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 림파구의 Uropod 형성에 있어 인산화 Ezrin단백질의 역할

        김지현,김경민,최우봉,김정환,김광현,이종환,장안희,윤선미,김지현 대한암예방학회 2009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14 No.2

        Migrating T cell shows typical hand-mirror shape, leading edge and uropod polarity. EL 4 T cells features partitioned morphology like leading edge and uropod. In order to verify this polarity, EL 4 T cells were stained for nucleus, Golgi apparatus, cell membrane with DAPI, BODIPY-FL C5-ceramide and CD44, respectively. EL4 T cells showed typical migrating T cell shape. Ezrin is a cross-linker between cell membrane and cytoskeleton. Especially, phospho-ezrin may play an important role for uropod region. Phospho-ezrin was accumulated in uropod region immune-stained with anti phospho ezrin antibody. T567D ezrin, phospho-mimetic form of ezrin, was transfected into EL4 T cells. T567D transfectants showed enhanced uropod structure and disrupted leading edge. NH2 terminal domain (NT)-ezrin transfectants showed weak uropod structure. In addition, T567D had ability of cytoplasmic accumulation of F-actin in P3X63,653 myeloma cell. To test cell biological function with enhanced uropod, cell migration assay was carried out with T567D ezrin transfectants. Reduced cell migration was detected in T567D transfectants with F2 endothelial cell, however cell migration was increased in T567D transfectants without F2 cells. Collectively, phospho-ezrin is involved in uropod fromation and uropod facilitates the rapid cell migration.

      • S-315 : 체동맥 폐순환의 Amplatzer vascular plug 를 이용한 치료의 1예

        김지현,박용근,배준기,김지현,박용근,배준기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3 No.1

        폐격리증 없이 정상 기관지와 연결된 폐실질 조직에 체동맥이 분포하는 선천성 기형은 드문 질환으로 이중 좌폐하엽 기저분절의 체동맥 분포가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술적인 치료가 일반적이었지만, 최근 수술의 위험성 및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동맥색전술을 이용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으며, 주로 코일을 이용한 동맥색전술이 보고되어 왔다.저자들은 반복적인 객혈을 하였던 22세 남자에서 폐격리증이 동반 되지 않은 우폐하엽의 10 mm의 체동맥 분포를 확인 하였고, 섭식동맥 직경이 크고 혈류가 빨라 Amplatzer 혈관폐색장치를 이용한 색전술을 시행한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22세의 특이질환 없는 남자 환자가 반복되는 객혈로 입원하였다. 이학적 검사상 특별한 소견은 없었고, 혈액검사 및 X-ray 상에서도 특별한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Bronchoscopy상 오른쪽 제2기관 분기부에서 출혈의 흔적과 식염수세척시 피가 나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흉부 CT상 우폐하엽의 유리음영과 함께 약 10 mm의 흉부동맥에서 우하폐엽으로 분지되는 섭식동맥이 관찰되었다. 혈관조영술에서 흉부대동맥에서 우폐하엽으로 분지되는 섭식 동맥, 동정맥혈관 및 분출 정맥을 관찰하였고 직경이 크고 혈류가 빠를 때 유리한 Amplatzer 혈관폐색장치를 사용하여 동맥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시술 이후 색전술 후 중후군 및 폐렴으로 2주간의 항생제 치료 이후 양호한 상태로 퇴원하였고 2년간 외래를 통한 관찰 결과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다. 최근의 여러 가지 보고를 통해 체동맥 폐순환에 의한 합병증으로 치료의 적응증이 있는 경우 동맥색전술이 우선적인 치료법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섭식동맥의 크기가 커서 기존의 코일 색전술시 합병증의 발생위험이 높은 경우, Amplatzer 혈관폐색장치를 경피적 색전술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 KCI등재

        宋代 詞論의 記述 類型에 관한 分析 - 蘇軾 관련 詞論을 중심으로·

        김지현 한국중국학회 2011 중국학보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grasp and evaluate the depicting patterns of theories on Ci written during the Song era. As the result of this fundamental analyses on the theoretical books about Ci studies published in the Song era, it came to known that those six depicting patterns are mainly notable:First, introducing the historical events worked as the background during the process of creating the Ci. Second, minute explanations and commentary on some specific Ci works. Third, general comments on several Ci composers. Fourth, indications or counterarguments on the existing fallacy found in those theoretical books about Ci studies. Fifth, close examination on the relations of some responsing Ci works. And finally sixth, close examination on the origins of several Ci phrases. Those six depicting patterns have their own part in the contributions to the research on Ci studies. This paper is written in hopes of setting off the overall research to come on Ci studies.

      • KCI등재후보

        청년 집단의 죽음 공포와 죽음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

        김지현,민경환 한국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4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gender and personality variables on fear of death and death acceptance among young adults. In Study 1, using a sample of 82 male and 101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ex differences in death fear and death acceptance were examined. As the result, women tended to report significantly more death acceptance than men while men showed more fear of death than women. In Study 2, using a sample of 57 male and 104 female college students, the influence of demographics, personality variables, and subjective well-being indices on fear of death and death acceptance were investigated. Findings from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at were conducted separately for fear of death and death acceptance show that personality variables including self-esteem,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neuroticism are significantly stronger predictors of death fears than are demographics while gender, living arrangements, and religiosity being the most potent predictors of death acceptance among young ad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청년들이 죽음에 대하여 갖는 공포와 죽음에 대한 수용을 포괄하는 죽음 태도에 미치는 심리학적 변인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 1에서는 성별에 따라 청년 집단의 죽음 공포와 죽음 수용에서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 자아 존중감, 심리적 적응,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신경증 성향 등을 포함한 성격 변인들과의 관계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죽음에 대한 회피 경향이 높은 반면에 여학생들의 죽음 수용 정도는 남학생들보다 높았고, 자아존중감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에서 여학생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격 변인들이 청년 집단의 죽음 공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대학생들의 죽음 태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인구통계학적 변인들, 성격 변인들, 및 죽음과 관련된 태도 변인들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죽음 공포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은 신경증 성향, 심리적 적응, 자아 존중감, 죽음 대처 효능감, 노화에 대한 태도, 및 노인에 대한 태도 등이었고 이들 변인들은 전체 변산성의 26.1% 정도를 설명하였다. 한편, 죽음에 대한 수용에 대하여 성별과 주거환경 등의 인구학적 변인들과 종교성의 영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이들 변인들은 죽음 수용 변산성의 약44%를 설명하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폐산업시설 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경험디자인 연구

        김지현,노이경,황연숙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9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8 No.5

        Industrial facilities that used to be productive in the past have been left unattended due to the loss of function due to changes in modern society. These neglected waste industry facilities have shown a number of problems, and as a recent solution,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alternatives for regeneration into cultural art spaces. In the case of the abandoned industry facility regenerated as a culture and arts sp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new experience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stimuli in an environment where past and present facilities coexis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design of complex cultural space that reconstructed abandoned industry facility. Cas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five case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was opened within the last three year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that reproduced the abandoned industry facility was divided into exhibition space, education space, commercial space, and resting spa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case by case, exhibition space, resting space> commercial space> education space appeared in orde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that reconstructed the abandoned industry facility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t was divided into six characteristics: sensory, relevance, symbolism, historical, dynamic, and interactivit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design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that reconstructed the abandoned industry facility through case analysis,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sensibility> association> dynamic> symbolism> history> interaction. In various cases, the use of various design elements showed high sensibility and association, but the interaction, which is an experience factor that induces user’s participation, was relatively low.

      • KCI등재후보

        웹진에 있어서의사용자 경험요소의 적용

        김지현,이정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04 기초조형학연구 Vol.5 No.1

        With the beginning of information age, analogue digitalized. It makes continuous changes in design paradigm, and demands designers to design the formless reflected user's motive and needs. Today, the research related with Web is unevenly distributed to usefulness through usability test, and the research has indicated the problems because of complexity and emotional characters of design. While professionals in various field have convinced of possibilities of webzine, it is not definite how to judge webzine. This study tried to find a solution to promote webzine which is combined digital media with analogue media, through analyzing the problems, selecting and applying the user's experience elements and to presenting the model for webzine.At first, user's experience elements in publication design were selected for friendly and easy feeling and active elements experienced in offline surroundings are presented for user's fun and immersion. For this, the problem was selected through comparison the special quality between webzine and magazin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webzine user and magazine user through the preceding studies.For solving the problems, applicable elements for webzine in magazine and active elements based on user's experience were selected and applied to a webzine in service now.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need testification, and DB construction by digitalization of magazine contents, legal defence for prevention of contents copy and development of various device should be joined for more effective webzine.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아날로그는 디지털화 되었고 이에 따라 디자인 패러다임 역시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현대의 디자이너에게 사용자의 동기, 욕구, 욕망을 반영하는 무형의 상황까지 디자인하는 것을 디자인의 중요한 덕목으로 부여하고 있다. 현상적으로 최근의 웹 관련 연구는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에 의한 기능성과 효용성을 측정하는 물리적 요소에 편재된 경향을 보이고 있고 지금까지의 연구는 디자인의 학문적 복합성과 언어로 설명하기 어려운 정성적인 측면으로 인하여 문제점만을 지적하고 지나치는 면이 많았다. 따라서 웹이라고 하는 디지털 미디어와 잡지라고 하는 아날로그 미디어가 결합된 웹진을 적용 사례로 선정하여 소비자의 경험 요소를 적용시킨 웹진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은 웹진의 가능성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이야기 하고 있으나, 현재의 웹진은 불명확하고 포괄적인 기준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인터넷 콘텐츠는 무료라는 인식과 함께, 그 실정은 매우 영세하다. 이에 웹진의 특징과 더불어 문제점을 요소별로 분석하여 웹진의 아이덴티티를 부여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 요소를 추출, 적용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콘텐츠 유료화 정책과 더불어 웹진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웹진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1차적으로 사용자들이 경험하는 피동적 경험 요소-수백 년간 인쇄출판물을 통하여 경험해온 편집 디자인 방식-를 차용하여 친근함과 편리함을 제공하며, 2차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오프라인 환경과 유사한 능동적인 경험 요소를 제시하여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키고, 몰입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현재 문제점으로 제시한 웹진 표본을 선정하여 리뉴얼(renewal) 함으로써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오프라인의 편집 스타일의 온라인에서의 적용 효과의 검증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며, 잡지 콘텐츠의 디지털화를 통한 통합 DB구축, 콘텐츠 무단 복제 방지를 위한 법적 대책 마련과 함께 다양한 디바이스 개발을 통해 휴대성의 한계를 극복하는 일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Neural Stem Cell Differentiation Using Microfluidic Device-Generated Growth Factor Gradient

        김지현,심지연,김현정 한국응용약물학회 2018 Biomolecules & Therapeutics(구 응용약물학회지) Vol.26 No.4

        Neural stem cells (NSCs) have the ability to self-renew and differentiate into multiple nervous system cell types.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the concentrations of soluble biological molecules have a critical role in controlling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In an effort to find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the generation of desired cell types in vitro, we used a microfluidic chip-generated growth factor gradient system. In the current study, NSCs in the microfluidic device remained healthy during the entire period of cell culture, and proliferated and differentiated in response to the concentration gradient of growth factors (epithermal growth factor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We also showed that overexpression of ASCL1 in NSCs increased neuronal differentiation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gradient of growth factors generated in the microfluidic gradient chip. The microfluidic system allowed us to study concentration-dependent effects of growth factors within a single device, while a traditional system requires multiple independent cultures using fixed growth factor concentrations. Our study suggests that the microfluidic gradient-generating chip is a powerful tool for determining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