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프로스포츠 구단의 스폰서십을 위한 관중 정보 활용

        김정호(Joung Ho Kim),김상겸(Sang Kyum Kim),손종열(Jong Yeol Sohn),김성국(Soung Kook Kim) 한국체육교육학회 200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4 No.2

        In the past, corporations participated in sport sponsorship on the purpose of providing corporate goodwill or enhancing the company image. However, today The goal of sponsors` association with sport properties are going to be changed. corporations want to derive direct promotional value. So effective sponsorship requires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a target market and the individuals or consumer groups comprising that market for achieving or maintaining sponsors. One of the methods to achieve above goal, sport properties can introduce sponsors to spccific customers by sales proposals based on customer information and promote sales promotion of corporations with customers data So, first of all, Korean pro sport teams are required to regard audience data as an effective sponsorship marketing source. And to use audience data in a effective way, Pro sport teams have to collect audience data under the considerable plan through membership card, survey and Internet website.

      • KCI등재

        금수현의 그랜드오페라 장보고 연구

        김정호 ( Joung-ho Kim ),이순욱 ( Soon-wook Lee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論叢 Vol.58 No.-

        이 연구는 금수현이 작곡한 <그랜드오페라 장보고>에 대한 음악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 오페라는 고전적 음악 어법과 현대적 음악 어법 그리고 양악적 음악 어법과 국악적 음악 어법을 혼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즉 고전적 음악 어법인 장단조의 음악과 현대적인 음악 어법인 온음음계와 반음음계 및 선법 등이 사용된 것과 함께 국악적 음악 어법을 위해 5음음계, 국악 장단 등이 함께 나타나고 있다. 또 박자는 홑박자와 겹박자, 혼합박자를 고루 사용하고 있는데 가장 큰 특징은 헤미올라 리듬의 사용이다. 그리고 성악의 기악적인 표현으로 주인공인 나나가 가사 없는 아리아로 플루트와 함께 2중주로 연주하기도 하며, 가사가 있는 것은 정확한 가사전달을 위해 언어의 강세와 억양에 맞추어 리듬이나 박자를 수시로 변화시키고 선율적인 구조에도 적용시켰다. 이렇게 의도적으로 가사와 리듬, 박자와의 관계를 긴밀하게 연결시키고 친근한 구어체를 사용함으로써 내용이해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었다. 더불어 서양음악의 체계적 이론 안에 한국적인 장단, 음계, 언어적 특성을 결합하여 서양음악인 오페라 안에 한국적인 요소를 적절히 혼합하고 다양하게 변형시켜 적용시켰다. 이처럼 한국적 재료들에서부터, 서양적 재료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소들이 등장하며, 작곡가는 이를 음악적 흐름에 맞게 선택하고, 조합한다. 그리고 이것은 서양과 동양의 서로 이질적인 요소들을 자신의 음악적 표현 의도에 따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 창작오페라의 새로운 방향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 Grand Opera Jang Bogo > composed by Kim Soo-hyun.,This opera uses classical music, modern music, and bi-musical and Korean traditional words in a mixed manner.,In other words, music of the classical music language, Jangdanjo, and the modern music language, such as the whole scale, chromatic scale, and mode, are used, and the five scale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rhythms are appearing together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language.,In addition, beats are used evenly with beats, double beats, and mixed beats. The most important feature is the use of hemiola rhythm.,In addition, Nana, the main character, plays with a double with flute as an aria without lyrics as an instrumental expression of vocal music. The lyrics are changed rhythm or beat from time to time according to the accent and accent of language for accurate lyrics delivery and applied to melodic structure.,This purposefully conn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yrics, rhythms and beats closely and helped to understand the contents by using friendly colloquial words.,In addition, the systematic theory of Western music combined Korean rhythm, scale,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appropriately mixed and varied Korean elements in the opera, which is Western music. As such, various materials ranging from Korean materials to Western elements appear, and composers freely choose them according to the dramatic flow and combine them in various ways.,And this freely uses heterogeneous elements of the West and the East according to their dramatic expression inten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pursuing new direction and diversity of Korean creative opera.

      • KCI등재

        일제강점기 울산지역 극장의 공연활동과 사회적 역할

        김정호 ( Kim Joung-h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21 공연문화연구 Vol.0 No.42

        이 글은 일제강점기 울산지역의 극장에서 이루어진 공연활동의 현황을 살펴보고, 당시 공연문화의 특징과 사회적 역할을 고찰하였다. 일제강점기의 문화공간은 크게 극장공간과 준 극장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울산지역의 극장공간에는 대정관, 상반관, 울산극장 등이 있으며, 준 극장공간은 울산청년회관, 울산청년동맹회관, 병영청년회관, 언양청년회관, 언양청년동맹회관, 언양기독교회관, 언양 협성여관, 언양공립보통학교, 학성공립보통학교, 서생학교, 울산공보교대강당, 언양여자야학관 등이다. 이들 공간은 특정 목적의 행사나 공연이 개최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역담론을 생산하는 공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 극장은 영화 상연과 함께 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간, 예술가와 관객이 만나는 복합적인 문화 공간이었다. 나아가 극장은 단순히 무대 공간의 의미를 넘어 식민지 근대화와 근대의 도시 형성, 새로운 대중문화의 출현 등 다양한 이슈들을 생산, 소비하는 특수한 경험을 제공하였다. 울산의 극장들도 지역극장의 건립 목적에 맞게 외래문화 수용과 여가활동, 문화콘텐츠의 상연과 관람, 지역 예술가들의 예술적 기량을 나타낼 수 있는 공간으로서 기능하였다. 그리고 정치 집회나 모임, 강연, 활동, 각종 대회 등을 개최함으로써 지역담론 생산과 향유 활동의 거점 공간이었다. 정치 집회는 연주회와 겸하였고, 계몽 활동은 영화 상영과 겸하였으며, 음악 연주는 무용 공연, 자선모임과 결부되기도 했다. 특히 울산최초의 극장이라고 볼 수 있는 ‘상반관’과 공회당의 역할을 겸한 ‘울산극장’은 영화 상영과 함께 음악극, 동요대회, 동화구연대회, 소인극 공연, 가극 및 무도회 등의 공연과 함께 대중계몽을 위한 강연회, 토론회, 웅변대회를 개최하였다. 그리고 대규모의 집회장소로 널리 활용되었고, 외부 극단 방문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등 공회당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준 극장공간도 마찬가지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울산지역의 극장과 준 극장공간은 지역의 문화적 수준을 향상시켜 지역민들의 심미적 욕구 충족과 동시에 여론과 의제를 선도하는 공론장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그리고 근대사회의 대안적 공공영역으로 위치하면서도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performance activities in the theaters in Ul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ocial roles of performance culture at that time.,The cultural spa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 be divided into theater space and semi-theater space.,The theater spaces in Ulsan include Daejeonggwan, Sangbanggwan, and Ulsan Theater. The semi-theater spaces include Ulsan Youth Center, Ulsan Youth Alliance Hall, Barrack Youth Hall, Eonyang Youth Alliance Hall, Eonyang Christian Hall, Eonyang Christian Hall, Eonyang Inn, Eonyang Public Inn, Eonyang Public Normal School, Seosaeng School, Ulsan Public Aid Auditorium, Night school.,These spaces not only held events or performances for a specific purpose, but also played a role as public spaces producing local discourse. The theater was a complex cultural space where performances are performed along with movie performances, and artists and audiences meet.,Furthermore, the theater provided a special experience of producing and consuming various issues such as colonial modernization, modem city formation, and the emergence of new popular culture beyond the meaning of stage space.,The theaters in Ulsan also functioned as a space to represent the foreign culture acceptance, leisure activities, the performance and viewing of cultural contents, and the artistic skills of local artist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local theaters.,It was a base space for local discourse production and enjoyment activities by holding political rallies, meetings, lecture activities, and various conferences.,Political rallies were also concerts, enlightenment activities were also accompanied by film screenings, and music performances were associated with dance performances and charity gatherings.,In particular, Ulsan Theater, which is the first theater in Ulsan, and the role of the public hall, held a lecture, debate, and oratory for public enlightenment along with performances such as musical drama, children's song contest, fairy tale contest, small-sized play performance„It was widely used as a large-scale rallying place, and served as a public hall, such as a place to visit outside theaters. Thus, the theater and semi-theater space in Ul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mproved the cultural level of the region, fulfilling the aesthetic needs of the local people and faithfully fulfilling the social role as a public sphere leading the public opinion and agenda.,And it was also positioned as an alternative public area of modem society and also played a role as a public institution.

      • KCI등재

        정인섭 동요와 악곡 연구

        김정호 ( Kim Joung-ho ),이순욱 ( Lee Soon-wook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論叢 Vol.56 No.-

        이 글은 식민지시대 울산 출신 정인섭의 색동회 활동과 동요 창작의 현황을 파악하고 악곡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시기 동요는 신문이나 잡지 등 근대 매체를 통해 창작되고 향유되면서 대중적으로 빠르게 보급되고 안착하였다. 즉 동요는 어린이잡지의 독자투고란이나 일간지의 학예면을 통해서 독자와 만나고 점차 자기 위상을 확립하게 된 것이다. 당시 어린이잡지인 『어린이』의 경우 ‘동요란’을 개설하였으며, 일간지 『동아일보』의 경우에도 학예면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장르는 동요였다. 그만큼 동요에 대한 독자들의 열망이 높았다. 그만큼 매체가 동요의 대중화에 큰 역할을 수행했던 것이다. 이러한 현실적 토대에서 전문적인 동요작가들이 등장하였으며, 울산에서도 정인섭을 비롯하여 서덕출, 오영수, 신고송 등이 등장하였다. 이들이 남긴 ‘동요’의 문학사적 위치를 실증적으로 추적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정인섭은 ‘색동회’와 ‘녹양회’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어린이잡지 『어린이』의 필진으로 참여하는 등 어린이문화운동에 앞장선 인물이다. 정순철 동요집 『참새의 노래』에 수록된 <참새>, <꿈 노루>, <코끼리 코>, <처마 끗헤 새 한 마리>, <굴뚝쟁이>, <가을 나븨>, <설날>과 강신명이 엮은 『아동가요곡집』에 수록된 <봄노래>, <보건체조가> 등은 어린이들을 위한 동심천사주의와 교훈주의, 계몽주의를 잘 드러내고 있으며, 가사의 운율을 음악적 선율로 살려 가사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표현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정인섭의 동요 보급은 어린이문화운동에 기여하였고, 그의 가곡은 아직도 연주회에서 불리는 등 예술적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어 음악사적으로 의의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reation of songs and the activities of Jeong In-seop’s Saikdonghoi(색동회) movement in Uls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media was that the agitation quickly settled into the modern genre. The children’s song, which was created and enjoyed by the previous oral tradition, began to be created and enjoyed through typed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in modern times. The popular distribution was also made by such media: children’s literature magazines’ readers’ comments or daily journals’ academic section, which led to the meeting with readers and gradually establishing their own status. At that time, readers’ desire for children’s songs was high enough to open ‘swaying’ independently in the case of children, and the genre of Dong-A Ilbo, which occupies the largest part of the curriculum, was children's songs. Therefore, this media plays the biggest role in popularizing agitation. In this realistic foundation of the time, professional children’s songs were born, and Jung In-seop, Seo Deok-chul, Oh Young-soo, and Shin-Go-song were born in Ulsan. It is very important to empirically track the literary history of ‘single’ about them.,In particular, Jung In-seop has been a member of the ‘Saikdonghoi(색동회)’ and ‘Nokyanghoi(녹양회)’ and has led the children's cultural movement by participating as a writer for children’s magazines. The songs of Jung Soon-chul's song of the sparrows include “Sparrow”, “Dream Noru”, “Elephant Nose”, “A Shrine Bird”, “Chimney”, “Autumn Na”, “New Year” and “Spring Song” and “Health Gymnastics” It shows the meaning of the lyrics naturally by utilizing the rhythm of the lyrics with musical melody.,This spread of children’s songs by Jung In-seop contributed to the children’s cultural movement, and his songs are still called in concerts, and their value is recognized artistically, which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music.

      • 5・18진상규명특별법 제정의 의의와 향후과제

        김정호(Kim, Joung-Ho)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18 인권법평론 Vol.- No.21

        1980년 5・18민주화운동이 발생한지 38년의 세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 고,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규명의 문제는 여전히 우리사회의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다. 5・18 역사왜곡을 집대성한 전두환회고록이 출간되고, 인터넷을 중심으로 인터넷의 익명성 때문에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왜곡과 폄훼 시도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계속적인 왜곡과 폄훼 시도는 오히려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의 필요성을 제기하게 하는 계기라고 할 것이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고 왜곡과 폄훼를 막는 것이 가장 필요한 이유는 다름 아닌 국민통합을 위해서이다. 진상규명이 되지 않아서 가해자가 누구인지도 모르고 피해자로서는 누구를 용서해야 할지 용서할 대상조차 모른 상황에서 상처가 치유되지 않는 채로 국민통합을 주장하는 것은 합리성을 결여한 주장이다. 5・18민주화운동을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이나 왜곡하고 부정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국가 차원의 공식적인 진상보고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5・18민주화운동을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의 경우 그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서, 5・18민주화운동을 왜곡하고 부정하는 사람들에게는 더 이상의 논란을 제기하지 않도록 팩트 체크를 위해서라도 ‘국가차원의 공식적인 진상보고서’가 필요하다. 만시지탄이지만 지난 2018년 3월 14일 5・18진상규명특별법이 제정되었 다. 5・18진상규명특별법의 제정은 5・18진상규명의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5・18진상규명특별법 제정 이후 진상규명을 위한 산적한 문제들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5・18진상규명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인적 증거 확보방 안(동행명령제도의 개선)과 물적 증거 확보방안(압수수색검증 요청권한의 개선) 등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의 조사권한을 실질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개정해야 할 내용이 존재하고, 시행령을 통해 보완해야 할 내용도 존재한다. 한편, 전두환회고록이 작년 4월 출판됨으로 인하여, 그 5・18 역사왜곡에 대한 형사사건으로 2018년 5월 3일 전두환의 사자명예훼손 사건이 공소 제기되었고, 민사사건으로는 2017년 8월 4일과 2018년 5월 14일 두 차례에 걸쳐 출판 및 배포금지가처분신청이 인용되었으며, 위 가처분에 대한 본안소 송(손해배상청구와 출판및배포금지청구)도 제기되어 사법부의 판단을 앞두고 있다. 5・18 당시 북한군개입설이나 헬기사격, 암매장 등 상당한 쟁점에 대하여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의 활동이 개시되기 이전에 대부분 사법부의 판단을 받아볼 수 있어서 객관성이 담보된 사법부의 판단이 5・18진 상규명특별법을 통한 진상규명활동의 디딤돌이거나 촉매제로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두환회고록의 출판이 그 출판의도와 달리 오히려 5・18진상규명의 계기가 되고, 사법부 판단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는 것은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규명의 문제는 결코 진보와 보수의 문제가 아니고, 상식과 정의의 문제이자, 민주주의 가치를 보존하는 일이다. 5・18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왜곡하는 행위는 문명국으로서의 대한민국의 품격을 훼손하고 민주주의 자체를 위협하는 시대착오적인 행위라고 할 것이다. 5・18 민주화운동의 진상규명은 정치적 문제가 아닌 역사적 진실을 규명하여 국민통합을 위한 길이며, 우리사회의 품격과 민주주의의 성숙도와 법제도의 건강성을 지키는 길이 될 것이다. 역사의 교훈을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전두환회고록 관련 소송 등을 통한 사법부의 판결과 5・18진상규명특별 법에 의하여 구성될 진상규명조사위원회를 통한 진상조사가 상호 보완되어 5・18민주화운동의 진상규명작업이 결실을 맺기를 기대한다. Despite the fact that 38 years have passed since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n 1980, the problem of identifying the truth about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remains an incomplete task in our society. Chun Doo-hwan s memoir, which compiles the history distortions of May 18, has been published, and the distortion and denigration to the May 18 democracy movement is still ongoing centered on the Internet due to the anonymity of the Internet. The continuing distortions and denigration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will be an opportunity to raise the necessity of identifying the truth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t is for the sake of national unity that it is most necessary to identify the truth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o prevent distortion and denigration. It is a lack of rationality to insist on the unification of the nation without knowing who the perpetrator is because the facts are not clarified, and the victims do not even know who to forgive and the wound remain unhealed. For the people who appreciate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official truth report at the national level’ is absolutely necessary in order to be recognized for its justification and for the fact check to avoid further controversy for those who distort and deny the May18th Democratic Movement. Although rather long overdue, on March 14, 2018,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was enacted.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is not the end but the beginning. Although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there is a content to be revised in the direction of substantially strengthening the investigation authority of the investigation committee, such as measures for securing human evidence (improvement of cooperative order system) and measures for securing physical evidence (improvement of authority to request seizure verification). There is a content to be revised in the direction, and there is content to be supplemented by the enforcement ordinance. Meanwhile, due to the publication of Chun Doo-hwan s memoir in April of last year, a case of defamation of the dead by Chun Doo-hwan was filed as a criminal case against May 18 history distortion on May 3, 2018, two civil cases were filed on August 4, 2017 and on May 14, 2018 for application of provisional disposition for prohibition of publishing and distribution, and the lawsuit against the above dispositions (claims for damages and prohibition of publishing and distribution) is also being filed and the judgment of the judiciary is on the way. Most of the issues such as North Korean intervention, helicopter shooting, and secret burial during the time of May 18 can be judged by the judiciary before the May 18 investigation committee commences its activities, and it became more likely that the judiciary s judgment, which has been secured with objectivity, could act positively as a stepping stone or as a catalyst for truth-clarification activities through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It is an irony of history that unlike the publication intention of Chun Doo-hwan s memoir, it provided the occasion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and the opportunity to be judged by the judiciary. The issue of identifying the truth about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s not a question of liberal or conservative, but a matter of common sense and justice, and preserving democratic values. The act of distorting the history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would be an anachronistic act that undermines the quality of Korea as a civilized nation and threatens democracy itself.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will be a way to unite the people by identifying historical truths, not political ones, and it will be a way to maintain the dignity of our society, the maturi

      • OTP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모듈의 설계

        고정현 ( Joung-hyun Ko ),고성민 ( Seong-min Ko ),김석준 ( Seok-jun Kim ),김정호 ( Jeong-ho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사회에서 다양한 디지털 도어락 관련 범죄들이 꾸준히 늘어나면서 소비자들은 보안성이 강화된 도어락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어락 시장도 보안성을 강화한 스마트 도어락을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이 보안을 위해 사용하는 OTP(One-Time-Password) 라는 검증된 암호시스템을 사용하여 비밀번호의 노출, 비밀번호의 분실의 위험이 없는 보안성과 편의성을 강화한 OTP 스마트 도어락 모듈을 구현하였다.

      • KCI등재

        Characteristics of the Oxygen Plasma and Its Application to Photoresist Stripping

        황기웅,이종덕,김정호,Whang, Ki Woong,Lee, Jong Duk,Kim, Joung Ho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 1987 전자공학회논문지 Vol.24 No.1

        The physical mechanism of a RF discharge used in photoresist stripping and etching process are not well understood and, plasma reactor design and the determination of optimum operating coditions are done largely on empirical basis. We analyzed the discharge process through the measurement of plasma characteristics and applied out results tothe analysis of the photoresist stripping.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lasma electron density, neutral oxygen gas pressure and electrode temperature on the stripping rates and related their effec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las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