and natural disasters? At the same time, this helpless God should be able to explain his helplessness from the Eschatological perspective. The question of how this helpless and suffering God is going to overcome the suffering and to get rid of the evil still remains unanswered.

      • KCI등재후보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들과 함께 울라!”(롬 12: 15) ― 공감교회론의 철학적ㆍ교회론적 기초 다지기

        박영범 ( Park Young Bum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8 神學과 宣敎 Vol.53 No.-

        타자와의 공감은 오늘날 한국사회의 화두이다. 특히 살아있는 교회는 사회와 공감하며 복음을 삶으로 살아내는 교회이다. 논문은 현대 한국교회가 지닌 사회적 도전에 대한 하나의 교회론적 대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공감교회론’(A Ecclesiology of compassion)이라 정의한다. 논문은 다음과 같이 전개될 것이다. 먼저, 본 논문은 2장에서 한국사회에서 다양한 말로 혼용되는 공감을 먼저 다룬다. 이를 통해서 공감이라는 개념을 더욱 세밀하게 드러내려 한다. 또한 셸러가 펼치는 공감의 이해를 바탕으로 철학적 자리매김(II.1)과 공감교회론이 차지하는 신학사적, 교회론적 자리매김(II.2)을 시도한다. 연구에 대한 교회론적 대답은 다음과 같다. 1) 공감교회론은 시대의 요구이다. 현대인들의 삶과 공감하지 못하는 교회는 위기에 놓이게 된다. 2) 공감교회론은 교회 자신이 처한 삶의 정황을 출발점으로 삼는다. 교회론은 에클레시아가 실존하는 구체적인 삶의 현실을 고려해야 한다. 3) 공감교회론은 교회의 삶에 조언과 미래의 청사진을 제공할 수 있는 교회론을 추구한다. 그렇기에 공감교회론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조언을 제공하려 시도한다. 마지막 3장에서는 논문에 대한 요약과 함께, 이를 바탕으로 이 후에 전개될 수 있는 교회론적 내용을 전망한다. The empathy with others is the critical and central issue of Korean society today. In particular, the living church is a church that empathizes with society and energizes the gospel as a life. The paper aims to present an ecclesiological answer to the social challenges of the modern Korean church. And this is defined as “the ecclesiology of compassion.” The paper will be developed as follows. First this paper deals with the terminology of the 'empathy' or 'sympathy' that are mixed in various words in Korean society, in the Chapter 2. This is expected to reveal the concept of empathy or sympathy more specifically and concretely. In addi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Max Scheler's sympathy theory, it attempts to establish a philosophical deposition of the ecclesiology of compassion (II.1), and the position of the ecclesiology of compassion in the theological history and in the ecclesiological understanding in general (II.2). The ecclesiological answers to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ecclesiology of compassion is a demand of the times. If the church cannot empathize with the lives of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it will be facing itself in crisis. 2) The ecclesiology of compassion sets the context of the concrete life of the church as its starting point. The ecclesiology must take into account the concrete and specific circumstances of life in which the ecclesia (or the church) is situated. 3) The ecclesiology of compassion seeks to be the ecclesiology that can provide advice and future blueprints to the life of the church. Therefore, the ecclesiology of compassion attempts to provide concrete and systematic advice. The last and the third chapter summarizes the theses, and based on this, the ecclesiological contents that can be developed later will be described.

      • KCI등재후보

        조직신학 : 교회의 삶을 돕는 교회론을 향하여 -성서적, 조직 신학적 기초 다지기

        박영범 ( Young Bum Park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5 神學과 宣敎 Vol.46 No.-

        한국 교회는 위기 가운데 놓여 있다. 과거 한국 교회는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사회 발전을 위해 커다란 공헌을 했다. 그러나 교회의 오늘날 사회에 대한 긍정적 기여도가 현저하게 낮아진것 또한 사실이다. 이런 도전들은 교회가 자기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정체성을 확고히 수립하는 것을 중요한 과제로 남겨 주었다. 특히 삶의영역에서 구체적이며 긴급하게 제기된 문제에 교회론적인 대안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은 교회가 당면한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실로“세상의 빛과 소금”(마 5:13-14)의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지 물어야 할때인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게 하였다. 교회의 현실과 미래를 생각하면서 교회를 위한 교회론을 펼칠 수 없는가? 교회의 현실과 미래를 생각할 때, 교회는 자신의 본질과 정체성을 어떻게자리매김할 수 있으며, 또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본 논문은 이런 문제의식을 갖고 시작되었다. 그렇다고 교회의본질과 정체성에 대한 절대적인 대답을 추구하지는 않는다. 이는올바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또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교회의 가르침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생각하며 동시에 교회의 삶을 고려하여서 도움과 조언을 줄 수 있는하나의 교회론적 기초를 마련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원그리스도교 공동체가 수립했고, 지키려고 했던 정체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은 도움이 된다. 가장 처음 우리에게 교회를 전해준 그들은 자신들을 무엇이라 이해했는가? 그리고 세속과 유대교라는종교 사이에서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는가? 이런 질문은현재 교회가 참된 교회로 계속 머물기 위한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이 글은 신약 성서에 등장하는 교회, 에클레시아(εκκλησια) 를 를 추적하여 원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자기 이해와 교회의 정체성을살펴보며, 이를 바탕으로 교회론을 새롭게 정의한 후에, 교회의 삶에봉사하며 도움이 되는 교회론적 기초를 예거의 모델을 중심으로제시할 것이다. The Church in Korea is in predicament. In the past the Church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in cultural, political, and even in economic aspects. However, it is also undeniable to say that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community today becomes significantly less than before. Facing on the challenging situation the Church has no choice but to accept the important task of understanding itself thoroughly and establishing its identity firmly. In particular, the urgent and specific issues that are raised in the ordinary people`s living require the Church to recognize it as a crucial task to clearly demonstrate the ecclesiological alternatives. Indeed, it is the time to ask again whether the Church is duly taking the responsibility of being the “light and salt of the earth” (Mt 5, 13-14).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the responsibility leads to those questions: Shouldn`t we discuss the ecclesiology for the Church itself, emphasizing the reality and the future of it, in particular? When considering the reality and the future of the Church seriously, what would the nature and identity of the Church become and what role should the Church take in? This paper tries to answer those critical questions. However, it does not pursue the absolute answers to the questions. It is because it is not possible but also it is not the right thing to do. So the paper aims to establish an Ecclesiological basis which may provide help and advice properly not by repeating the descending statements word by word but by seriously speculating the current situations and the future of the Church. In order to accomplish it, it surely is helpful to think over the nature and identity of the Church which the original Christian communities established and tried to keep. What did they understand about themselves when they formed the Church and passed it over to us? And how did they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Church in the conflict between the secular world and the Jewish religion? These questions will provide important clues for the Church to be able to stay on as the true Church. So the paper will track down the Ecclesia, the Church of the New Testament and try to elucidate the self-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Christian communities and the identity of the Church. Based on those discussions, the concept of the Ecclesiology will be refined, and an Ecclesiological basis which may serve and help the life of the Church will be presented focusing on the model of Alfred Jager.

      • KCI등재후보

        공공부문 노사관계와 정부 규제

        박영범(Young-bum Park)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04 産業關係硏究 Vol.14 No.2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의 우리 경제의 구조변화 속에서 공공부문은 노사관계는 불안정성을 노정하여 왔다. 외환위기 이후 공공부문의 노사관계의 불안성에는 환경적 요인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그간의 과정을 통해 노정된 구조적인 불안정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세계화의 파고 속에서 노사관계의 안정화가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시점에서 공공부문의 노사관계에 대한 정부규제의 합리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공공부문 고용 및 노동조합 조직 현황 그리고 1998년 이후 공공부문에서 발생한 분규 현황 및 노동운동의 추이를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 공공부문은 정부가 해당 부분의 임금 및 근로조건의 결정에 간접적인 역할을 하는 부분까지 포함하며 공무원 신분이 아닌 공공부문 종사자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Public sector industrial relations revealed unstable in the process of the economic restructuring after the financial crisis occurred in 1997. This was due to many factors, but we need to overcome the structural unstableness in the public sector.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rationalize government regulations on the public sector industrial relations. It also investigate basic facts about the Korean public sector industrial relations such as employment, trade union membership, trade union characteristics which are fundamental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 Korean public sector industrial relations. Public sector is defined broadly as the sector, in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of which the government play some roles. The focus of the study is the government regulations on public institutions whose employees are not civil serv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