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풍촌층 상부 층준의 고품위 석회석 동정을 위한 SWIR 적용

        김용휘,김규보,최선규,김창성,Kim, Yong-Hwi,Kim, Gyoo Bo,Choi, Seon-Gyu,Kim, Chang Se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6 자원환경지질 Vol.49 No.5

        정선 지역 고품위 석회석 광산인 강원, 충무 및 백운 광산을 대상으로 풍촌층 상부 층준의 대표적 탄산염암을 구분하고 각 유형의 전암 분석 및 VNIR-SWIR(visible near infrared-short wavelength infrared) 분광분석을 실시하여, 현장에서 고품위 석회석의 CaO 함량, 이질 불순물 및 백색도를 평가할 수 있는 분석법을 제시하였다. 동일 시료에서 분말 시료의 분광 반사도는 절단 시편에 비하여 매우 높은 분광 반사도를 보였고, 탄산염암의 분말 시료는 백색도와 분광 반사도가 0.99의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전암 분석에서 확인된 충무광산의 방해석과 백운석 분말 시료를 75:25, 50:50, 25:75 질량비로 혼합하여 각각 스펙트럼의 변화를 확인하고, 탄산염암의 CaO 함량과 흡수파장을 비교한 결과 0.98~0.99로 매우 높은 상관도를 보이고 있다. 탄산염암의 흡수파장과 화학조성은 2340 nm(55.86 wt.%)에서 2320 nm(29.71 wt.%)로 이는 $CO{_3}^{-2}$ 성분과 결합하고 있는 Ca 함량과 이를 치환하는 Mg 성분 함량의 차이에 따라 흡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현장에서 분광분석을 통한 탄산염광물의 CaO 함량을 정량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The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iverse carbonate rocks can be investigated by using VNIRSWIR(visible near infrared-short wavelength infrared) spectroscopic analysis as a rapid, nondestructive, and inexpensive tool. Comparing whole rock analysis to VNIR-SWIR spectroscopic analysis, the analytical method was investigated to estimate CaO contents, mud impurity, and whiteness of carbonate rocks involved in high-grade limestones in the field. We classify typical carbonate rocks in the upper Pungchon Formation in high-grade limestone mine area such as the Gangweon, Chungmu and Baegun mine in the Jeongseon area. The results show that powdered specimen has much higher reflectance than cutted specimen between the same sample. Whiteness is highly correlated with reflectance(0.99) for powdered specimen. The absorption of mineral mixtures shifts in position as a result of the mass ratio of calcite and dolomite in the Chungmu mine by changing to 75:25, 50:50, and 25:75. The absorption peak position in carbonate mixtures is highly correlated with CaO contents(0.98~0.99). Based on color system, the carbonate rocks are grouped into (milky) white, light grey, light brown, grey, and dark grey. The absorption peak position shifts from 2340 nm to 2320 nm as CaO contents decrease from 55.86 wt.% to 29.71 wt.%. We confirmed that absorption peak position shifts depending on the amount of Ca, which is bonded to $CO{_3}^{-2}$, Mg, and Fe contents replacing Ca. This result suggests that CaO contents in carbonate rocks can be considered to quantitative analysis in the field by spectroscopic analysis.

      • KCI등재

        단파장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열수변질대 정량화 연구

        김용휘,최선규,고광범,한경수,구민호,Kim, Yong-Hwi,Choi, Seon-Gyu,Ko, Kwang-Beom,Han, Kyeong-Soo,Koo, Min-H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7 자원환경지질 Vol.50 No.1

        Advanced argillic, argillic, and phyllic zones are the most important alteration patterns to predict the hidden ore body during exploration of hydrothermal deposits. We examined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tral absorption characteristics and the mineral content of the synthetic mixtures such as alunite-kaolinite and illite-kaolinite using short wavelength infrared (SWIR) spectroscopy. In the alunite-kaolinite mixtures, the spectral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alunite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Hull quotient reflectance(0.99) and the kaolinite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Gaussian peak(0.92). Illite-kaolinite mixtures are essential for Gaussian deconvolution because of the overlap of absorption region. Illite and kaolinite mixtures indicate the high correlation of 0.93 and 0.98, respectively. The error ranges in the alunite-kaolinite(8%) and illite-kaolinite mixtures(5%) derived from SWIR were smaller than the ones(29% and 26%) obtained from X-ray diffraction(Rietveld) analysis. These results show that SWIR spectroscopic analysis is more reliable than XRD Rietveld analysis in terms of quantification of allowed minerals. 열수 광상의 잠두 광체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인자로 인식되는 고(산성)점토 변질대, 점토 변질대 및 필릭 변질대의 정량성을 확보하기 위해 명반석-고령석 조합과 일라이트-고령석 조합에 대한 합성 혼합시료를 대상으로 단파장적외선 스펙트럼의 흡광특성과 광물함량의 점이적인 변화추이를 비교하였다. 명반석-고령석 조합에서 명반석은 Hull quotient 반사도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0.99)를 보이며, 고령석은 가우시안 피크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0.92)를 나타내고 있다. 일라이트-고령석 조합은 흡수영역이 중첩하고 있어 가우시안 분해가 필수적이며, 일라이트와 고령석은 각각 0.93과 0.98의 높은 상관도를 보이고 있다. 단파장적외선 분광분석법에서 유도한 명반석-고령석과 일라이트-고령석 조합의 오차범위(8%, 5%)는 리트벨트 X-선 회절정량분석법에서 구한 성분비의 오차범위(29%, 26%)보다 작아 분광분석결과가 상대적으로 정량적 신뢰도가 높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동학의 수도(修道)와 주문(呪文) 수련의 의미

        김용휘 ( Yong Hwi Kim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3 선도문화 Vol.14 No.-

        동학(東學)은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侍天主-모든 사람들이 몸에 하늘님을 모시고 있음)에 대한 자각으로 탄생했다. 최제우는 이 시천주 사상을 통해 이기심(各自爲心)에 빠진 당시 사람들에게 참된 경천(敬天)의 방법과 새로운 인간의 길을 밝혔다. 이는 모든 사람들의 몸에 영(靈)과 기(氣)로 모셔져 있는 하늘님을 체험하고, 그 영기(靈氣)로서의 하늘님을 부모님처럼 섬기는 삶이다. 자기의 내면에서 신성한 하늘을 발견한 사람은 예전과는 전혀 다른 전면적인 인격의 전환을 경험하며, 동시에 모든 사람들을 신분과 관계없이 하늘님으로 공경하는 삶으로의 전환을 촉구 받는다. 이 시천주의 실천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 수심정기(守心正氣, 하늘 마음을 회복하여 지켜내고 그 기운을 바르게 함)이다. 동학은 수심정기의 공부를 통해 마음과 기운을 항상 맑고, 밝고, 온화하고, 편안한 상태, 그러면서도 늘 깨어서 집중된 상태, 나아가 신령한 상태로 만드는 것을 중시한다. 이런 마음 상태가 되어야 진정한 도덕실천도 가능하고, 인의예지의 실천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수심정기를 위한 구체적인 수련은 주로 주문(呪文)수련을 통해 행해진다. 동학의 주문은 동학의 핵심인 시천주의 의미를 담아 반복적으로 외게 함으로써 자연한 가운데 천심을 회복하게 하고 마음을 굳건(定)하게 하는 쉬우면서도 효과적인 ‘무위이화(無爲而化)’의 수련법이다. 주문은 현송(소리를 내서 하는 주문수련)과 묵송(속으로만 주문을 외면서 하는 수련)을 통해 행해진다. 현송은 큰 소리로 주문을 외면서 하는데 이를 통해 기운(몸) 공부를 하며, 속으로 잠잠히 주문을 외는 묵송공부를 통해 성품공부(견성공부)를 겸하고 있는 것이 동학의 수련법이다. 또한 이를 통해 자연한 가운데 마음이 맑고 밝고 편안해져 수심정기가 되므로 마음공부라고 할 수 있다. 큰 틀에서는 마 공부이긴 하지만 한쪽으로는 기운을 바르고 조화롭게 하는 공부를 하고, 한쪽으로는 그 마음의 본래자리, 비고 고요한 본성자리를 공부 으로써 나의 근본(참나)을 깨닫는 공부를 한다. 이처럼 주문을 외우는 가운데 자연히 천심을 회복하는 ‘무위이화(無爲而化-저절로 이루 짐)’의 수련법이라는 점과, 인간의 존재를 성심신의 세 측면으로 이해하고, 그 각각의 성품과 마음과 몸 공부를 같이 겸한다는 것이 동학련의 특징이다. 이것이 우리 고유의 선도수련의 ‘셋을 하나로 닦는’ 공부를 계승하고 있음을 말할 것도 없다. Donghak (東學) was born with the self-enlightenment on Sicheonju (侍天主-All people have god in their minds) of Suwun Cho Je-woo. Choe Je-woo enlightened new way of life and taught the true method to respect heaven (敬天) to the contemporary people who were fallen in egoism (各自爲心). It is to experience god who lives in the inner part of people with spirituality (靈氣), and to respect god as the subject of my life. Those who have found sacred heaven in their inner side will experience the shift of personality holistically. Such Sicheonju facilitates the shift the life of people to respect god regardless of their statuses. What contains the meaning of practice of Sicheonju is Susimjeonggi (守心正氣, to keep the mind of heaven and get the spirit right). Donghak places importance on the status of clear, bright, gentle and relaxed but awakened and concentrated mind through Susimjeonggi training. With this mind, true love can be practiced and the realization of Ineuiyeji(仁義禮智) is possible. Training for Susimjeonggi is mainly being done by incantation(呪文). Incantation training in Donghak is to chant ‘Sicheonju’ repeatedly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Donghak. It is easy but the most effective training of ‘Mu-ui-i-hwa (無爲而化)’to restore the mind of heaven in nature. Incantation training can be done by recital (spell training by sound) and silence (spell training in mind). The training of Donghak asks Hyunsong (recital) through which we study spirit (body) reciting the spell loudly and Muksong (scilence) through which we train personalities. In a big frame both of them are mind study, but one is to make the spirit right and balanced and the other is to study the original site of the mind, so to speak empty and calm nature in order to realize the origin of self (True Self). The characteristics of Donghak training can be summarized as above such as ‘Mu-ui-i-hwa (無爲而化-done automatically)’restoring the mind of heaven naturally by reciting spells, and that it is to study and discipline true nature, mind and body together.

      • KCI등재

        방정환의 교육철학과 동학사상 -무위이화의 생명원리와 모심의 영성을 중심으로-

        김용휘 ( Kim Yong Hwi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7

        본 연구는 방정환의 교육철학의 배경으로서 동학과의 연관성에 주목하여 동학의 어떤 사상이 그의 아동관과 교육철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조명한다. 방정환의 아동관은 기존의 동심천사주의적 입장이 아니라 동학의 시천주적 인간관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또한 아동을 ‘몸과 기운과 생각’의 세 차원에서 이해하고 있다. 방정환의 교육철학에서 가장 핵심은 ‘아이는 스스로 자란다’는 원칙에 입각해서 아이 스스로를 성장의 주체이자 교육의 주체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원칙은 동학의 ‘무위이화’의 생명원리를 교육에 적용시킨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방정환 교육철학에서 두 번째로 중시되고 있는 것은 아이는 기쁨으로 자란다는 것이다. 셋째로 방정환은 학교교육보다는 소년회 같은 동료들 상호 간의 배움을 중요시 하고 있다. 방정환 교육철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가 동심의 회복이다. 이는 동심에 대한 낭만적 예찬이 아니라 동학의 시천주, 즉 ‘모심’의 영성에서 나온 개념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nection with Donghak as the background of the thoughts of education in Bang Jeong-hwan. Particular, I examine what ideas of Donghak influences his view of children and the idea of education.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him is basically based on the human view of 'Sicheonju' of Donghak. In addition, he sees the child as a triple element of 'body, ki(energy) and thought'. The most important point in education theory of Bang Jeong-hwan is that the child is regarded as the subject of education itself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hild grows by himself'. This principle can be understood as applying the principle of life of 'muwiihwa' of Donghak to education. The second emphasis in his theory of education is that children should grow up with joy. This is also the reason for emphasizing art education, including fairy tales. Third, he emphasizes that children learn from each other. The goal of education is to say, "children grows up themselves, learns from each other, and grows up with joy." And this foundation is based on the idea of Donghak.

      • KCI등재

        일반논문 : 수운 최제우의 아국의식(我國意識)과 동학의 어원적 의미 -서학과 유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용휘 ( Yong Hwi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0 No.-

        수운은 이전 시대의 유학자들에 비해 비교적 철저한 아국의식(我國意識)을 가지고 있었다. 게다가 당시의 사회적 혼란 속에서 중국 중심의 엘리트 지식인의 학문을 넘어 모든 서민대중을 위한 공부방법론을 내놓으려고 하였다. 그러므로 동학의 어원 자체도 서학과 유학에 대해 우리의 학문방법론을 내놓았다는 의미에서 나온 것이다. 수운은 그들의 공부방법론이 당시 세상을 구원할 수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수운은 불연기연을 통해 존재와 생명을 전일적으로 바라보는 새로운 인식론, 공부방법론을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서학에서처럼 신을 내 마음 밖에 있다고 하여 외재적인 절대자를 섬기는 것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면서 마음밖에 따로 하늘이 없다고 하는 시천주의 신앙을 강조하였다. 또한, 유학의 대체는 동의하면서도 인의예지가 실천되기 위해서는 더 근본적인 수심정기의 공부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수운은 마음을 하늘로 모시고 섬기는 공부를 통해 실제 마음이 화평해하고 기운이 화평해지는(心和氣和) 변화와 내면의 깊숙한 곳에서 전체 하늘과 소통함으로써 근원적인 존재의 소외와 불안을 떨쳐낼 수 있어야 참으로 인격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보았다. 모든 사람들을 그런 인격으로 이끌어 지금까지 대립과 갈등, 물신화된 사회 문화를 보다 근원적이고 보편적인 가치들이 존중되는 사회로 만들고자 했던 것이 동학의 새로운 학의 의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동학은 당시의 세상을 구제하기 위해서 아국의식을 바탕으로 서학과 유학에 대응하여 새로운 공부방법론과 삶의 길을 제시한 것이다. Su-un was having a thorough ``consciousness of our country (我國意識)`` comparatively compared with the previous Confucianist. Besides, He intended to bring out the ``learning methodology`` for the mass of the people over the learning of the elite scholars who wear thought as the center of China in social disorder at that time. Therefore the origin of the word of ``Donghak`` is came from the meaning as the learning methodology toward the Western learning and Confucianism. It was because that Su-un thought their methodology could not save the world in those days. With this in mind, Su-un have established a new epistemology, the learning methodology to get a holistic view of being and life through ``bulyeon-giyeon(不然其然)``. To put it concretely, Su-un emphasized the belief of ``sicheonju(侍天主)``, which is no God outside mind, on raising a question to serve external God such as Western learning. And He thought to need a more fundamental study, ``susimjeongi(守心正氣)``, to practice Confucian ethic, ``in-ui-ye-ji(仁義禮智)``, though he agreed with the substance of Confucian. Hence, Donghak brought up the new learning methodology and the way of life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our country (我國意識)`` cope with the Western learning and Confucianism to save the Joseon Dynasty at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