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2 Learners’ Uses of Cultural Tools of Authority during Synchronou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김정연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09 영어어문교육 Vol.15 No.1

        This study examines how L2 learners frame collaboration by means of cultural tools of authority (Wertsch, 1991; Wertsch & Rupert, 1993) during on-line chat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constructivist model on learning. Ultimately,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empirically contributions of the interactional dimension of L2 synchronou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SCMC) to the configuration of collaboration. The data consist of the scripts of more than sixty hours of L2 on-line chat sessions of intermediate-advanced-level English learners enrolled in a college. Tasks assigned to these learners include activities on the grammaticality of different English sentences. The qualitative, empirical analysis reveals that while trying to configure the collaborative framework, the participants primarily depend upon four different types of cultural tools of authority: internet resources; a dictionary; handouts; and the professor. These tools, once they are embedded into the on-line interaction in a well-designed manner, function to define who the more capable learner is, which in turn affects the validity of the suggested solution and organization of the talk on the given task.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 order to properly handle L2 tasks on-line, L2 learners need to be cognizant of how collaboration is framed depending upon their use of the context-specific, cultural tools of authority.

      • KCI등재

        호장근에 의한 NO생성억제가 Adjuvant로 유발된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김정연,송용선 ( Song Yung-Sun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1997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7 No.1

        Adjuvant 관절염의 동물모델에서 병의 진행중 NO가 관여하는지 여부와 이에 호장근의 투여가 adjuvant 관절염의 치료와 예방효과가 있는지를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1. 호장근 투여시 부종과 홍반정도가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몸무게도 대조군에 비해 크게 줄지 않았다.2. 요중에서의 NO생성량은 관절염 진행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호장근 투여군에서는 관절염 유발전에는 약간의 NO를 생성하였으나 발병시 증가만큼 현저하지 않았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대조군에 비해 NO량을 감소시켰다.3. 호장근은 생체외와 생체내 모두에서 림프구의 증식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4. 호장근의 투여는 관절염의 진행시 CD4+세포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CD8+세포의 비율을 감소시켰다.5. 호장근은 대식세포활성도에 따른 NO생성과 Acid Phosphatase의 방출을 감소시켰다.6. 호장근은 생체외에서의 연골세포와 활막 섬유아세포의 NO생성을 억제하였다.7. 호장근은 정상 랫트의 활막 섬유아세포의 ROI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8. 호장근 투여는 관절염의 진행시 생체내와 생체외에서 대식세포에 의한 탐식능을 증가시켰다.이상과 같은 결과는 내인성 NO는 adjuvant 관절염에 관여하고 있으며 호장근의 투여는 NO의 생성을 억제하며 림프구와 대식세포의 반성화를 방해하여 Adjuvant관절염의 치료와 예방효과를 나타냈다.

      • KCI등재

        혈중 저마그네슘혈증과 양성 안윤근파동 발생의 상관관계

        김정연,황성욱,한선규,이재용,유현정,선우문경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1 No.4

        Background: Myokymia consists of involuntary, fine, continuous contraction that spread across the affected striated muscle. Eyelid myokymia, unlike other dystonic facial contracture such as blepharospasm and hemifacial spasm, is assumed to be a benign, self-limited disorder. Eyelid myokymia is associated with stress, fatigue, excercise, and exccessive caffeine use. The pathophysiology is not well understood, but some drugs or brain structural lesions are the cause of the eyelid myokymia. Especially in Korea hypomagnesemia is generally known the main cause of eyelid myokymia, however there are no evidences so fa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eyelid myokymia and serum magnesium level. Methods: We performed a cross sectional study on 72 patients with myokymia and 197 controls. We investigated fatigue, sleep quality, alcohol, smoking, caffeine use, and exercise datas by interview. We analyzed laboratory datas including magnesium, calcium, phosphate, thyroid hormone in serum. Resul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atients with myokymia and control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ender, smoking, and alcohol history. Fatigue and poor sleep qua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yokymia group than control group. However, any laboratory results including magnesium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ed that the eyelid myokymia is not related to the serum magnesium level as well as calcium and phosphate. Only fatigue and sleep quality were shown the relationship with eyelid myokymia. 연구배경: 양성 안윤근파동은 국소근육긴장이상과 달리말초운동신경축삭의 과흥분에 의해 발생하며 대부분 수일내에 사라지는 일시적인 증상이다. 안윤근파동의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특정 약물이나 뇌병변에 의하여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 한국에서는 저마그네슘혈증이 안윤근파동과 관련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근거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안윤근파동의 발생이 혈중 마그네슘 수치와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72명의 안윤근파동 환자와 197명의 대조군 환자의과거력, 피곤함, 수면의 질, 흡연력, 음주력, 카페인 복용력등을 간단한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갑상선 수치 등 혈청학적 검사 결과를 정리하였다. 연속형 변수는 분산분석을 시행하였고 범주형 변수는 카이제곱검정을 시행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환자군과 대조군의 평균 나이, 성별, 과거력 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조군에 비하여 환자군에서 피곤함과수면의 질 문제가 높게 나타났으며, 혈청학적 검사 결과 마그네슘을 포함한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저마그네슘혈증은 신경의 과흥분을 유발하여 근섬유다발수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안윤근파동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여 안윤근파동 환자에게 마그네슘을 복용하도록 알려져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통하여 실제 마그네슘의 기여도는 높지 않으며, 전해질 변화 때문이 아닌 피곤함, 수면의 질 등 생활습관 문제로 인하여 증상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English Speak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On-offline Blended Learning Context

        김정연 한국응용언어학회 2013 응용 언어학 Vol.29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a new English learning context, representing on-offline blended learning, is interrelated with motivation and L2 speaking achievement of the students taking a college English speaking course. The data consisted of 88 Korean college students’ questionnaire responses, final scores in an on-offline blended speaking course, and qualitative interviews with 6 students. The students scored higher on extrinsic motivation than intrinsic motivation with their scores on amotivation being very low. The contextual factors of foreign instructors and peer comparison marked high scores, whereas need of a Korean instructor and an online portion of the class gained low scores. These contextual factor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achievement in speaking. Motivation, by contrast, was found to have no direct correlation with the L2 achievement. The results corroborate the roles of the ICT-incorporated context in the learning process as motivational subscales affecting achievement through their interplay with the contextual factors.

      • KCI등재

        상징미학에서 본 환경 요소로서의 캐릭터디자인

        김정연,고재성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7 No.1

        The meaning of the esthetics is to handle the object which is a kind of `the bearty`, which is namely the one of the phenomenon that is captured by the sensitive consciousness. This `the beauty` is not the beauty which is sought as an ideology, but beauty which is dedicated to our consciousness. Additionally, the object of the esthetics is to study what makes people happy and to figurate the environment of the esthetic behavior as the thing which has the esthetic meaning. Problems about the esthetics became the major issues in a lot of discussions of among philosophers, artists, and architects, and at the same time the demonstrative science about the esthetics has been sought. Along with this development of the science, the concerns about the experienced researches were rapidly raised, and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eing and the environment is being treated importantly. The experienced esthetics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among each the element which concerns the object, the recognition, the acknowledge, evaluation, and the behavior which give the pleasure, and have concerns about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creative human ability. This experienced esthetics can be divided by the formal esthetics and the symbolic esthetics. The formal esthetics is relate with the expressive message which is based upon the biology, and focuses upon the preference of the order and the complexity which are accompanied by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environment. That is, when viewed in the whole scale, it should not be distracted and dispersed, and at the same time it should not be simple and dull. Additionally, the symbolic esthetics grants the diversity, the individuality, and the historic coherence to the object by the research about the symbolic meaning about the environmental pattern which gives the pleasure to human beings, and becomes the important constituent in the preference for the environment. Therefore, based upon this symbolic esthetics, among the environmental elements, about the character which can be thought to be the visual symbol, I would like to study the meaning which is expressed through the symbolic classification of the character of each ward focusing upon the character of the ward which is the same residental group, and would like to propose the perspective plan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is research, when considering each character`s meaning which is visually symbolized, it is shown that the bird symbolizes the good news and the peace, the flower symbolizes the smile and the friendliness, the human being has the symbol of the image of the liveliness, the development and the intention, the image of the mask has the symbol of the consciousness of the masses and has the hope about the root and the future. By using those characters which express the symbolic meanings in the outdoor indication, the content of the placard, and the signature board in the urban environment, the characters are considered to be the elements which can give the intimacy, make the feeling of being belonged and the solidarity, and easily approach the people in the ward. Therefore, the ideology and the volition which each ward wishes to speak express the symbolic meaning by the character which symbolized each ward. Additionally, the significance comes form the fact that the characters enable the ideology and the volition to be remembered potentially associated with each ward while being confronted with the visual characteristics, in the urban environment in each ward. Namely, in the aspect of the symbolic esthetics, the character of each ward hardens the volition of each ward, the feeling of being belonged and the solidarity of the people in the ward. Additionally, it bestows the friendliness in the urban environment, consequently it is thought to take an important role as the element which helps to activate the established device.

      • KCI등재

        1인미디어 사례분석을 통한 커뮤니케이션디자인 방향 연구 -유튜브 채널디자인을 중심으로-

        김정연,김수민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As personal media becomes increasingly vitalized and influential, creators establish themselves as a new occupational cluster. They produce content as personal brands, and fandom and subscribers refer to brand loyalty and consumers. To accelerate the growth of personal brands, it’s needed to understand new ways of communication, to enhance their brand value and to take a strategic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examine the various identity representing communication factors of personal channels on YouTube, a personal media platform, to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such channels and ultimately to determine how to develop each factor. Theoretical background was studied in research papers and monographs, and the cas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ample survey. The strategic factors that are necessary for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are classified into six: setting up a concept, content, interaction, customization customer service, connectivity, and forming a community. The factors necessary for visual communication are classified into four: text, illustration, symbol/icon, and sound/animation. YouTube, which is the leading platform for personal media, operat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mutual interaction among viewers, creators and advertisers, and that is composed of six menus: homepage, video clip, playlist, community, channel and information. After 30 largest domestic channels and 30 largest foreign channel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bscribers, what measures they had taken to maximize communication for each menu was investigated, and the state of their designs was examined. In addition, their common denominators and differences were analyzed. There weren’t great disparities between the domestic and foreign channels, but the domestic channels were more of a strategic nature. As for the concepts of the home menu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identity colors and fonts that were used on the channel arts and icons were consistent, or the kind of graphic images that represented their identities were used. In terms of video menus, the thumbnails of the videos generated clicks and represented their identities by using customized preview images. At that time, the colors and fonts of the images were the same, and repetitive images and layouts were utilized. On the channel arts, connection with social media was widely used, and on the channel menus, other channels were recommended to increase connectivity, and explanations on or images of the channels were provided to offer better customized customer service. Community menus were utilized a lot to interact with subscribers and form a community. The playlists were classified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 to make the videos more accessible to viewers, and channel information was post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viewers. The channels were uploaded 1~3 a day on average. Now it’s a trend that people make themselves brands, producing and consuming content on personal media platforms. It’s expected that they can construct their own channels and come up with successful management strategies to enhance their own brand value, to build their brand identities and thereby to increase profit. 1인 미디어가 활성화 되고 영향력이 커지면서 크리에이터 직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크리에이터는 개인 브랜드로서 콘텐츠를 생산하고, 팬덤(fandom)과구독자는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와 소비자를 의미한다. 개인의 브랜드의 가치를 위해서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이해하고 스스로의 브랜드 가치를 제고시키며 전략적으로 나아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1인미디어 플랫폼인 유튜브를 중심으로 하여 개인채널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국내외 채널의 사례를 분석하여 각각의 요소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논문, 단행본에서이론적 배경을 연구하였고, 표본조사를 통한 사례분석으로 진행되었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에 필요한 전략 요소는 ‘콘셉트 설정, 콘텐츠, 인터렉션, 고객 맞춤화 서비스, 연결성, 공동체 형성’의 여섯가지로 분류하고, 시각 커뮤니케이션에 필요한 요소는 ‘텍스트, 일러스트레이션, 심볼과 아이콘, 사운드와애니메이션’의 4가지로 분류한다. 1인 미디어의 대표플랫폼인 유튜브는 시청자, 크리에이터, 광고주가 상호작용하는 원리이며, ‘홈, 동영상, 재생 목록, 커뮤니티, 채널, 정보’의 여섯가지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구독자수를 기준으로 하여 국내 30위, 국외 30위의 채널 각각의 메뉴별 커뮤니케이션을 극대화하기 위한조치와 디자인 현황을 조사하고 공통점 및 차이점 등을 살펴보았다. 디자인에서는 채널아트와 아이콘에아이덴티티 색채, 서체를 일관성 있도록 사용하거나정체성을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를 활용하였으며, 동영상 메뉴에서 영상의 썸네일은 맞춤 미리보기 이미지를 사용하여 클릭 유도와 정체성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맞춤 미리보기 이미지는반복적 이미지와 레이아웃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널아트에서는 SNS와 연동하였으며, 채널 메뉴에서는 타채널 추천을 통해 연계성을 높이고, 채널에대한 설명이나 이미지를 통해 고객 맞춤화 서비스를높이고 있었다. 커뮤니티 메뉴를 적극 활성화하여 구독자와의 인터렉션을 하고 있으며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재생 목록을 분류하여 시청자들이 영상을 접하기용이하도록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채널에대한 정보를 게재하여 채널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업로드는 평균 일1∼3회로 하였다. 1인 미디어 플랫폼에서 스스로를 브랜드 화하여 콘텐츠를 생산 및 소비하는 것이 트렌드이며, 개인을 마케팅하고 소비자와의 소통구조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스스로의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립하여 수익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채널구축 및 운영관리 전략을 모색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Pour qui sonne le glas - La traduction entre cultures de "petite" et "grande" diffusion

        김정연 프랑스학회 2018 프랑스학연구 Vol.0 No.84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의 영문판 Please Look after Mom이 미국에서 발행된지 한 달이 되지 않아 현지 베스트셀러 최상위권에 오르자 여러 언론매체에서 이 책에 대해 호의적인 평들을 쏟아낸바 있다. 신경숙의 화려한 미국 입성은 세계출판의 중심 무대인 뉴욕을 바탕으로 전 세계로 한국 문학이 퍼져 나갈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례적인 관심과 성공은 국내 번역학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켜 영역본과 관련한 다양한 관점의 연구들이 쏟아져 나왔다. 그로부터 5년이 지난 2016년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맨부커상을 수상하면서 비슷한 반응이 순차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수상직후 쏟아져 나온 기묘하고도 훌륭한 작품이 영어로 더 없이 적절하게 표현되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들에 이어 임의로 첨가하고 자의적으로 삭제하는 번역자의 번역방식에 대한 강한 비판이 일고 있다. 이들 두 작품의 프랑스어판은 영문판보다 몇 달 먼저 출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영문판 만큼 프랑스어권에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내지는 못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 두 작품의 영문본과 프랑스어본에서 각각 취한 번역전략을 비교 분석하고, 이러한 번역전략들이 나오게 된 배경과 반응을 번역작품이 도착어 문화권에서 차지하는 지위, 번역자의 언어 방향성, 출판사와 현지 비평가들의 역할 등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살펴본다.

      • 동물매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생명존중 의식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연,이현아,장윤석,김가림,김정남,민경국,박예람,유아랑,이요셉,정다은,김옥진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2019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지 Vol.7 No.2

        현대 사회에 들어와 우리는 기술의 발전에 따른 다양한 혜택을 누리며 풍요롭고 안락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지나친 개발로 인해 생명경시 태도와 인격체에 대한 경시 사상 또한 함께 퍼지게 되었고, 이는 정서지능이나 인성에 대한 가치관이 확립되는 아동기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물매개교육 프로 그램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생명존중 의식과 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J도 I시 소재 초등학교 3학년 아동 24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점수 비교법을 통해 결과를 얻었다. 동물매개교육 프로그램은 2019년 3월 29일 부터 2019년 5월 31일까지 주 1회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동물매개교 육이 대상 아동의 생명존중 의식과 인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한 생명존 중 의식 척도와 인성 척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동물매개교육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생명존중 의식과 인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방․통융합시대의 SP유형에 관한 연구

        김정연,안혜조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9 디자인지식저널 Vol.9 No.-

        시간과 장소, 상황에 구애받지 않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를 접하기 위해서는 미디어와 네트워크, 그리고 서비스간의 융합은 필수적이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형태인 쌍방향TV는 그동안의 단일방향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쌍방향 디지털 방송으로 변화를 이끌어내며 전통적인 개념에서 탈피하면서 새로운 매체로 부각되고 있다. 쌍방향TV에서는 소비자의 개인화된 시청행태와 상거래 유형변화에 부응하여 소비자와 광고주의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는 판매촉진 활동이 가능하다. 즉 소비자는 상품에 대한 즉각적인 정보획득과 구매가 가능하며 광고주는 셋톱박스(set-top box)를 통해 저장된 소비자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대상의 고객을 관리하면서 동시에 판매촉진활동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방송통신융합시대에 적응하는 SP(sales promotion)의 변화를 논의하기 위해서 쌍방향TV의 SP 사례를 시각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전통적인 SP와 비교 분석하고 앞으로의 쌍방향TV SP에 대해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