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적외선 센서정보기반 실시간 실내 대피시뮬레이션 시스템 프로토타입

        남현우,곽수영,전철민,Nam, Hyun-Woo,Kwak, Su-Yeong,Jun, Chul-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2

        실내공간에서 화재, 붕괴 등의 재난이 증가함에 따라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화재 대피시뮬레이터가 활용되고 있다. 주로 대피시뮬레이터의 활용은 건축물의 설계과정에서 피난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피난안전성 검사에 이용되고 있으며, 실제 재난 상황에서의 활용에는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대피시뮬레이션 수행결과를 실제 재난 상황에서 활용하기에 몇 가지의 제약조건이 있기 때문이다. 첫째는 기존 대피시뮬레이터는 가상의 인원정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데, 실제 재난 상황에서는 실제 인원정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필요한 점이다. 둘째는 대피시뮬레이션 수행시간이 길기 때문에 짧은 시간안에 결과를 산출하기 어려운 시간제약적인 조건이다. 셋째는 재실자의 구조활동 및 대피안내에 최적화된 결과데이터의 산출이 어려운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제약조건을 해결하기 위해 실제 재난 상황에서 활용가능한 결과데이터를 산출하는 대피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은 사전에 수많은 인원분포에 따른 대피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DBMS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기본으로 하며, 적외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건물 내 실제 재실자 인원분포를 파악하고 이와 유사한 인원분포로 수행된 결과데이터를 질의를 통해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시스템을 캠퍼스 건물에 적용하고 테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Indoor fire simulators have been used to analyse building safety in the events of emergency evacuation. These applications are primarily focused on simulating evacuation behaviors for the purpose of checking building structural problems in normal time rather than in real time situations. Therefore, they have limitations in handling real-time evacuation events with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existing models mostly experiment the artificial situations using randomly generated evacuees while real world requires actual data. Second, they take too long time in operation to generate real time data. Third, they do not produce optimal results to be used in rescueing or evacuation guidance. In order to solve these limitations, we suggest a method to build an evacuation simulation system that can be used in real-world emergency situations. The system performs numerous simulations in advance according to varying distributions of occupants. Then the resulting data are stored in DBMS. The actual person data captured in infrared sensor network are compared with the simulation data in DBMS and the querried data most closely is provided to the user. The developed system is tested using a campus building and the suggested processes are illustrated.

      • KCI등재

        커널 기반 가상머신을 이용한 시스템 무결성 모니터링 시스템

        남현우,박능수,Nam, Hyun-Woo,Park, Neung-S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8 No.3

        가상화 계층은 커널 보다 높은 권한 계층에서 수행되어 운영체제가 사용하고 있는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데 적합하다. 하지만 기존 가상화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은 CPU나 메모리 사용률과 같은 기초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메모리, 레지스터 GDT, IDT 그리고 시스템 콜과 같은 동적인 시스템 커널 객체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전가상화 방식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모니터링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 커널의 수정 없이 바로 리눅스 커널에 적용된 전가상화 방식의 KVM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KVM 내부 객체에 접근하기 위한 KvmAccess 모듈, 그리고 가상머신 모니터링 결과를 외부 모듈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API를 제공하였다. 구현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한 결과 1초 주기로 시스템을 모니터링을 하더라도 0.37% 정도의 CPU 점유율을 차지하여 그 성능 부하가 아주 작았다. The virtualization layer is executed in higher authority layer than kernel layer and suitable for monitoring operating systems. However, existing virtualization monitoring systems provide simple information about the usage rate of CPU or memory. In this paper, the monitoring system using full virtualization technique is proposed, which can monitor virtual machine's dynamic kernel object as memory, register, GDT, IDT and system call table. To verify the monitoring system, the proposed system was implemented based on KVM(Kernel-based Virtual Machine) with full virtualization that is directly applied to linux kernel without any modification.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KvmAccess module to access KVM's internal object and API to provide other external modules with monitoring result. In experiments, the CPU utilization for monitoring operations in the proposed monitering system is 0.35% when the system is monitored with 1-second period. The proposed monitoring system has a little performance degradation.

      • KCI등재

        박물관,미술관 문화기술 R&D 전략 및 연구과제 발굴에 대한 연구

        남현우 ( Hyun Woo Nam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5 No.-

        문화기술은 협의의 의미로는 문화콘텐츠를 디지털화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광의의 의미로는 문화산업과 관련한 과학기술뿐 아니라 인문사회ㆍ문화예술 분야의지식과 노하우를 포함하는 복합적인 기술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박물관·미술관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문화기술(CT) R&D 정책의 틀을 마련하고, 연구과제를발굴하는 연구이다. 따라서 박물관·미술관의 특성과국가 R&D 현황 및 문화기술 R&D, 이와 연관된 R&D정책, 그동안 제안되었던 R&D 과제 등을 중심으로 중요도와 가치평가를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GI 방법을 이용하여 문화기술R&D의 전략과 연구과제 두 가지로 구분하여 진행하였으며, R&D의 전략은 SWOT, GAP분석을 시행하여수립하였으며, 연구과제는 박물관·미술관과 연관성이있는 R&D 기술을 바탕으로 전시, 교육, 출판, 보존,연구의 5개 R&D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10개의 연구과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의 박물관·미술관 문화기술R&D 정책 및 연구과제 발굴에 대한 연구로서 학문적기대 및 성과는 매우 크며, 국가 R&D 분야에서 문화기술 R&D 과제 개발과 박물관·미술관 정책 및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Culture technology refers, in a narrow sense, to the digitizing technology of cultural contents, whereas in a broader sense, to the complex technology including knowledge and knowhow of human & social sciences and culture & art sectors as well as the scientific technology related to the cultural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R&D policy framework and discover the research projects in reference to the culture technology (CT) applicable to museum & art museum sector.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importance and value assessment of the features of museum and art museum, national R&D status, culture technology R&D and its policy and the R&D projects proposed so far.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FGI program into R&D strategy and research project of culture technology, R&D strategy was established by SWOT & GAP analyses and 10 research projects were presented in 5 R&D categories such as exhibition, education, publication, preservation and research based on R&D technology related to museum and art museum. This is the first domestic research on R&D policy and research project in reference to the culture technology of museum and art museum, is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to R&D project development of culture technology in addition to the policy development of museum and art museum in the national R&D sector along with a large academic expectations and outcomes.

      • KCI등재

        갑상선 기능저하증을 가진 산모에서 발생한 심막삼출

        남현우 ( Hyun Woo Nam ),송은석 ( Eun Seok Song ),김윤숙 ( Yoon Sook Kim ),김종수 ( Jong Soo Kim ),최승도 ( Seung Do Choi ),선우재근 ( Jae Gun Sunwoo ),배동한 ( Dong Han Ba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2

        Because thyroid disorders have a predilection for young women,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y are encountered with some frequency during pregnancy. Additionally, there is evidence that changes induced by pregnancy may actually stimulate remission and exac

      • KCI등재

        미술관 미술콘텐츠 저작권 블록체인 서비스 프레임워크 연구

        남현우(Nam, Hyun Wo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importance of art content generated in art museums, the need for reliable art NFT copyright of artists, and the necessity of art copyright NFT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platform for executing the framework and services of the art content copyright blockchain that can be used in art museums.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y quantifying the force group interview(FGI) metho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of art content copyright in art museums an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of the NFT market were analyzed. Second, art copyright metadata structural design and smart contact detailed design based on art museums were proposed. Third, a copyright service management plan was derived by proposing an NFT distribution framework for artworks. Fourth, GPIA tokens were developed to implement and test NFT services for artworks. Fifth, a strategy for commercializing content copyrights for each market that can be used in art museum was derived. 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a framework for the service system and systematic approach of copyright blockchain available in art museum was proposed. 본 연구는 미술관에서 발생되는 미술콘텐츠의 중요성, 미술작가들의 신뢰할 수 있는 미술 NFT 저작권 필요성, 미술 저작권 NFT 서비스의 필요성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에서 활용 가능한 미술콘텐츠 저작권 블록체인의 프레임워크와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플랫폼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며, 표적집단면접법(FGI)를 정량화 시키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에서의 미술콘텐츠 저작권의 문제점과 NFT 마켓의 국내외 현황을 분석하였다. 둘째, 미술관 기반하의 미술 저작권 메타데이터 구조설계와 스마트 콘트렉트 상세설계를 제안하였다. 셋째, 미술작품 NFT 유통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여, 저작권 서비스 관리 방안을 도출하였다. 넷째, 미술작품에 대한 NFT 서비스 구현과 테스팅을 시행하기 위해 GPIA 토큰을 개발하였다. 다섯째, 미술관에서 사용 가능한 시장별 콘텐츠 저작권 사업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미술관에서 활용 가능한 저작권 블록체인의 서비스 체계와 시스템적 접근에 대한 프레임워크가 제안되었다.

      • KCI등재

        박물관·미술관의 아트샵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남현우 ( Nam Hyun Woo ),정은영 ( Jung Eun 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7 한국디자인포럼 Vol.16 No.-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미술관의 주요 수익모델이 될 수 있는 온라인 아트샵의 국내외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방안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또한 성공사례 분석을 위하여 박물관·미술관 아트샵의 특징 및 경영상태, 상품카테고리, 상품군, 홈페이지 분석을 통해 그 결과값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박물관·미술관 아트샵 문제점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발전 모형은 마케팅 4P 요소를 기반으로 체계화된 상품개발 프로세스 관리(Production), 아트브랜드의 개발 및 관리(Price), 오프라인 온라인 운영의 체계화(Place), 유통망 확대 및 활성화(Promotion)의 발전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박물관.미술관 아트샵의 지속적인 성장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며, 정책자료 및 기반조사 연구의 데이터로 활용가능할 것이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domestic and foreign condition of online art shops, which could be a profit model for museums and museum of art, and researched a developmental scheme for them. To analyze successful cases, analysis was performed on characteristics, the management state, goods categories, goods groups, and homepages of art shops in museums and museum of art, with the results presented. Finally, a developmental scheme was presented to solve problems of art shops in museums and museum of art. The developmental model presented goods development process management (production), art brand development and management (price), offline and online operation systematization (place), and distribution network expansion and activation (promotion), which was systematized on the basis of 4P elements of marke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to construct a continuous growth model for art shops in museums and museum of art and be able to be used as policy data and those for fundamental researches.

      • KCI등재
      • KCI등재

        남산골 한옥마을의 운영 활성화를 위한 문제점 분석 및 해결방안 연구

        남현우(Nam, Hyun W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남산골 한옥마을 비전 수립 및 전략을 구축하고, 서울시 관광객 유치 및 확대를 위한 사업 추진 운영 및 고도화된 통합시스템을 운영할 수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서울시의 전통문화 클러스트 구축 전략을 바탕으로 한옥마을의 비전 수립과 방향성을 수립하였다. 둘째, 운영공간의 극대화 및 체계화 전략을 수립하였다. 야외를 활용한 전통 민속공간 활성화를 위한 관광객 참여수요 증대에 대한 방향성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재 운영되고 있는 한국 전통공예의 계승과 발전을 위한 전통 공예관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서울시에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 서비스 시스템 전략을 수립하였다. 서울시 관광객 유치 및 진흥을 위한 사업 추진 운영과 고도화된 서비스를 위하여 프로그램 운영의 문제점 분석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한옥의 스토리 콘텐츠 구축 전략을 수립하였다. 한옥의 콘텐츠 개발 및 통합홍보광고를 위한 홍보 운영의 문제점 분석과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산골 한옥마을의 운영 활성화를 위한 융합적 접근 방향성을 수립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따라서 남산골 한옥마을의 공간, 프로그램, 서비스에 방향성 확립에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서울시 한옥마을의 기반연구이고 토대연구가 될 것으로 보여진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plans for formulating a future vision of the Namsangol Hanok Village based on the devising relevant strategies, and to propose some alternatives for running projects and sophisticated integrated systems designed to promote and expand tourism in Seoul. This study involves the following strategies: First, it establishes the vision and direction of the Hanok Villages in Seoul based on the city’s strategy for implementing traditional cultural clusters. Second, it develops strategies to maximize and systemize the open-extended space, while analyzing the challenges concerning the direction for increasing the demand for tourist participation and proposing some options for revitalizing the traditional folk space. In addition, it also sheds light on the problems of Korean traditional craft museums currently in operation and proposes relevant solutions for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artifacts. Third, it maps out the strategies for service systems targeting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visiting Seoul. As for the projects and sophisticated services operated to attract tourists to Seoul and promote tourism,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of programs in operation and suggests some alternatives. Fourth, it develops strategies to construct the story contents of the Korean-style Hanok, analyzes the challenges stemming from the Hanok-based content development and PR, and proposes some options for the content development and IMC. The study establishes the direction of converged approaches toward revitalizing the management operation of the Namsangol Hanok Village. Hence, the present findings are conducive to defining the direction of the space, programs and services relevant to the Village, and noteworthy as the foundation and reference data for further studies on the Hanok Village in Seoul.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선택과목의 연계화 가능성탐색

        남현우(Hyun-Woo Na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4 교육평가연구 Vol.17 No.2

        합집단 연계화 방법으로 수능의 선택 과목 점수를 조정한 선행 연구가 양호한 결과를 보였지만, 2005수능이 합집단 방법의 전제 조건을 충족하기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연쇄 동백분위 방법을 약간 변형한 연계화 방법으로 선택 과목 점수들을 조정하는 방안을 연구했다. 공통사회 또는 공통과학을 조정자로 하는 연계화 결과와 영어를 중심으로 한 조정 결과의 차이를 RMSD로 계산해 보니, 변형된 연쇄 동백분위 연계화 방법은 매우 불안정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와 선행 연구를 종합해 볼 때 2005수능의 선택 과목 점수를 조정할 때에는 합집단 연계화 방법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합집단 연계화 방법을 2005수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합집단 방법의 전제 조건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 문제에 관해 논의했다. 연계화는 동등화 방법에서 따온 것이기 때문에 공정성 가정을 고려해야 하는데, 연계화 가능성을 위해 완화된 공정성 가정을 논의했다. Even though a preceding research using the synthetic group linking method showed acceptable results, not being confident of fitting 2005 CSAT data to the assumptions of that method, I studied applicability of the modified chained equipercentile linking method to CSAT elective subject tests. Comparing the scaled scores of elective tests linked by Common Social Studies or Common Natural Sciences and the scaled scores linked by English as a moderator, RMSDs of the modified chained equipercentile linking method were much higher. Considering this result and that of preceding research, I concluded that the synthetic group linking method is more applicable to 2005 CSAT elective subject tests. In order to rationalize my conclusion, I discussed the assumptions of synthetic group method in the perspective of linking different subject tests. In relation to the linking method, I also discussed weak equity property, a less restrictive version of F. Lord's equity proper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