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미술수업의 쟁점과 대안: 중학교 미술교사의 목소리로부터

        김지서,은주,안지연 한국조형교육학회 2024 造形敎育 Vol.- No.90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미술수업에서 미술교사들이 공통적으로 마주하는 애로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쟁점과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현장과 괴리되지 않으면서도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이어 이론과 실습, 수업 실행과 반성으로 이루어진 연수에서 미술교사들과의 수업 나눔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고 대안을 모색하여 연구자 간 논의를 통해 정리하였다. 그 결과, ‘수업 설계’에서 미술교과의 본질 지키기,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위한 환경 조성하기,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 강화하기를, ‘수업 실행’에서 발상과 결과물의 수준 높이기, 학습자 참여시키기, 차이 조절하기, 미술과의 디지털 소양 고려하기를, ‘평가’에서 과정중심평가 활용하기, 맞춤형 학습과 공정한 평가 사이의 균형 잡기, 테크놀로지 활용 미술수업의 특수성 인지하기, 수치화 불가능을 인정하기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의 애로점에 근거한 연구, 물리적 환경 조성, 교원의 역량 강화, 일원화된 교수⋅학습플랫폼의 개발을 개선 사항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rt teachers’ common difficulties in technology-based art classes and to explore key issues and possible alternatives. To this end, the authors attempt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that aligns with the practical school setting from comprehensive analyses of relevant prior studies. By qualitatively analyzing the data from lesson-sharing with ten art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program, critical issues and corresponding solutions were drawn. In 'class design,' maintaining the essence of art education, creating environments suitable for technology-based classes, and strengthening art teachers' technological capabilities were highlighted; in 'class implementation,' raising the level of artistic ideas and outcomes, encouraging student participation, adjusting individual differences, and considering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were emphasized; in 'evaluation,' focusing on process-oriented assessment, balancing personalized learning with fair assessment, recogniz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based art classes, and acknowledging the impossibility of quantification were deriv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conducting further research on school challenges, creating supportive physical environments, enhancing teachers' capabilities, and developing unified teaching and learning platforms.

      • KCI등재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등학교 미술수업의 실행과 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비판적 인식 및 창의적 활용을 중심으로

        김지서,정은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23 造形敎育 Vol.- No.88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use of generative AI in art education and address future directions regarding it in the upcoming era of AI. The art lessons using generative AI were implemented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lesson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I literacy significantly improved as they delved into the mechanisms of generative AI and engaged in critical recognition. Second, students were able to creatively utilize the potential of AI technology to express artistic themes effectively. Third, an activ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AI actors allowed for a significant leap in students’ creativity. Fourth, the lessons broadened students’ perspectives on contemporary art and their creative art process. Consequently,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proposing detailed art lessons that enable students to critically recognize generative AI at various levels and develop their competencies to creatively utilize AI technology.

      • KCI등재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융합 미술프로젝트의 실행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미술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지서,정은영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5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의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과 구체적인 수업 사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명이 참여한 인공지능 기술 활용 생태 주제 미술프로젝트를 설계하여 실행하였고, 그 과정과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여다음과 같은 교육적 효과와 의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자는 생태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비판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생태 소양을 함양하였다. 둘째, 학습자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동시대의 생태 위기와 디스토피아적 인류세의 풍경을 창의적으로 시각화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 셋째, 학습자는 예술을 매개로 한 사회적 실천의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사회 문제에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생태시민의 태도를 갖추게 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전환교육, 인공지능 융합교육, 사회참여 미술교육을 아우르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미래사회의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학생들의 비판적·창의적역량을 함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directions towards art education for ecological transformation in the era of AI (Artificial Intelligence) by providing a case study of creative-convergent art lessons. To this end, a series of ecology-themed art projects using AI technology were implemented for high school students. By qualitatively analyz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project-based lessons,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educational effects and implications. First, learners developed eco-literacy by responding to and critically recognizing ecological issues. Second, students enhanced their creative ability to visualize the ecological crisis and dystopian environment of the Anthropocene by utilizing AI tools. Third,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process of social practice through art and learned to engage with socio-environmental issues as ecological citize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students can develop the critical and creative capacity to respond to the uncertainties of the future society through art projects that integrate socially engaged art education, education for ecological transformation, and AI convergence education.

      • KCI등재

        기술융합 예술교육의 이론적 토대와 실천 방향 - 교육 프로그램의 체계 구축을 중심으로 -

        정은영,김지서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5

        본 연구는 고도의 기술환경 속에서 융합적인 예술 창작과 문화 향유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기술융합 예술교육의 내용체계 및 운영구조의 틀을 마련하는 데 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인간과 기술매체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성찰로부터 이론적 토대를 갖추고, 기술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이론과 국내외의 융합교육에 대한 분석 으로부터 실제적 방향을 모색하였다. 특히 철학, 과학, 예술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논의되고 있는 포스트휴머 니즘 담론과 매체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미래사회 역량 및 국내외 융합예술교육의 사례를 분석, 종합함으로써 실질적인 교육체계 및 실천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 다. 이로써 본 연구는 비판적 사고, 디지털 리터러시, 융 합적 예술 창작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기술융합 예술교 육의 내용 체계와 인적, 물적, 제도적 차원이 상보적으 로 작동하는 운영구조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tents structure and practical system of technology-convergence art education that can enhance learner's competencies of integrated art creation and cultural enjoyment in today's highly technological environment. To this end, the authors attempted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rom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and sought to find practical orientations from critical analyses of current competency-based educational theories and convergent educational practices undertaken globally. More specifically, from the critical perspective of Posthumanism and media theories widely discussed in philosophy, science, and art, the authors conducted in-depth analyses and comprehensive syntheses on current educational theories and practices. As a result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proposed the contents structure of technology–convergence art education, in which the three pillars of critical thinking, digital literacy, and convergent art creation are organically linked, and the operational system wherein human, material, and institutional dimensions should be mutually supportive.

      • KCI등재

        프레아피투 사원 평면도 복원을 통한 유구 간 상관관계 고찰 -앙코르 유적 "프레아피투 사원" 연구 (1)-

        박동희,김지서,철민,Park, Dong-Hee,Kim, Jiseo,Kim, Chul-Min 한국건축역사학회 2017 건축역사연구 Vol.26 No.1

        We surveyed Preah Pithu monument group site in Angkor. We made the map of present condition throughout the actual measurement and 3D scan. And we restored the floor plan, and completed the map of site placement. During this processing, we confirmed the middle axis of temples and studied the relation of temples and made clear the order of sites. Throughout this studying, we verified the middle axis of sites is not matched in Preah Pithu monument group. It is different aspect comparing with general Khmer religion architectures which were built with the planification belonging to strong royal authority and shared main axis through whole sites. In other words, we can estimate that Preah Pithu monument group was not built with planification rather than expanded as occasional demand during the process of actual use.

      • KCI등재

        자계서원 영귀루 붕괴 원인 분석 연구

        조은경,박찬민,김지서,박성호,유혜란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4 No.6

        In general,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beam element in traditional wooden structures has a very high safety factor as the area is comparablybig so it is very rare for the building to collapse in a sudden. Recently the Younggwilu(Pavilion) in Jagyeseowon(TraditionalPrivate School) was collapsed from its natural state without any external load factors like the earthquake or typhoon. This study isanalyzing the present state of the collapsed Younggwilu building and examin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upper structure and roofload. Structural analysis of the building was undertaken with the collected data of the investigation for the before and after state of thebuilding and analysis of the collapse condition. The cause of collapse could be indicated as supporting failure of the front right columnand the instability of the upper roof load distribution. This research could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the structural stability ofthe traditional wooden structures for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일반적으로 전통 목구조의 주요 구조 부재 단면은 상부 지붕 하중에 의한 안전율이 상당히 커서 갑작스런 붕괴가 발생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러나 최근 자계서원 영귀루는 지진, 태풍 등과 같은 외부 하중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붕괴되었다. 본 연구는 자계서원 영귀루의 붕괴 현황을 분석하고 상부 하중에 대한 구조내력을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영귀루의 붕괴 전후 현황 조사 및 붕괴 양상을 분석하고 구조해석을 통해 전면 우측부분의 기둥 지지력 상실과 상부 지붕 하중의 불균형 등에 의해 전체 구조물의 붕괴되었을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건축문화재 등 전통 목구조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