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축가 이훈우에 대한 추가 연구 및 관련 자료

        김현경,유대혁,황두진,Kim, Hyunkyung,Yu, Dylan,Hwang, Doojin 한국건축역사학회 2021 건축역사연구 Vol.30 No.3

        In 2020, Yi Hunwoo was discovered as one of the earliest modern architects in Korea. However, his personal life was yet mostly unknown, including the time of his death. The research team ('the team' hereafter) searched for the records of his personal life and professional career. First, his family genealogical chart revealed that he died in 1937. Having located and contacted Yi's direct descendents, the team was able to clarify his family background with the descendants' testimonies. They possess the photographs of him and his family members, including Yi's picture when he was a freshman at the Nagoya Higher Technical School in Japan. The team also identifies his birthplace and the location of his grave as Hadong, Gyeongsangnamdo, Korea. The team visited his project site in Jinju, Gyeonsangnamdo, Korea and obtained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lshin Girls' High School, which he designed in 1928. Gyohoan, the congregation records of Cheondogyo, one of the leading religions in Korea during Yi's times, confirmed that he was one of the congregation members. The field research also discovered the house he designed and built in his hometown of Hadong, probably the only surviving architectural project by him. This paper is to report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Yi's life and career with the aim of providing materials for further studies in identifying and positioning him more properly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architectural scene.

      • KCI등재

        온라인 메시지 포스팅 전략이 온라인 소비자의 적극적 반응(댓글)에 미치는 영향

        김현경 ( Kim Hyunkyung ),정재학 ( Chung Jaihak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기업들이 SNS를 활용하여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하는 과정에서, 특정 메시지를 포스팅할 때 포스팅 방식에 따라 온라인상에서 소비자들이 적극적 반응(댓글 활동)을 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 연구 방식으로 실증 분석을 하고 있다. 이를 위해, SNS를 활용하여 화장품을 포스팅 하는 개인, 회사를 대상으로 개인과 회사가 운영하는 블로그와 페이스북을 통하여 총 25,712개의 댓글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어떤 제품에 대한 메시지를 포스팅하느냐에 따라 온라인상에서 반응에 차이가 있는 지를 주효과로 보고, 이러한 주효과가 기업이 특정 메시지를 포스팅할 때 포스팅을 하루 중 언제 해야 하는지 (근무/여가/심야시간), 또 어떤 요일에 해야 하는지 (주간 또는 주말), 그리고, 포스팅을 어떤 곳에서 해야 하는지 (정보중심/관계중심 SNS), 마지막으로 포스팅 주체가 기업인 경우와 개인인 경우에 따른 조절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인 시사점과 향후의 연구방안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들이 SNS를 활용하여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하는 과정에서, 특정 메시지를 포스팅할 때 포스팅 방식에 따라 온라인상에서 소비자들이 적극적 반응(댓글 활동)을 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 연구 방식으로 실증 분석을 하고 있다. 이를 위해, SNS를 활용하여 화장품을 포스팅 하는 개인, 회사를 대상으로 개인과 회사가 운영하는 블로그와 페이스북을 통하여 총 25,712개의 댓글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어떤 제품에 대한 메시지를 포스팅하느냐에 따라 온라인상에서 반응에 차이가 있는 지를 주효과로 보고, 이러한 주효과가 기업이 특정 메시지를 포스팅할 때 포스팅을 하루 중 언제 해야 하는지 (근무/여가/심야시간), 또 어떤 요일에 해야 하는지 (주간 또는 주말), 그리고, 포스팅을 어떤 곳에서 해야 하는지 (정보중심/관계중심 SNS), 마지막으로 포스팅 주체가 기업인 경우와 개인인 경우에 따른 조절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인 시사점과 향후의 연구방안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how to post messages on consumers` replies (active responses) on social networks. Specifically, the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consumer replies on a particular message on a product depends on not only the content of the message but also when to post the message, by whom, and via what type of SNSs. The study suggests a mathematical model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moderating factors on consumers` online replies and applies the model to a dataset consisting of 25,712 replies to messages on cosmetics in four different sites in blogs and Facebook.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replies to messages on a product depends on when to post the message, by whom, and via what type of SNS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비교

        김현경(Kim Hyunkyung),임희준(Lim Hee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국제비교인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 2009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사이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의 평가목표가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항목이 가장 많았던 영역은 생명과학 영역이었다.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목표 중에서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의 구분’, ‘살아남는 자손의 수를 늘리기 위한 다양한 전략’, ‘환경 상태에 대한 동물의 반응’,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특징과 그렇지 않은 특징의 구별’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고 있었으며,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도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내용들도 있었다. 물상 영역의 경우 TIMSS 2019 평가틀의 4학년 평가 목표 중에서 ‘힘과 운동’을 제외하고 우리나라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지 않는 것은 없었다. 지구과학 영역의 경우는 ‘날씨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달라짐’을 제외하고 우리나라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지 않는 것은 없었다. 물상과학 영역의 ‘힘과 운동’, 지구과학영역의 ‘날씨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달라짐’에 대한 내용은 초등학교에서는 다루지않고 중학교에서부터 다루고 있었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통합 단원의 신설, 새로운 성취기준이 추가됨으로 인하여 이전 교육과정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TIMSS 4학년 과학 평가틀의 일부 평가 목표가 우리나라 교육과정에도 포함되는 변화를 찾아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IMSS 2019 science frameworks for 4th grade and Korea 2009 and 2015 revision science curriculum. It was biological science area that inconsistency between TIMSS 2019 science frameworks and Korea science curriculum was the most. The topics were not included in Korea science curriculum not only elementary level but also middle school level were ‘distinguish groups of animals with backbones from groups of animals without backbones’, ‘identify and describe different strategies that increase the number of offspring that survive’, how different animals respond to chang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case of the physical science, none of the 4th grade objectives of the TIMSS 2019 assessment framework is addressed in the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except or force and exercise . In the case of the earth science, there is nothing that is not covered in the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except for weather depends on geographical location . The subjects of strength and movement in the physical science field and weather depends on geographic location in the earth science field were not covered in elementary school but from middle school level. It was found that the consistency between TIMSS science objectives and 2015 revision science curriculum was increased as integrated chapters and some new objectives, which were not included in 2009 revision science curriculum, were added in recent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

        구글(Google)의 뉴스저작물 정책에 대한 고찰

        김현경(Kim, Hyunkyu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6 江原法學 Vol.49 No.-

        질 높은 우수한 뉴스콘텐츠의 생성은 언론의 자유와 민주주의의 초석이 된다. 그러나 우수한 뉴스콘텐츠를 제작하려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수밖에 없다. 뉴스의 가치가 경시되고 뉴스콘텐츠 제작에 기울인 노력이 존중되지 않는다면 뉴스콘텐츠 제작에 대한 인적ㆍ물적 투자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투자감소는 뉴스콘텐츠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며 언론의 자유를 훼손하고 정보의 왜곡 또는 불균형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 궁극적으로 민주주의의 후퇴로 이어지는 악순환 구조에 빠지게 된다. 온라인에서 뉴스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기업인 구글은 언론사의 뉴스를 활용해 제목과 기사 일부를 노출시켜 직접링크 방식으로 뉴스콘텐츠를 제공한다. 그러나 자신들의 뉴스저작물 이용방식은 ‘공정이용’에 해당되며, 저작권사용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구글의 검색서비스 시장에서의 막강한 영향력은 뉴스저작권자가 이러한 구글의 정책에 대하여 대등한 위치에서 공정하게 저작권사용료 협상에 임하는 것을 곤란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제로 구글의 이러한 뉴스저작물 정책이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공정한 활용을 도모함으로서 문화발전에 이바지하고자 고안된 저작권제도에 부합하는지 검토해 보았다. 뉴스저작물 이용방식인 직접 링크는 현행법상 "전송"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대법원의 ‘링크’에 대한 판단은 재고되어야 한다. 다만 이러한 직접링크에 대하여 공중송신권이라 배타적 개념에 포함시킬 경우 인터넷상의 표현의 자유 및 정보의 자유로운 유통이 위축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개념논리적으로 볼 때 ‘링크’가 공중송신행위에 해당되지 아니한다고 함으로서 권리침해 여부를 완전히 부인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이러한 경우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일정한 경우 공중송신권을 제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구글의 뉴스저작물 이용은 공정이용에 해당된다고 보기 어렵다. 공정이용의 판단기준인 ‘이용된 부분이 저작물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그 중요성’과 ‘저작물의 이용이 그 저작물의 현재 시장 또는 가치나 잠재적인 시장 또는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부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창작에 대한 인센티브를 재산권으로 보호하는 저작권제도의 취지에 비추어 볼 때, 그리고 뉴스가 가지는 공익적 가치와 민주주의 영향성에 비추어 볼 때 뉴스저작물에 대하여는 뉴스창작 인센티브를 지속적으로 부여하기 위한 보상체계와 국민 누구에게나 차별 없이 활용될 수 있는 시스템이 함께 모색되어야 한다. 따라서 저작재산권의 제한의 새로운 유형으로 뉴스저작물의 이용을 규정하여 권리자의 허락 없이 뉴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되, 다만 보상은 사적이용에 준하지 않고 영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인정함으로서 국민의 알권리 그리고 민주주의의 발전과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Creation of high quality news contents is the cornerstone of press freedom and democratic participation of citizens. However, in order to produce excellent news content inevitably a lot of time and money are needed. If the value of news contents will be neglected and this effort given to the news content creation will not be respected, the investment in news content production will be reduced. The decrease in this investment leads to deterioration of the news content quality and undermines the freedom of the press as bringing distortion or imbalance of information, ultimately, it will result in a retreat of democracy. Google, representative firm that provides online news contents, provides news contents with deep–lnked manner by exposing the news headlines and 2-3 lines taking advantage of news contents created by the news media. However they insist that the use of news work in this way is a "fair use" and are sticking to policies that do not need to royalties. Google has a powerful influence on the search services market,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a news copyright holder to have comparable position and fairly to wrestle for royalty negotiations with respect to such a Google’s copyright policy. So it was reviewed in this paper if this policy of Google news works meets the copyright system designed to contribute to cultural development by protecting the rights of authors and promoting fair use. Linking news work is seen as the "publ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current law, so the Supreme Court judgments on the "links" should be reconsidered. However, if such deep link be include in the Right of Public Transmission as exclusive right, it is not preferable in terms of promoting the free flow of information and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Internet. Meanwhile when viewed as a logical concept, it is not reasonable to completely deny whether rights violations by that no "link" does not correspond to the public transmission behavioris. In this case, it is appropriate to take an approach that limits the public transmission right as a specific case for the benefit of the public.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hat the uses of news works by Google are ‘fair use of copyrighted work’. It does not meet the criterion of fair use, ‘Proportions of used parts in the entire works, etc. and their importance" and ’Influence of the use of works, etc. over the current market or value or potential market or value of such works’. Therefore, in light of the intent of the copyright system to protect property rights in creating incentives for, and that the news has public value and democracy Impact, remuneration system as creation incentives and system that anyone can be utilized without discrimination should be sought for news copyrighted work. Therefore, by defining as a new type of the limits of the author"s property rights, it guarantees to take advantage of the news works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owner, compensation is recognized only when used by operating without a private u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gulate the use of news contents as a new type of restriction of author"s property rights so that the news can be used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right holder, but only when the compensation is not used for private use but for business use, It should be harmonized with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 KCI등재
      • KCI등재

        저작권법상 디지털음성송신의 법적취급에 관한 고찰

        김현경(Kim, Hyunkyung) 미국헌법학회 2016 美國憲法硏究 Vol.27 No.3

        현행 저작권법상 음반제작자에게는 디지털음성송신에 대하여 채권적 성격의 보상금청구권만 인정된다. 이러한 입법의 배경에는 현재의 기술적 진화를 예상하지 못하고 소위 라디오 방송과 유사한 ‘순수한 의미의 실시간 웹 캐스팅’만을 예정하여 법적 개념을 구성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디지털송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음성송신사업자는 형식적으로는 수신의 동시성을 충족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가수 또는 특정 곡을 검색하거나 특정 사용자를 위한 채널 편성 기능을 제공하는 등 개인맞춤형 웹케스팅을 제공함으로서 실질적으로 전송과 매우 유사한 효과를 누리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현행법이 채택하고 있는 ‘수신의 동시성’ 기준만으로는 차별적인 취급을 정당화하기 어렵다. 미국이나 우리나라 모두 음반제작자에게 배타적권리를 인정할 것인가, 아니면 보상청구권만을 인정할 것인가를 구별하는 취지는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사용자들이 자신들이 매수할 의사가 있는 음악을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대가능성이 있다면 이는 배타적권리를 인정하여야 할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보상청구권으로 가능할 것이다. 다만 미국은 이를 구분하는 기준을 세분화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단지 ‘수신의 동시성’에만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과 달리 우리는 저작인접권자의 지위를 인정하고 있다. 저작물의 전달에 획기적인 수단을 제공함으로서 문화발전에 기여한 방송사업자 또는 음반제작자에게 그들이 투자한 막대한 자본을 회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방송과 디지털음성송신이 그 서비스 내용이 유사하다는 이유로 방송사업자에게 부여되는 보상청구권이 그대로 디지털음성송신사업자에게 인정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또한 앞으로 인터넷을 매개로 하는 기술 및 서비스의 발전속도에 비추어 볼 때 전송과 디지털음성송신을 개념을 법률을 통해 완전히 구별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디지털음성송신’ 및 ‘디지털음성송신사업자’의 개념을 삭제하고 이를 전송에 포함시키되, 다만 사용자의 선택가능성, 즉 음반판매의 대체가능성에 따라 서비스 이용료 요율을 차별화함으로서 서비스의 차이를 반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Under the current Copyright Act, music record producers are entitled to the right of Digital Audio Transmission. However, the right is not one which requires voluntary licenses, but one which provides satatutory licence to everybody without negotiation with music record producers if the fee which Korean Copyright Committee decides is paid. The reason for this legislation is that we can not anticipate the current technological evolution and construct a legal concept by planning only ‘real-time Internet music broadcasting(webcasting) service in pure meaning’ similar to radio broadcasting. However, as digital transmission technology advances, the digital audio transmission Service Provider seems to fulfill the simultaneousness of receipt formally, but by providing personalized webcasting, such as searching for singers, specific tunes, or providing channels for specific users, it provides services that enjoy a virtually similar effect to forwarding.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justify discriminatory treatment only by the “simultaneousness of reception” standard adopted by current law. Both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re fundamentally the same as to discriminate between the exclusive rights of the music record producers and the rights to claim compensation. If users expect to be able to search for and use music and willingly be able to buy, an exclusive right should be granted to the music record producers , otherwise statutory licence should be granted. However, the United States is subdividing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it, and Korea depends only on ‘simultaneousness of reception’. Meanwhile unlike the US, the Republic of Korea acknowledges the status of neighboring rights. It is intended to provide the broadcasting service provider or music record produce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e by providing a revolutionary means of delivering the work with an opportunity to recover the enormous capital they have invested. Therefore, it is not reasonable that the statutory license granted to the broadcasting service provider is recognized by digital audio transmission service providers as it is because broadcast and digital audio transmission are similar in their service content. Also, considering the speed of development of Internet-mediated technologies and services, it is also undesirable to completely differentiate ‘forwarding’ and ‘digital audio transmission’ through the concept of the law.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o delete the concepts of ‘digital audio transmission’ and ‘digital audio transmission service provider’ and include them in ‘forwarding’.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reflect the difference of service by differentiating service charge rat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vity and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the sale of records.

      • KCI등재

        12세기 일본 귀족사회의 계층의식 ― 후지와라노 요리나가의 범종(凡種)관 ―

        김현경 ( Kim Hyunkyung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翰林日本學 Vol.- No.41

        Medieval Japan is known to be the age when the distiction between high and low status was much emphasized than those of other historical periods. There was a conception of gotra(lineage), that the status of a person was fixed by descent or birth, in the medieval period.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hierarchical consciousness, by researching the word ‘bonshu(humble birth)’ which refers to a low status in contrast to kishu(noble birth), and bonshu and kishu both are related to the conception of gotra. In particular, the case of bonshu is concentrated in the diary of Fujiwara no Yorinaga(1120-1156), an upper-class aristocrat from the Sekkan family. In Yorinaga’s diary, the people called bonshu were from the Miyoshi family and Nakahara family, which are the clans of working-level officials, and Kanmu Heishi family as governors and warriors. The word ‘bonshu’ was used when someone is recognized as an unqualified person to be appointed to a specific position of official. Bonshu means the status of a group that is in a position to serve the noble class of kishu, and bonshu people were difficult to become court nobles. On the contrary, noble family of kishu could reach the posts of court nobl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12<sup>th</sup> century, the latter Heian period, there was a newly emerging group that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mperor Emeritus who took power and ruled Japan, and entered high-ranking posts of court nobles to shake the status order. The word bonshu was intented to clearly reveal the class order centered on the Sekkan family, and the view of bonshu was shared among people surrounding Yorinaga.

      • KCI등재

        음자손(蔭子孫)에서 귀종(貴種)으로 ― 일본 고대 지배층 신분 명칭의 변화 ―

        김현경(Kim, Hyunkyung)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3 동서인문 Vol.- No.22

        고대 일본 지배층의 지위는 율령에 규정된 위계(位階)에 의해 보장되었고 위계를 지닌 자에게는 정치·경제·사회적 특권이 부여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위계 계승을 돕기 위하여 자손들에게 음위(蔭位)를 설정하였다. 하지만 위계는 관인(官人) 개인에게 주어지는 것으로 관인이 속한 지배층 집단의 신분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기에는 애매한 점이 있었다. 나아가 시대가 지나 위계 질서에 변화가 나타나고 귀족사회가 재편됨에 따라 발생하는 새로운 신분 계층에 대한 명칭의 고안이 필요해졌다. 이 논문에서는 지배층 중에서도 상류 귀족층에 대한 명칭인 ‘귀종(貴種)’에 주목하여 그 명칭이 등장한 배경과 양상을 살펴보았다. 귀종 이전에는 음위제 하에서 음위를 부여받는 음자(蔭子)와 음손(蔭孫), 즉 음자손의 존재가 확인된다. 그런데 음손 중에는 음위의 수여 대상이 아닌 4, 5위 관인의 손자도 포함되었다. 음자손은 그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와의 관계를 규정하는 말이지만 음위를 받아 지위를 세습하게 되는 특정 가문의 혈통이나 신분 계층을 가리키는 명칭은 아니었다. 9세기에 들어 3위 이상의 관인, 즉 귀(貴)의 자제들에게 관직 진출의 루트를 보장해 주는 귀족화 정책이 진행되었고, 이에 반대한 문인귀족은 귀의 자제를 ‘귀종’이라고 부르며 그들이 아버지와 같은 지위를 계승하는 경향을 지적하였다. 이후 10세기로 들어서면서 대신, 공경(公卿) 등의 고위관직은 특정 가문들에 의해 과점되는 상황이 펼쳐졌고, 문인귀족들은 상류 귀족층에 협력하면서 이들에 대한 ‘귀종’ 표현을 공유해 나갔다. 그 결과 제도나 법률상에 규정되지 않았지만 현실 사회에 존재했던 계층 집단인 상류 지배층에 대하여 귀종이 신분 명칭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The status of the ruling class in ancient Japan was secured by Imperial court ranks prescribed by the ritsuryo codes, which granted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privileges to those who held them. To help ensure the succession of the court rank, descendants of high-rank officials were awarded on-i(蔭位), certain ranks based on his father or grandfather’s rank. However, court ranks were given to individual officials and were ambiguous as indicators of the status of the ruling group. Over time, changes in the order of court rank occurred, and as aristocratic society was reorganized, new classes arose, and it became necessary to devise names for them. This study is to focus on kishu(貴種, noble birth), a name for the upper aristocratic class, and find out the background and aspects of its emergence. In the 8<SUB>th</SUB> century, the existence of onshi(蔭子) and onson(蔭孫), or onshison, who were awarded certain court ranks according to on-i system, is confirmed. However, onshison also included the grandsons of the 4<SUB>th</SUB> and 5<SUB>th</SUB> ranking officials who were not eligible to receive an on-i. While the term was used to define a persons relationship to their father or grandfather, it did not designate a specific family lineage or status class which would get on-i and inherit the status. In the 9<SUB>th</SUB> century, the policy of aristocratization was undertaken that guaranteed a pathway to government office to the children of 3<SUB>rd</SUB> rank officials, while the opposing literati aristocracy referred to those as “kishu”, noting their tendency to inherit the same status as their fathers. Instead, as the 10<SUB>th</SUB> century progressed, high-level government positions became dominated by a few families, and the literati aristocracy cooperated with the upper aristocracy and shared the expression “kishu” with them. As a result, kishu became a status designation for the upper ruling class, a class group that was not defined by institutions or laws but existed in real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