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NN 기반 독성 식물 판별 시스템

        박성현,임병연,정회경,Park, SungHyun,Lim, Byeongyeon,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8

        현재 인테리어의 기술은 세계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다양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가정 인테리어도 환경 조성을 위해 식물을 활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활용되는 식물들의 증가에 비해 해당 식물들의 성질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여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식물들의 위험성에 대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알리고 있지만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대중적인 독성 식물을 판별하는 합성곱 신경망 모델 기반의 독성 식물 판별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독성 식물 판별을 진행하기 앞서 네 종류의 모델을 구축하였고 각 모델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한 모델들에 대해 높은 정확성을 갖는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하여 독성 식물들을 판별할 수 있으며, 독성 식물로 인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technology of interiors is currently developing around the world. According to various studies, the use of plants to create an environment in the home interior is increasing. However, households using furniture are designed as environment-friendly environment interiors, and in Korea and abroad, plants are used for home interiors. Unexpected accidents are occurring. As a result, there were books and broadcasts about the dangers of specific plants, but until now, accidents continue to occur because they do not properly recognize the dangers of specific plant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toxic plant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a multiplicative neural network model that identifies common toxic plants commonly found in Korea. We propose a high efficiency model. Through this, toxic plants can be identified with higher accuracy and safety accidents caused by toxic plants.

      • 컬러 및 질감 특징 추출을 이용한 향상된 이미지 검색 기법

        박성현 ( Sunghyun Park ),신인경 ( In-kyoung Shin ),안효창 ( Hyochang Ahn ),이용환 ( Yong-hwan Lee ),조한진 ( Han-jin Cho ),이준환 ( June-hwa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최근 네트워크와 멀티미디어 관련 기술의 발달로 이미지 및 동영상과 같은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용량의 데이터에서 영상 정보의 효율적인 검색 방법이 요구 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전통적인 색인기술은 관리자가 영상을 직접 보면서 적절한 텍스트 내용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관리자의 성향에 따라 색인어의 입력이 다를 수 있어 검색시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으로부터 컬러 특징과 질감 특징을 추출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내용 기반 영상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하여 다른 기존의 영상 검색 방법보다 검색 효율성에서 안정적이며 보다 나은 결과를 얻음을 확인한다.

      • KCI등재

        고속 WPAN에서 Hybrid MAC을 이용한 성능 향상

        박성현 ( Sunghyun Park ),이승형 ( Seunghyong Rh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9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0 No.4

        IEEE 802.15.3 HR-PAN은 PHY와 MAC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MAC 기술은 부족한 채널 자원을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 IEEE 802.15.3의 MAC 프로토콜에서 각 DEV에게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은 네트워크의 상태나 주위 환경과 무관하게 고정된 형태이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Hybrid MAC 프로토콜은 IEEE 802.15.3 HR-WPAN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TDMA 방식과 CSMA 방식을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TDMA의 장점인 충돌 없는 전송시간의 보장과 CSMA의 장점인 높은 채널 사용률을 결합하여 802.15.3의 standard MAC보다 보다 높은 전송률을 보이는 Hybrid MAC을 제안한다. IEEE 802.15.3 HR-WPAN is designed to enable wireless connectivity of high-speed, low-power, low-cost multimedia-capable 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For quality of service, the standard specifies the use of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However, during low contention TDMA gives much lower channel utilization and higher delays than CSMA (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 because in TDMA, a node can transmit only during its scheduled time slots whereas in CSMA, nodes can transmit at any time as long as there is no contention. By mixing CSMA and TDMA, Hybrid MAC becomes more robust to timing failures, time-varying channel conditions, slot assignment failures and topology changes than a stand-alone TDMA.

      • KCI등재

        다큐멘터리 영화 <툰드라 책> - 북극 축치 순록유목민의 초상

        박성현 ( Park Sunghyun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1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5 No.4

        알렉세이 바흐루셰프(А. Ю. Вахрушев)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툰드라 책. 작은 돌 부크부카이 이야기>(Книга тундры: Повесть о Ву квукае ― маленьком камне, 2011)는 추코트카 자치구 내 북극권인 차운스카야 툰드라에서 순록을 사육하는 축치 유목민들의 삶을 그리고 있다. ‘작은 돌’이라 불리는 영화의 주인공 부크부카이는 72세의 순록사육자로, 툰드라의 혹독한 자연을 이겨내며 고대 축치족 순록유목민의 문화와 전통을 이어가는 공동체 수장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 본 논문은 시각인류학의 관점에서 <툰드라 책…>을 분석하고 북극 축치 순록유목민의 삶의 방식과 전통문화, 당면한 사회적 문제들을 살펴 보았다. 또한, 어떻게 영화의 기법들이 다큐멘터리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만드는지도 검토하였다. <툰드라 책…>은 단순히 민족지영화로서 인류학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머무르지 않고 영화 예술로서도 높은 완성도를 보여 주고 있다. 본 연구는 <툰드라 책…>이 갖는 강점으로서 민속음악의 적절한 사용과 시적이면서 회화적인 화면 구성에 주목하였다. 본고는 설명적이지 않은 다큐멘터리 방식 및 장면들의 상징적 배치가 영화의 주제를 부각시키는 효과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더불어, 바흐루셰프 감독이 이런 영화적 기법들을 활용해 주인공들이 처한 현실적 문제들을 제시하고, 관객으로 하여금 이들의 고유한 생활양식과 문화의 보존이라는 이슈에 대해 성찰하게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Aleksei Vakhrushev’s documentary film, entitled The Tundra Book: A Tale of Vukvukai, the Little Rock (2011), depicts the life of Chukchi nomads herding the reindeer in the Chaunskaya tundra, the Arctic Circle in Chukotka. The protagonist of the film Vukvukai, the ‘little stone,’ is a 72-year-old reindeer herder. As a chieftain, he faithfully serves his role of enduring the harsh nature of the tundra and carrying the culture and traditions of the ancient Chukchi reindeer herders.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anthropology, this paper analyzes The Tundra Book and examines the way of life, traditional culture, and social problems of the Arctic Chukchi reindeer herders. It also studies how the features of cinematic techniques make the content more effective. The Tundra Book does not stop at providing simply anthropological information as an ethnographic film, but also shows a high degree of perfection as a film art. As the strength of The Tundra Book, we address the appropriate use of ethnic music and also the poetic and pictorial composition. We recognize the effect of the non-descriptive documentary style and the symbolic arrangement of scenes, highlighting the theme of the film. In addition, we point out that Vakhrushev uses these cinematic techniques to present the actual problems faced by the main characters and makes the audience reflect on the issues of preserving the unique lifestyle and the culture of these people.

      • KCI등재

        카렐리야 암각화의 특징과 신석기인의 세계 인식

        박성현 ( Park Sunghyun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3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카렐리야공화국에 위치한 오네가호수와 백해(비그강 하구) 암각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페노스칸디아 북동쪽 아북극 지역에 거주했던 신석기인들의 생활과 세계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탐구한다. 지리적으로 근접한 오네가호수와 비그강은 빙하가 사라지면서 생긴 북유럽의 수많은 호수와 강의 일부로, 두 곳의 바위그림은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졌다. 카렐리야 암각화에는 사람과 육지동물 외에도 고니와 같은 물새(오네가호수), 배와 고래(백해) 등 해양문화적 요소가 두드러진다. 물가의 화강암 바위에 새겨진 그림들은 뛰어난 예술적 완성도와 기법 및 표현 방식에 있어 유사성을 가짐과 동시에 차이점을 보인다. 오네가호수의 암각화는 해석이 어려운 기호들과 종종 해 또는 달로 이해되는 상징적 이미지들을 다수 포함하는 반면, 백해의 암각화는 엘크와 벨루가 사냥, 일상과 의례를 묘사하는 직관적인 이미지들이 주를 이룬다. 신석기 예술가들은 자연 지형과 바위의 속성을 이용해 암각화를 제작했으며, 이는 그들의 예술적 감각뿐만 아니라 세계에 대한 이해방식을 보여 준다. 예를 들어, 암각화에서 바위의 균열은 종종 이승과 저승의 연결 통로로 간주되는데 이 균열선이 그대로 고니의 긴 목이 된 이미지가 있다. 고니가 균열에 머리를 기대고 있거나 고니의 머리가 보이지 않고 바위 틈새로 사라진 듯이 묘사된 그림들도 볼 수 있는데, 이는 오네가호수 암각화 제작 집단이 고니를 지하계와 지상계를 넘나드는 신성한 존재로 인식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태양과 달의 기호적 형상은 우주에 관한 그들의 표상과 연관된다. 오네가호수와 백해의 암각화는 두 지역에 거주했던 신석기인들의 생활과 사유를 반영하며 양 집단 간의 상호연관성과 교류 및 이동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troglyphs of Lake Onega and the White Sea (at the mouth of the Vyg River), located in the Republic of Karelia. In doing so, it delves into an exploration of the lives of Neolithic people who resided in the subarctic region of northeastern Fennoscandia and their perception of the world. In close geographical proximity, Lake Onega and the Vyg River are among Northern Europe’s numerous lakes and rivers formed when glaciers disappeared. Rock art was created in both locations around the same time. In addition to people and land animals, Karelian petroglyphs feature marine cultural elements such as water birds, especially swans (Lake Onega), boats, and whales (the White Sea). The images carved into the granite rocks near the water exhibi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imultaneously in their outstanding artistic perfection, techniques, and methods of expression. The petroglyphs of Lake Onega contain many difficult-to-interpret signs and symbolic images, often understood as the sun or the moon. In contrast, the White Sea petroglyphs mainly consist of intuitive images depicting elk and beluga hunting, daily life, and rituals. Neolithic artists used natural topography and rock properties to create petroglyphs, showing their artistic sensibility and understanding of the world. For instance, in petroglyphs, cracks in rocks are often considered a passage connecting this world and the afterlife, and we can see images of this crack line becoming the long neck of a swan. We can also find images depicting a swan leaning its head against a crack or as if a swan’s head had disappeared into a crevice in the rock without being visible. It means that the group creating the petroglyphs at Lake Onega recognized the swan as a sacred being that crossed the realms of the underworld and the earthly world. Furthermore, the signs of the sun and the moon are associated with their conception of the universe. The petroglyphs of Lake Onega and the White Sea reflect the lives and thoughts of the Neolithic people who lived in the two regions, suggesting the interconnectedness and possibility of exchange and migration between the two groups.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 금호강 유역의 공간 구조 개편

        박성현 ( Park Sunghyun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7 백제문화 Vol.0 No.56

        『삼국사기』 지리지에 의하면 통일신라시대 壽昌郡(?火郡)과 臨?郡(切也火郡)의 郡治는 각각 수창(위화)과 임고(절야화)였지만, 삼국시대에는 大丘(達句火)와 臨川(骨火)이 각각 그 중심지였던 것으로 추정 된다. 이와 같은 군치의 변화에 대해서 기존에는 중앙에 의한 지역(군) 내 세력 관계의 조정이라는 식으로 설명했지만, 본고에서는 공간 구조의 개편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하였다. 즉 통일기에 들어 王京뿐만 아니라 州治및 小京의 공간에 대해서도 정비가 이루어졌는데 그것은 평지에 일정한 시가지를 조성하는 것이었다. 군치에 대해서도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졌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금호강 유역 수창군과 임고군의 경우에는 그것과 관련하여 군치의 변경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하였다. 수창군의 경우, 신문왕 때 달구벌로의 천도 시도가 있었는데, 그것은 당나라 장안성을 모델로 한 새로운 도성을 조영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생각되며, 그렇다면 수창(위화) 지구의 평지가 그 예정지였을 가능성이 크다. 다만 실제로 부지 조성 공사가 이루어졌는지는 알기 어려운데, 그 일대의 지적원도를 검토해본 결과 수창군 추정 중심지의 좁은 범위에서 약간의 정방향 도로와 토지 구획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얼마나 공사가 이루어졌는지는 알기 어렵지만, 이러한 일이 계기가 되어 수창(위화) 지구의 평지 시가지에 새로운 군치를 마련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임고군치 역시, 사실 그 위치를 확정짓기는 어렵지만 임천(골화)과 구별되는 평지 시가지였다고 생각된다. 다만 나말 여초의 혼란기에는 다시 인근의 성곽, 堡가 중요하게 활용되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Treatise on Geography in Samguksagi, the county seat of Suchang-gun was Suchang (Wihwa) and that of Imgo-gun was Imgo (Jeoryahwa) in the Unified Silla period. However,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is presumed that the center of each gun (county) was Dalguhwa and Golhwa. Existing theories explained that the change of center means an adoption of new partner in the county, but I think tha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spatial restructuring. After the unification, Silla renovated not only Wanggyeong (King`s Capital) but also provincial centers, which was to make street grid on the plain. It is not clear whether this work was done for the county seats, but it is recognized that the movement of centers in the Geumho River Valley was related to the making of new county towns. There was an attempt to move the capital into Dalgubeol (same as Dalguhwa) during the reign of King Sinmun(681~692). It is thought that it was intended to make a new city modeled on Chang`an of the Tang dynasty, and the planed place was the plain of Suchang. The attempt failed, and it is difficult to know whether the site construction was actually done.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first cadastral maps made in 1910,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some north-south roads and square land divisions in a narrow range of the center of Suchang-gun. It is hard to know how much the construction was done, but it can be said that it was the occasion and a new county town was made on the place. It is presumed that Imgo was also a new town located on the plain. However, in the chaotic period of late Silla and early Goryeo, nearby fortresses became important again in both counties.

      • KCI등재

        『한서』 지리지 낙랑군 3수의 비정에 대한 검토

        박성현(Park, Sunghyun)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9

        『漢書』 地理志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지리지 가운데 하나로, 그 군현 목록은 ‘元延·綏和之交(전9~전8)’에 작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가운데 樂浪郡 소속 현의 위치 비정은 군의 범위, 더 나아가 武帝 때 4군 및 위만조선의 범위 등을 파악하는 관건이 된다. 위치 비정의 중요한 단서는 自註에 보이는 물줄기의 흐름인데, 낙랑군의 경우 서류해서 바다로 들어가는 浿水, 帶水, 列水의 흐름이 나타나 있다. 조선 후기 이래 여러 연구자들이 그것의 정확한 비정을 위해 노력해 왔다. 일찍이 한백겸이 패수를 청천강, 대수 및 열수를 각각 대동강 및 한강에 비정하였는데, 안정복, 정약용을 거치면서 패수, 대수, 열수를 각각 대동강, 임진강, 한강에 비정하는 것이 정설이 되었다. 일제의 滿鮮史 연구에서는 츠다[津田左右吉]와 이마니시[今西龍]의 견해에 따라 패수를 압록강, 열수를 대동강, 대수를 한강에 비정하였다. 그렇지만 곧 황해도 봉산에서 ‘帶方太守 張撫夷’ 무덤이 발견되면서 서흥강재령강이 대수의 유력한 후보로 떠오르게 되었다. 일본인 연구자들은 자신의 견해를 쉽게 바꾸려 하지 않았지만, 이병도는 3수에 대한 논문에서 패수를 청천강, 열수를 대동강, 대수를 서흥강재령강으로 정리하였다. 해방 후 한국 학계에서는 이병도의 견해가 통설이 되었고, 이것은 중국 학계에서도 대체로 받아들여졌다. 북한에서는 리지린이 열수를 난하에 비정해 보기도 하였지만, 마지막 단계 3수의 위치에 대해서는 분명히 하지 못하였다. 일본에서는 여전히 대수를 한강으로 보기도 하지만, 군현 관련 유적·유물의 분포를 보면 帶方郡의 범위가 멸악산맥을 넘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사회적으로 낙랑군의 위치에 대한 불필요한 논란이 있는데, 이처럼 3수의 비정은 오랜 시기에 걸쳐 어느 정도 안정화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새로운 자료의 발견에 따라 좀 더 정밀한 현의 위치 비정도 가능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漢 邊郡의 공간 및 사회 구조에 대한 좀 더 진전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Treatise on Geography in the Book of Han is the oldest one in East Asia. It is known that the list of commanderies and counties was made in 98 BCE. Locating the counties of Xuantu and Lelang Commanderies is crucial to know the boundary of these commanderies, four commanderies of Emperor Wu of Han, and Old Joseon. The clue to locate a county is the river in the selfannotation below the county. In the case of Lelang Commandery, there were Paesu, Daesu and Yeolsu (that is three rivers) that flow west into the sea. From the late Joseon period, many scholars have tried to locate them. Han Baekgyeom regarded Cheongcheon River as Paesu, Daedong River as Daesu, and Han River as Yeolsu, but An Jeongbok and Jeong Yakyong thought Paesu is Daedong River. In the late Joseon, An’s and Jeong’s theories were widely accepted.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ManchuriaJoseon by Japanese Imperialism, they pointed out Yalu River as Paesu, Daedong River as Yeolsu, and Han River as Daesu. However, the tomb of “grand administrator of Daifang” was discovered in Bongsan, and SeoheungJaeryeong River became a strong candidate for Daesu. Japanese historians refused to accept the result of archeological discovery. Lee Byeongdo located Paesu on Cheongcheon River, Yeoulsu on Daedong River, and Daesu on SeoheungJaeryeong River. After World War II, Lee’s theory was widely accepted in South Korea and China. In Japan, there are still some historians who regard Han River as Daesu. However, the distribution of remains of Lelang and Daifang Commanderies says their territory couldn’t climb over Myeorak Mountains. Nowadays, there are some disputes about the location of Lelang Commandery in South Korea. However, the location of three rivers has been established for a long time. In future, spatial and social structures of Han Empire’s frontier commandery should be more investig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