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태혁,김우현,류호영 한국재무학회 2017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본 연구는 기업고유위험(idiosyncratic risk)요인이 국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한다. CAPM과 APT와 같은 전통적인 자산가격결정이론에서는 기업고 유위험(idiosyncratic risk)이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줄 수 없다는 결론을 지지한 다. 그러나 Ang et al.(2006, 2009), Fu(2009) 등과 같이 최근 연구들은 기업고 유위험도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국내주식시장에 대해서는 김태혁, 변영태(2011), 정정현(2015), 엄철준 외 4 (2014) 등과 같이 대다수의 연구가 기업고유위험과 주식수익률간 음(-)의 관계를 나타낸다는 결과 를 제시하고 있다. 국내 연구들이 기업고유위험과 주식수익률 간 관계에 편중되 어 있고 IVOL의 위험요인 가능성 여부에 관해서 윤상용, 박순홍(2014)의 연구가 있지만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IVOL 추정 시 5요인 모형을 이용한다는 점 과 IVOL관련 위험요인을 구성하여 3요인 모형과 5요인 모형에 추가하여 설명력 을 비교한다는 점이 기존 연구와 차이라고 볼 수 있다. 주요 결과는 첫째, 기업고유위험요인(IVLMH, IVLMH*)은 각각 월평균 0.80%, 0.71%의 초과수익률을 나타내어 HML, RMW 등과 함께 국내주식시장을 설명하 는 위험요인으로 고려될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Fama and French 3 요인 모형과 기업고유위험요인(IVLMH, IVLMH*)을 추가한 4요인 모형의 설명력 검증에서는 수정된 설명계수 값이 3요인 모형보다 대안적인 4요인 모형에서 개 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ama and French 5요인 모형과 기업고 유위험요인(IVLMH, IVLMH*)을 추가한 6요인 모형의 설명력 검증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검증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구성하고 전체기간에 대해 3 개의 하위기간으로 나누어 GRS-F 검정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기업고유위험을 추가한 모형들이 French 3요인 및 5요인 모형 보다 더욱 적합한 모형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Enactment of Restriction on Cross-Shareholding and Managerial Reactions
김태혁,김위생,정상민 한국자료분석학회 201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3 No.2
This study empirically evaluates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reaction to the enactment of the American pattern of corporate governance system. Government policy makers may intervene in the market for corporate control to improve on corporate governance. We try to examine whether corporate sectors follow the intent of the governance reforms act. The results show that fixed asset growth rate does not differ between firms that are restricted from cross-shareholding and firms that are not restricted. And fixed asset growth rat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oreign investors’ equity hold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overnment regulation did not affect the capital investment behavior for firms controlled by dominant shareholders. However we found that stock return performance is poorer for regulated firms than for unregulated firms. The result means that enactment produced any differences in new capital investment level between regulated firms and unregulated firms
김태혁,정대성,나기명,정상민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4
W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WTI oil spot and futures prices. According to our empirical test there exist long and short run equilibrium and oil futures prices forecasts spot prices. We use a sample of weekly data over the period from January 1986 to May 2011. We use co-integration analysis followed by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ling, Granger causality, variance decomposition, and impulse response function. The empirical test results are as follows. At first, Granger causality test results find that there is causality relationship between oil futures and spot prices. Even though the causality relation is mutual, oil futures causality relationship is stronger. Second, VECM test results shows that as maturity closer, the effect on spot price is stronger. Third, we divided oil price into stationary stage and volatile stage. In volatile stage the futures price effect on spot price is strong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age the forecasting power of VECM is better. We find also in the volatile stage the effect of futures markets on spot markets is more evident. 본 연구는 장기 및 단기 원유 상품선물과 현물 사이의 가격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원유 상품선물과 현물의 가격 사이에는 장기 및 단기적 균형관계가 존재하고, 원유 상품선물가격이 원유 현물가격을 선도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ranger Causality 검정 결과 원유 상품선물과 현물 간의 가격관계에 대한 인과관계를 확인하였고, 쌍방적 인과관계를 가지지만 원유 상품선물의 현물에 대한 인과관계가 강력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둘째, VECM 검정 결과 만기가 가까워짐에 따라서 원유 현물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증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원유가격의 안정기와 변동기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안정기보다 변동기에 장기 및 단기적으로 원유 상품선물이 원유 현물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고, 양(+)의 관계로 유의적이며, 해당기간에 VECM의 예측력 또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원유가격의 변동기에 원유 상품선물시장의 현물시장에 대한 가격선도효과가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태혁,윤택영,최두호 한국통신학회 2019 정보와 통신 Vol.36 No.9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암호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암호시스템은 크게 암호 알고리즘과 암호키로 구성되어 있는데, 커코프의 원리(Kerckhoffs"s principle)에 따르면 암호시스템의 안전성은 암호 알고리즘의 비밀성이 아닌 암호키의 비밀성에만 의존해야 한다. 이에 암호키의 비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안전한 암호키 관리를 위한 기술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기계학습은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 기술의 성능 또는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용되고 있다. 암호 분야에서도 다양한 측면에서 기계학습을 적용하려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암호학에서 중요한 요소인 키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기계학습 기반의 키 관리 기술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