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생활의 분산과 난해성의 기원 - 1960년대 김수영 시를 중심으로
김종훈(Kim, Jong-hoon) 한국근대문학회 202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2 No.2
이 논문은 김수영 시의 난해성을 형성하는 요인으로 생활의 도입에 주목하였다. 1950년대 중반 김수영은 생활의 세목에 주목하여 시에 구체성을 더했다. 1960년대에 이르러 그는 구절의 반복으로 골조를 이루고 그 사이를 생활의 구체상으로 채운 시와 생활의 세속성이 어지럽게 펼쳐져 소음처럼 들리는 시, 개성적인 두 가지 모습을 선보였다. 어지러운 형태의 시에서 의미는 어느 하나로 고정되지 않고 다방면으로 발산하며 혼란스러운 모습을 연출한다. 세속성을 외면하지도 따르지도 못하는 시인의 갈등이 그 안에서 감지된다. 여기에서 난해성은 시가 일반적으로 환기하는 단순한 형태와 압축적인 의미를 배반하는 것으로 발생한다. 한편 구절의 반복이 골조를 이룬 시는 점차 생활의 세목을 지우는 쪽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시에서도 생활의 파편이 남아 있었다. 여기에서 난해성은 자율성의 코드로 파악되지 않은 것에서 비롯한다. 역설적이게도 생활은 김수영 시의 난해성을 일으키는 기원이었다. 김수영의 시는 난해성이 삶에 닿고자 하는 말의 고투에서 생긴다는 것을, 생활은 말의 기원이자 지향점이라는 것을 방증한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life as a factor that forms the difficulty of Kim Soo-young"s poetry. In the mid-1950s, Kim Soo-young paid attention to the details of life and added concreteness to the poem. By the 1960s, he showed two distinct aspects: poetry, which was framed by repetition of phrases and filled with concrete images of life, and poetry in which the secularities of life were exposed in a dizzying manner and sounded like noise. In a dizzying form of poetry, the meaning is not fixed in any one, but radiates in many ways, creating a chaotic appearance. The conflict of the poet, who neither ignores nor follows snobbery, is perceived in it. The difficulty here arises from the betrayal of the simple form and condensed meaning that poetry usually evokes. On the other hand, the poem, in which the repetition of verses was framed, gradually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erasing the details of life. But even in such a poem, fragments of life remained. The difficulties here come from not being comprehended by the code of autonomy. Paradoxically, the source of difficulties in Kim"s poetry was life. Kim Soo-young"s poetry proves that difficulty arises from the struggle of words to reach life, and that life is the origin and direction of words.
Density Functional Theory를 이용한 CaO 안정화 Cubic-HfO<sub>2</sub>의 산소 공공 구조 연구
김종훈,김대희,이병언,황진하,김영철,Kim, Jong-Hoon,Kim, Dae-Hee,Lee, Byeong-Eon,Hwang, Jin-Ha,Kim, Yeong-Cheol 한국재료학회 2008 한국재료학회지 Vol.18 No.12
Calcia (CaO) stabilized cubic-$HfO_2$ is studied by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with generalized gradient approximation (GGA). When a Ca atom is substituted for a Hf atom, an oxygen vacancy is produced to satisfy the charge neutrality. The lattice parameter of a $2{\times}2{\times}2$ cubic $HfO_2$ supercell then increases by $0.02\;{\AA}$. The oxygen atoms closest to the oxygen vacancy are attracted to the vacancy as the vacancy is positive compared to the oxygen ion. When the oxygen vacancy is located at the site closest to the Ca atom, the total energy of $HfO_2$ reaches its minimum. The energy barriers for the migration of the oxygen vacancy were calculated. The energy barriers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nearest sites, the second and the third nearest sites, and the third and fourth nearest sites are 0.2, 0.5, and 0.24 eV, respectively. The oxygen vacancies at the third and fourth nearest sites relative to the Ca atom represent the oxygen vacancies in undoped $HfO_2$. Therefore, the energy barrier for oxygen migration in the $HfO_2$ gate dielectric is 0.24 eV, which can explain the origin of gate dielectric leakage.
단일 컬럼이온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광천수중 음이온의 신속한 동시정량
김종훈,최용욱,정택균,Kim, Jong Hun,Choi, Yong Wook,Chung, Taek Kyun 대한화학회 1995 대한화학회지 Vol.39 No.12
Analytical conditions for single column ion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ive anions such as F-, Cl-, NO2-, NO3-, and SO42- were optimized with respect to analysis time and separation efficiency. At the optimum condition of 2.0 mM phthalic acid at pH 4.5, five anions were effectively separated in 10 minutes so that analysis time could be reduced by 40% compared to other recommended conditions. Under this condition all the calibration curves of five anions were linear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 0.999. Analytical results for nine commercial bottled waters were presented.
소프트웨어 RAID 파일 시스템에 작은 쓰기와 참조 횟수를 고려한 캐쉬 교체 정책
김종훈,노삼혁,원유헌,Kim, Jong-Hoon,Noh, Sam-Hyuk,Won, Yoo-Hun 한국정보처리학회 1997 정보처리논문지 Vol.4 No.11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RAID 파일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캐쉬 교체 정책들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와 기존의 캐쉬 교체 정책을 소프트웨어 RAID 파일 시스템에 적용한 정책들과의 성능을 다양한 환경에서 비교한다. 실험을 통해 우선 소프트웨어 RAID 파일 시스템에서 작은 쓰기 동작은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소임을 확인한다. 이러한 작은 쓰기 동작을 줄이는 캐쉬 교체 정책들을 제안한다. 이러한 교체 정책들에 대한 성능 비교는 트레이스 기반 시뮬레이션에 의해 수행된다. 실험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교체 정책들이 기존의 정책들 비해 효율적인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한다. In this paper, we present efficient cache replacement policies for the software RAID file system. The performance of this policies is compared to two other policies previously proposed for conventional file systems and adapted for the software RAID file system. As in hardware RAID systems, we found small-writes to be the performance bottleneck in software RAID file systems. To tackle this small-write problem, we propose cache replacement policies. Using trace driven simulations we show that the proposed policies improve performance in the aspect of the average response time and the average system busy time.
김종훈,구남수,Youn Jeong Kim,김홍빈,Hyeri Seok,이동건,Jin Seo Lee,정수진,최정현,Jang Wook Sohn,김민자,박대원 대한감염학회 2020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52 No.1
Sepsis is one of the significant caus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The burden caused by sepsis has continued to increase in recent years in the Korea, highlighting the urgent need for the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to improve sepsis treatment outcomes. We therefore designed a web-based sepsis registry system (“Korean Registry for Improving Sepsis Survival” [KISS]) protocol to be used in hospitals in the Korea for evaluation of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sepsis, via an analysis of outcome predictors. The inclusion criteria of this registry are as follows: adult patients ≥18 years admitted to the participating hospitals who are diagnosed with sepsis or septic shock. Demographic and clinical information data of the patients will be collected from hospital medical records and will be recorded in a case report form, which will be entered into a web-based data management system.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ill be performed as follows: (1)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epsis and septic shock, (2) application of sepsis bundles and antibiotic stewardship, and (3) audit and feedback. In conclusion, we aim to build the comprehensive web-based sepsis registry in the Korea through a nation-wide network of participating hospitals. Information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KISS can be used for further improvements in the clinical management of sepsis. Furthermore, the KISS will facilitate research leading to the formulation of public health policies regarding sepsis bundle and antibiotic stewardship strategies in the Korea.
지리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공간 데이타 수집
김종훈,김재홍,배해영,Kim, Jong-Hun,Kim, Jae-Hong,Bae, Hae-Y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1994 정보처리논문지 Vol.1 No.3
지리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은 지도 형태의 데이타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공간 데이 타와 비공간 데이타에 대해서, 저장, 검색, 조작 및 분석 등을 처리하는 데이타베이 스 시스템이다. 이러한 지리 데이타시스템에서 관리하는 공간 데이타는 그라는 크기가 매우 방대하므로 공간 데이타의 입력시 많은 시간이 요구되며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 하게 된다. 따라서 지리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은 공간 데이타의 입력시간을 줄이고, 저 장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데이타 수집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구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타에 대한 입력시간을 줄이기 위해 전체를 한번에 벡터 화하는 기존의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를 개선한 벡터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벡터화 방법은 도면 전체를 벡터화하지 않고, 공간 데이타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속성 정보를 입력하는 시점에서 그 공간 데이타만을 벡터화한다. 이와 함께 수집된 데이타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태그 비트를 사용한 압축 저 장 형식을 제안한다. A Geographic Database System is a database system which supports map-formed output and allows users to store, retrieve, manage and analyze spatial and aspatial data. Because of large data amount, takes too much time to input spatial data into a Geographic Database System and too much storage. Therefore, an efficient spatial data collecting system is highly required for a Geographic Database System to reduce the input processing time and to use the storage efficiently. In this paper, we analyze conventional vectorizing methods and suggest a different approach. Our approach vectorizes specific geographic data when the users input its aspatial data, instead of vectorizing all the map data. And also, we propose optimized vector data format using tag bit to use the storage that collected data efficiently.
초기와 후기 폐경후기 여성에서의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와 위험 요인들
김종훈,이문수,양재원,고영훈,고승덕,조숙행,Kim, Jong-Hun,Lee, Moon-Soo,Yang, Jae-Won,Ko, Young-Hoon,Ko, Seung-Duk,Joe, Sook-Hae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9 정신신체의학 Vol.17 No.2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식 노화 연령 연구(stages of reproductive aging workshop : STRAW)의 분류에 따른 초기와 후기 폐경후기에서의 폐경기 증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비임상 표본인 41~59세의 497명의 자연폐경이 된 폐경후기 여성을 대상으로 초기 폐경후기 군과 후기 폐경후기 군으로 구분하였다. 삶의 질의 평가를 위해 폐경평가척도(menopause rating scale : MRS)가 사용되었다. MRS 점수, 인구사회학적 특징, 흡연, 음주 여부, 폐경 연령과 폐경에 대한 태도, 우울감, 월경 전 불쾌장애 병력 여부 등의 위험 요인을 초기와 후기 폐경후기간에 비교 조사하였다. 각 군에서 각각의 변인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MRS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초기 폐경후기군에서 후기 폐경후기군에 비해 유의하게 더 심한 폐경기 증상, 폐경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심한 우울감을 보였다. 안면홍조증상이 중등도 이상인 군은 경도 이하인 군보다 폐경기 증상의 호소와 우울감이 유의하게 높았고 폐경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이었다. 폐경에 대한 태도와 우울감이 초기 폐경후기군과 후기 폐경후기군에서 모두 폐경기 증상의 심한 정도에 주요한 기여를 하였다. 초기 폐경후기군에서 연령, 폐경연령, 월경 전 불쾌장애 병력 여부가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에 유의하게 기여한 반면 후기 폐경후기군에서는 결혼상태, 직업여부가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에 기여하였다. 결론 : 폐경후기 여성의 삶의 질은 후기보다 초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 중 폐경에 대한 태도와 우울감은 초기와 후기 폐경후기의 삶의 질에 공통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밖의 위험 요인들은 초기와 후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에는 폐경기 증상 호소로 병원을 찾는 폐경후기 여성 환자들의 임상표본(clinical sample)을 대상으로 삶의 질과 위험 요인을 확립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evaluate the risk factors affecting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in early and late postmenopausal women based on the stages of reproductive aging workshop(STRAW) paradigm. Methods : This cross-sectional study examined 497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ged 41-59 yea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 divided subjects into early postmenopause group and late postmenopause group. Menopause Rating Scale(MRS) was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MRS scores, sociodemographic variables, smoking, alcohol use, age at menopause, and risk factors such as attitude to menopause, depression, history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ere compared between early and late postmenopause group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each group to assess the independent contribution of several variables. Results : Early postmenopau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RS scores,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higher scores of depressive symptoms than late postmenopause group. Moderate to very severe hot flush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higher score of depressive symptoms, and higher MRS scores than none to mild hot flush groups. Depressive symptoms and attitude toward menopause contributed to the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 in both early and late postmenopause groups. Chronological age, age at menopause, history of PMDD contributed to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in early postmenopause group while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contributed in late postmenopause group. Conclusion :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ostmenopause women was significantly lower in early postmenopause group than the late. Attitude toward menopause and depressive symptom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quality of life in both early and late postmenopause groups but other variables contributed differently in each group. Further studies on clinical samples of postmenopausal women in order to confirm quality of life and its risk factor are needed to be d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