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탐색활동이 중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분석

        민수빈(Min Soo bin),김이경(Kim Ee gy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3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change in career exploration activity and students’ creativity by the latent growth model which determines developmental aspect of variables over time, and performed the longitudinal analysis to prove the activity s effect on their creativity.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latent growth model validation was performed with longitudinal panel data of 3,041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 in South Korea. The analysis method and procedure are as follows. In order to confirm the aspect of change in career exploration activity and creativity and to verify their longitudinal influence relationship, the latent growth model for individual variables was compared with the competition model to find the optimal model. The optimal model was integrated and led to the analysis on the latent growth model. Then, the effect of the career exploration activity satisfaction variable on the change trajectory was analyzed by extending the research model.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career exploration activity scores increased as grades increased, but students’ creativity decreased as grades increased. Second, the initial value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reativity, while showed a negative effect on the creativity change rate. The change rate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of creativity. Third, satisfaction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y which is a predictor positively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y, and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rea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exploration activity in improving the students’ creativity, and drew a few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strengthening policies that stimulat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본 연구는 현재 상당한 예산과 자원이 투입되고 있는 진로탐색활동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진로탐색활동이 미래 핵심역량인 학생의 창의성 함양에 있어 효과가 있는지 밝히기 위해 진로탐색활동이 중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4~6차년도 중학교 데이터 중 학생 3,041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다변량 잠재성장 모형검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의 진로탐색활동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에 반해, 학생들의 창의성은 오히려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진로탐색활동의 초기치 는 창의성의 초기치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창의성의 변화율에는 부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진로탐색활동의 변화율은 창의성의 변화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측변 수인 진로탐색활동의 유용성 정도는 진로탐색활동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창의 성의 초기치에도 정적 효과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학생들이 경험하는 진로탐색활동이 그들의 창 의성 함양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진로탐색활동 관련 정책의 확대 및 내실화를 겨냥한 행·재정적 지원 등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사 협력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학생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이경(Kim Ee Gyeong),민수빈(Min Soo Bin),김경현(Kim Gyung Hyun)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교사 협력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학생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특히, 과학 교과에 관심을 가지고 세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힐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과학을 주영역으로 하여 과학 교사만을 대상으로 별도의 설문을 진행한 PISA 2015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우리나라 고등학교 과학 교사 875명의 설문 응답 자료와 학생 4,243명의 성취도 검사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매개 효과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 교사 협력, 교사효능감, 학생의 과학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변인 간 영향 관계에 있어서 과학 교사 협력은 교사효능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학생의 과학 성취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셋째, 과학 교사의 협력은 교사효능감이 매개했을 때는 학생의 과학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 협력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특히 과학 교과에서 교사 협력이 학생의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 교사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혀냈다는 데서 의의를 찾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 교사 협력 및 교사효능감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 collaboration, teachers’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in Science. Utilizing 2015 survey results of 875 Science teachers and the Science achievements of 4,243 secondary students from 「PISA 2015 」Scienc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mediator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We foun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was appropriate. In addition, while teacher collaboration influenced teachers’ efficacy, it did not have an impact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Nevertheless, teachers efficacy mediated the effect of teacher collaboration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we drew a few policy recommendations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 대학 강좌개설 지원사업의 추진 성과와 과제

        김이경(Kim, Ee-gyeong),민수빈(Min, Soo-bin),이세미(Lee, Se-mi),김해련(Kim, Hae-ryun)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0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대학 수준에서 세계시민교육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는 필요에 부응하여,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에 의해 4년 간 추진된「세계시민교육 강좌개설 지원사업」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과제를 탐색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 분석, 성과 공유 워크숍 참여, 전문가 자문 등의 연구 방법을 토대로 지원사업을 강좌 개설 측면, 강좌 운영 측면, 강좌의 학습효과 및 만족도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실태와 성과 및 한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원사업은 총 21개 대학의 학생 1,572명이 참여한 33개 강좌를 통해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대학들의 관심도를 제고하고, 다양한 주제와 교수진, 교수학습방법으로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강의 규모의 제약, 대학 간 격차, 학습효과 관리 도구의 미흡 등은 성과를 제약하는 한계점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세계시민교육이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를 사업의 양적 확산 방안과 질적 내실화 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GCED University Course Development Project」promoted by APCEIU. Using such research methods as literature review, workshops, and expert consultation, we analyzed the four-year project surrounding course providers, course contents, and student learning and satisfac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 project has heightened universities’ interest in GCED through 33 courses involving 1,572 students from 21 universities. It was also confirmed that a variety of supports allowed students to hav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However, large class sizes, disparity among universities, and the absence of performance measuring tools seemed to limit the success of the project. As a strategy for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we suggested the tasks in terms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 KCI등재
      • KCI등재

        학교문화가 학생들의 학교폭력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이경(Kim Ee-gyeong),한유경(Han You-Kyung),민수빈(Min, Soo-B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2

        본 연구는 학교폭력의 보다 근본적 예방과 대처를 위해서는 피해자와 가해자 중심적 접근 에서 벗어나 이를 방관하거나 동조하는 대다수 학생의 대응행동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는 문제인식에서 학교문화가 학생들의 학교폭력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학생들의 학교문화와 학교폭력 대응행동에 대한 인식과 배경변인별 차이, 두 변 수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국 586개 초·중등학교의 학생 5,536명의 온라인 설문 조사 응답 자료에 대하여 기술통계, t검증,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 과, 첫째, 학생들은 학교문화에 대해서 자신들의 생활태도를 제외하고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학교급과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그 긍정 정도가 조 금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을 목격한 학생들의 대응행동을 보면, 학교폭 력을 멈추기 위해 피해학생을 돕고 노력하는 학생은 절반 정도에 그쳤으며, 나머지 학생들은 공감만 하거나 외면하고 심지어 구경하고 함께 괴롭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학생, 초 등학교 6학년생, 중학교 2학년생의 부정적 대응행동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셋째, 학생들 의 학교폭력 대응행동은 학교의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를 토대로 학생들의 학교폭력 대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가 학교문화임을 확인하고 학교문화 개선, 학생 집단별 맞춤형 프로그램 등 학교폭력 예방과 대책의 접근 관점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effects of school culture on the students’coping response toward school violence.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students’ perception on of school culture and students’ coping response toward school violenc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ulture and students’coping response toward school violence. The on-line survey data of 5,536 students in 586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analyzed vi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data analysis shows that Korean students are relatively positive about the school culture. However, the level of their perception tends to decrease as the school level and grade go up. Second, only one half of the students among those who come across school violence try to help victims to stop school violence. Especially, such groups as male students, elementary school six graders and middle school second graders appear to respond negatively. Finally,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ulture and the students’coping response toward school violence.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school culture in preventing school violence, and draw a few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group-specific customized programs.

      • KCI우수등재

        The Influence of Principals’ Safety Leadership on Teachers’ Safety Behavior in Korea : 교사가 지각한 한국 초·중등학교 교장의 안전리더십이 교사의 안전행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이경(Kim, Ee-gyeong),안지윤(Ahn, Ji-yoon),민수빈(Min, Soo-bi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3

        안전리더십은 그동안 다양한 산업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조직 구성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왔다. 그러나 학교조직 내에서 학생들의 안전을 책임지는 교사들의 안전행동과 교장의 안전리더십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초중등학교에서 교장의 안전리더십이 교사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의 76개 초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910명이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답한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교장의 안전리더십과 자신들의 안전행동 수준을 매우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행동의 수준에 대한 교사들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안전교육에 대한 책임과 경험을 보유한 교사들과 안전교육에 대한 지원이 제공되는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안전행동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중요한 발견점은 교장의 안전리더십이 교사들의 안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에, 초중등학교 현장에서도 산업체와 마찬가지로, 안전리더십은 구성원의 안전행동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들의 안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교장의 안전리더십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자격연수나 현직연수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안전교육에 대한 경험을 풍부하게 갖춘 교사들이 이를 신규교사들과 공유할 수 있는 교사들 간의 상호 연수 지원도 필요하다. Safety leadership has been reported to affect the safety behavior of employees in industrial organization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principals’ safety leadership and the teachers’ safety behavior within a school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principals’ safety leadership affects teachers’ safety behavior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an online survey with responses from 910 teachers in 76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s,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ur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perceived the level of principals’ safety leadership and their corresponding safety behaviors to be very high. Regarding the level of safety behavior, teachers working at schools with more systematic support for safety education and experienced teachers assuming more responsibility in safety education perceived their safety behavior higher. More importantly, principals’ positive safety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chers’ safety behavior. We conclude tha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like industrial organizations, safety leadership plays a critical role in predicting teachers’ safety behavi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programs that can continuously develop safety leadership ability via principals’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There is also a need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hat allow teachers with a wealth of experience in safety education to share their expertise with colleagues.

      • KCI등재

        학교 안전에 대한 학생의 인지, 정서, 행동 분석 및 시사점

        김이경 ( Kim Ee-gyeong ),김경회 ( Kim Kyung-hwoi ),류성창 ( Ryoo Sung-chang ),김숙이 ( Kim Sook-yi ),안지윤 ( Ahn Ji-yoon ),민수빈 ( Min Soo-b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학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와 시도의 정책적 노력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에서, 학교 안전의 직접적 대상자인 학생들의 학교 안전에 대한 인지, 정서, 행동을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6년 안전교육 연구학교 38개교와 비례 표집된 비연구학교 38개교, 총 76개 초·중등학교 학생 7,495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응답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 안전에 대한 학생의 인지, 정서, 행동 수준은 모두 대체적으로 높았으나 인지와 행동에 비해 정서 영역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 개인의 특성인 성별에 따라서는 학교 안전의 인지 영역에서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약간 높았고, 정서와 행동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교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교 안전의 인지, 정서, 행동 모든 영역에서 안전교육 연구학교 재학생이 비연구학교 재학생보다, 그리고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인식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안전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대응이 학교 수준의 노력 여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으로, 이를 토대로 학교 안전 수준을 제고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analyze students` cognitive capacities, attitude, and behavioral skills of school safety to know if schools are safe in reality as school safety policies implement.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data from online survey of 7,495 students, we draw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tudents tend to positively perceive their cognitive capacities, attitude, and behavioral skills of school safety, but the level of attitude are lower than cognitive capacities and behavioral skills. Second, the perception of students shows statistica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the school characteristics such as pilot operation of safety education and school level. The perception of students from the pilot school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s higher than that from non-pilot schools and high schools. Based on the findings, we draw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safety education to establish school saf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