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용자 시선 추적을 통한 광고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공감 측정 방법

        목수빈,조아영,장징,황민철 한국통신학회 2020 정보와 통신 Vol.37 No.10

        논문에서는 광고로부터 유발되는 감성인 공감을 시선 측정 기술을 통해 수준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공감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두가지 방법으로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통계 분석결과, 공감 수준에 따른 시선 반응의 유의한 차이를(p<0.001) 확인하였고,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공감이 높을수록 광고 속 인물의 얼굴 또는 눈을 보는 횟수가 증가하였다. 공감도는 5가지 세부 공감도를 각각 따로 측정하였는 데, 공감도, 전체 공감도, 인지적 공감도, 동일시 공감도, 감성적 공감도 중 감성적 공감도가 다른 공감도에 비해 뚜렷하게 평균 값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광고에 대한 정서 소구가 사용자의 공감을 더 많이 유발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피험자의 무의식적 반응과 공감 반응을 시선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피험자의 공감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공감 광고를 디자인하거나 제작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감성인식에서 기존 동공 변수는 유효한가?

        목수빈(Subin Mok),이현우(Hyunwoo Lee),유서희(Suhhee Yoo),조아영(Ayoung Cho),장징(Jing Zhang),온성옥(Xingyu Wen),황민철(Mincheol Whang)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동공은 빛의 밝기, 인지적, 감성에 의한 영향을 받으며 자율 신경계와 연관이 있는 곳이다. 그래서 시각적 자극으로 유발하는 감성에 의해 동공 크기가 극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인지적 부하 또는 인지적 판단을 필요로 하는 감성으로 인한 동공 크기 변화는 그 정도가 작을 수 있다. 즉, 자극의 종류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를 오픈 데이터인 MAHNOBHCI(Soleymani, M., et al,. (2011).) 데이터 셋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유의확률(p<0.01)을 만족하고, 문헌조사와 결과가 일치하는 변수는 동공 크기, 동공 크기 변화율, 최대 팽창 시간이다. 특히 동공 크기, 동공 크기 변화율은 좌안과 우안에 상관없이 Arousal, Valence 감성구분에 유효한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민관협력 노인구강건강증진사업 수혜자 평가

        이희용 ( Hee Yong Yi ),유기준 ( Ki Jun Yu ),이수진 ( Soo Jin Lee ),정민지 ( Min Ji Jeong ),수빈 ( Su Bin Jeong ),문애란 ( Ae Ran Moon ),보람 ( Bo Ram Mok ),송연희 ( Yeon Hee Song ) 대한구강보건학회 2014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38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seniors`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establishing a cooperation model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seniors frequenting a community center in the Sosagudistrict of Bucheon-si in the Gyeonggi-do province of South Korea. Data were obtained from self ad ministered questionnaires or personal interviews with elders after they participated in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Their perceived satisfaction with their oral health before and after the oral health program was compared.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s, ANOVA, paired t-tests, and logistic regressionusing SPSS to assess the effects of explanatory factors on the seniors` satisfaction of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Results: In total, 22.7% of participants had a positive idea about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before their participation. The mean score of change in and difference of satisfaction with oral health tended to increase in each of the following groups: women, aged 80-84 years, number of permanent teeth, full denture wearers, and those who did not require dentures. Satisfaction notably increased 0.4points in the group of full denture wearers (P<0.05). Moreover, after 1 month,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increased 5.2 times (95% CI, 1.04-25.49) compared to dissatisfaction levels. Ultimately, satisfaction with oral health shows a major impact on the satisfaction with an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Conclusions: The subjects who received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responded very positively, but this program needs overall consideration about work processes and further reliable evaluations.

      • KCI등재후보

        큰갓산(경북 경주)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유주한,김영훈,덩베이지아,천겅,장린린,추이즈리앙,리위,서동,김영훈,수빈,정재현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ecosyste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of Mt. Keungatsan located in Gyeongju-si, Gyeongsangbuk-do, South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70 taxa including 88 families, 249 genera, 323 species, 3 subspecies, 37 varieties and 7 forms. The rare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Exochorda serratifolia and Potentilla discolor.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4 taxa including Populus tomentiglandulosa, Lespedeza maritima, Weigela subsessilis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0 taxa comprising 7 taxa of grade Ⅰ, 2 taxa of grade Ⅲ and 1 taxon of grade Ⅳ. The naturalized plants were 50 taxa including Rumex crispus, Amorpha fruticosa, Poa compressa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and Lactuca scariola. 본 연구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큰갓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산림생태계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속식물상은 88과 249속 323종 3아종 37변종 7품종 370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은 쥐방울덩굴, 가침박달, 솜양지꽃 3분류군이며, 한국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해변싸리, 병꽃나무, 백운산원추리 4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0분류군으로, Ⅰ등급은 7분류군, Ⅲ등급은 2분류군, Ⅳ등급은 1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족제비싸리, 좀포아풀 등 50분류군이었으며, 생태계 교란생물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가시상추 3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