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에스트로겐 수용체 촉진제의 단기 처리에 따른 수컷 생쥐 부속 생식기관 및 간의 조직학적인 변화

        모윤정(Yun Jeong Mo),조영국(Young Kuk Cho),조현욱(Hyun Wook Cho)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10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에 높은 친화성을 갖고 있는 수용체 촉진제인 propyl pyrazole triol (PPT)을 성체 수컷생쥐에 이틀 간격으로 8일, 16일, 24일 동안 피하주사방법으로 투여하였다. 현미경으로 부속 생식샘인 전립샘과 정낭, 그리고 간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PPT 투여군의 체중과 생식샘의 무게는 감소하였지만 간의 무게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PPT 투여군에서 전립샘과 정낭의 내강 면적이 축소되었다. PPT 투여군 전립샘의 상피세포 높이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정낭의 경우, 상피세포의 핵 위쪽 세포질에 있는 분비 소포가 대조군에서는 나타났지만, PPT 군에서는 잘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군에 비해 PPT 투여군 간의 굴모양혈관 직경이 투여횟수에 누적적으로 147.0%, 198.7%, 223.3% 의 비율로 증가되었다. 이런 결과는 PPT 투여로 인해 생식기관과 간의 조직 구조가 영향을 받으며, 그 조직학적 변화는 투여회수에 따라 더 심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틀에 한번씩 투여한 PPT에 의해서 생식력 변화와 관련 있는 생식기관의 상피세포 높이 변화가 일어났고, 내강의 크기가 위축되었다. 간의 굴모양혈관 직경이 급격하게 확대되었으며, 이 결과는 간의 무게 증가로 이어졌다. In this study, the estrogen receptor agonist propyl pyrazole triol (PPT), which has high-affinity with the estrogen receptor alpha, was subcutaneously injected into adult male mice every 2 days for 8, 16 and 24 days, after which histological changes in accessory genital glands, including the prostate and seminal vesicle, and the liver were observed. The body and genital gland weights decreased in the PPT group relative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liver weight was two times greater in the PPT group. The luminal area of the prostate and seminal vesicle organs was lower in the PPT group, and the epithelial cell height of the prostate was increased relative to that of the control. There were many secretory vacuoles in the supranuclear cytoplasm of epithelial cells in the seminal vesicles of the control group, but these were not observed in the PPT group. The short sinusoidal diameter of the liver was 147.0%, 198.7%, and 223.3% greater in the PP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8, 16, and 24 days of treatment,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PT administration affected the reproductive organs and the liver and that the histological change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a rise in the concentration of PPT. Overall, the PPT treatment caused changes in the epithelial cell height and resulted in atrophy of the luminal area of the prostate, leading to altered fertility. The sinusoidal diameter of the liver dramatically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administration of PPT, increasing the liver weight.

      • KCI등재

        ICI 182, 780을 투여한 사춘기 수컷 생쥐 생식기관의 조직학적 변화와 시간에 따른 회복

        모윤정(Yun Jeong Mo),최하야나(Hayana Choi),조영국(Young Kuk Cho),박미숙(Mi Suk Park),조현욱(Hyun Wook Cho) 한국생명과학회 2015 생명과학회지 Vol.25 No.12

        본 실험에서는 ICI 182, 780(ICI)을 사춘기의 생쥐에 투여하여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저해시켰을 때 수컷 생식계에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더불어 해당 조직학적 변화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회복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150일, 300일동안 회복시키는 실험군을 추가로 설정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가장 처음 희생한 실험군에서는 ICI의 투여에 따른 형태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정소에서는 세정관과 생식상피의 위축이 관찰되었다. 더불어 세정관의 단면에서 측정한 세르톨리 세포의 개수가 줄어드는 것이 관찰되었다. 부정소의 initial segment (IS) 부분과 꼬리 부위의 상피세포 높이 또한 변화하였다. IS 부분은 상피세포의 평균 높이가 증가하였고, 꼬리부위는 상피세포의 평균 높이가 감소하였다. 투여군 수출소관의 경우, 상피세포의 평균 높이가 감소하였고, 내강의 직경이 증가되었다. 투여군 전립샘과 정낭의 경우, 상피세포의 평균 높이가 증가하였다. 정낭의 경우 상피세포의 높이 외에는 특별한 형태적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립샘의 경우 상피세포의 자유표면 쪽이 반듯한 선을 그리지 않고 흐트러진 형태를 보였다. 앞의 조직학적 변화는 150일간 회복기간을 둔 경우에 투여군이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150일째 희생시킨 그룹에서 회복되지 않은 조직학적 차이도 있었으나, 이는 300일째 희생시킨 그룹에서는 회복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ICI 투여는 사춘기 수컷의 생식기관에 조직학적 변화를 유발하였으나, 그 변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복되었다. ICI 182, 780 (ICI) has been used as an estrogen receptor inhibitor in several mammalian spec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histological changes in the reproductive system of pubescent male mice following ICI treatment,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recovery of the organs over time. To accomplish this, ICI at 5 mg/0.1 ml of castor oil was subcutaneously injected into 5-week-old male mice once per week for 4 weeks. The mice were then randomly divided into no-recovery, 150-day recovery, and 300-day recovery groups. The testis of the no-recovery group showed atrophy of the seminiferous tubules, with decreased Sertoli cell numbers and thickness of the germinal epithelium. In the epididymis, the cell height of epithelial tissues was altered, but these changes were not observed in the 300-day recovery group. In the efferent ductule, the luminal diameter was increased, but the cell height of the epithelial tissues was decreased. In the prostate and seminal vesicles, the cell height of the epithelial tissues was increased, and these changes were not observed in the 150-day recovery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ICI causes histological changes in pubescent male reproductive organs but that these changes are resolved with time.

      • KCI등재

        방문건강관리사업 영양사의 나트륨 관련 인식도, 식태도, 저감화 교육 요구도

        모윤정(Yun Jeong Mo),김숙배(Sook Bae Kim)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4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cognition, dietary attitude and education needs for reducing sodium intakes of dietitian at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CHVHS). Methods: The subjects were 75 dietitian at CHVHS. We investigated several variables (recognition, dietary attitude, education needs for reducing sodium intakes) and determined sodium intakes level of subjects as ‘low’, ‘middle’ and ‘high’ by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25 (DFQ 25). Also, we assessed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dietary attitude, sodium intake level and education needs by dietitian career period (under 3 yrs vs. over 3 yrs) at CHVHS. Results: In recognition related reducing sodium intake, they showed ‘checking a sodium content in nutrition labeling’ score 2.5/4.0 and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sodium and salt’ score 3.1/4.0.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between under 3yrs’ group and over 3yrs’ group. In dietary attitude related reducing sodium intake, they showed ‘palatability for salty taste’ score 0.8/1.0, ‘attitude in related soups’ 0.7/1.0, ‘attitude in related using natural spice’ 0.6/1.0. There was a difference in ‘attitude in related soups’ between under 3yrs’ group and over 3yrs’ group (0.6 vs. 0.7). In sodium intake level by DFQ 25, they showed ‘low group’ 41.3%, ‘middle group’ 41.3% and ‘high group’ 17.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sodium intake level by the career. In education needs related reducing sodium intakes, there were ‘teaching experience’ 93.3%, ‘have a difficulty in teaching about reducing sodium intakes’ 86.6%, and ‘necessity of education for CHVHS dietitians’ 100.0%. ‘Needed education contents for CHVHS dietitians’ were ranked as ‘cooking way to reduce sodium intake’ 58.7%, ‘relation between hypertension and sodium’ 17.3%, ‘composing way to reduce sodium intake’ 17.3%. There was a difference in needed education contents ‘relationship between hypertension and sodium’ (33.3% vs. 2.6%) and ‘The cooking way to reduce sodium intake’ (38.9% vs. 76.9%) by the career.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a capacity training program for reducing sodium intake may be needed for dietitians at CHVHS to improve health of the community elderly. For effective training program related reducing sodium intake for dietitians at CHVHS, it may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career period as dietitians at CHVHS.

      • 사춘기 수컷 생쥐에서 에탄올 투여에 의한 지방간 형성 및 조직변화

        최유진,황혜성,박주현,모윤정,최하야나,조현욱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4 과학영재교육 Vol.6 No.1

        Effects of ethanol were investigated in the liver, kidney and testis histology of male mouse during puberty. The male mouse on early puberty was treated with 25% ethanol (2g/kg) twice a week for 4 weeks. Four weeks after first ethanol treatment, mice were anesthetized with sodium pentobarbital, weighed and perfused intracardially with 4% glutaraldehyde. Body and organs weight of control and treated group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however, the weight of treated group showed decreasing patter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Lipid vesicle size in the cytoplasm of hepatocyte was increased in liver of ethanol treated group. Glomerular diameter in cortex of kidney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control and treated groups. Proximal convoluted tubular diameter of kidne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eated group. In testis, seminiferous tubular diameter was similar in control and treated groups. In conclusion, ethanol treatment induced fatty liver that increased lipid vesicle size in the hepatocyte during puberty mouse. Other organ including kidney showed the dilation of convoluted tubular diameter in histologically. 사춘기 때 각 장기에 미치는 에탄올의 영향을 알기 위해 생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사춘기 시기의 수컷 생쥐에 에탄올을 1주 2회씩, 총 4주 동안 8회 투여 하였다. 그 결과 몸무게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 투여군에서 간의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간세포 내 지방방울의 크기가 증가되었다. 그리고 간조직 내 모세혈관인 굴모양혈관(sinusoid)이 잘 관찰되지 않았다. 콩팥에서도에탄올 투여군의 무게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과 에탄올 투여군의 콩팥의 사구체 직경에는 유의한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근위세뇨관의 직경은 에탄올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정소의 경우 무게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또한 대조군과 에탄올 투여군의 세정관 직경에도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사춘기 시기의 생쥐에 에탄올을 투여 할 경우 지방간이 형성되었으며, 정소의 세정관이나 콩팥의 사구체 등은 에탄올에 의해큰 변화가 유발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