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百濟 漢城期 貯藏施設 擴散의 動因 -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혈을 중심으로 -

        김왕국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6 百濟硏究 Vol.63 No.-

        This article is multilateral study on morphological change of Flask-Shaped Cross-Sectional Storage Pit to figure out the reason of its appearance and spreading. The facility was deeply related to social change of Baekje. Storage Pit complex can be divided into different distribution, the northern Charyeong and southern Charyeong with the West Cost. At the former region the complex appears around beginning of 4C and hits its highest in between late 4C and early 5C. At later region started in mid 4C and most numbered in mid 5C. Emergence and dissemination of the Storage Pit complex can be figured according to convergence, planning and standardization. There were questions on object and usage of the Storage Pit, yet Archaeological data shows its full capacity of storage. Main Storage Pit complex sites show high value in distribution density and subsidy which represents specialization level of storage function. Shape of the Storage Pit and mean diameter of bottom section(2.3~2.5m) can be considered as evidences of standardization. Moreover, the complexs’ are mostly situated around the secondary level site or newly built settlements due to reorganization of local community by commanding group of Hansung Baekje. They are now in todays’ Yongin, Osan, Yeongi(Sejeong), Nonsan and so on. In sum, Storage Pit of Hansung period was built and run as national level of storehouse in planned arrangement, under direct influence of central government for effective management of economy system(public imposts). In conclusion, appearance and proliferation of Storage Pit with specialized planned figures in large-scale represents Hansung Baekje as ancient country. It was a result of fundamental economic system(public imposts system or tax system) activated during it’s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procedure. 본고에서는 백제 한성기 저장시설의 등장과 확산의 동인을 고찰해보고자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혈을 중심으로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저장수혈군의 분포권은 크게 차령이북 지역과 차령이남 및 서해안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자에서는 4세기 전반 수혈군이 등장하여 4세기 후반∼5세기 전반경에 전성기를 맞이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4세기 중반경부터 본격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하여, 5세기 중반경에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었다. 저장수혈군의 출현과 보급양상은 집중성, 계획성, 규격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일부 연구들에서는 수혈의 기능에 대해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하였지만 연관된 고고자료 및 연구사례 등을 살펴본 결과 이 유구는 충분한 저장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주요 저장수혈군유적들은 저장기능의 전문화 정도를 의미하는 저장수혈 분포밀도(단위면적당 저장수혈의 수), 저장수혈 조성비(전체수혈 대비 저장수혈의 수)에서 모두 평균치 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수혈의 형태와 크기(평균바닥지름 2.3∼2.5m)에서는 규격화의 증거들이 확인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대규모 저장수혈군은 주로 현재의 용인, 오산, 연기(現 세종), 논산 등지에 분포하고 있는데, 이들 유적들은 주로 한성백제 엘리트집단의 지역사회 재편전략에 의해 새롭게 조성된 취락이나 주로 최상위 위계의 유적과 일정정도 거리를 두고 분포하는 특징이 있었다. 종합해보면 한성기 저장수혈군은 국가적 차원에서 설립되고 운영된 창고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중앙의 직접적인 영향력 아래에서 경제적 기반(조세)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계획적인 배치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결국 계획수치가 적용된 대단위 저장수혈군의 등장과 확산 현상은 한성백제가 고대국가로서 성립하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작동하였던 기초적인 경제시스템(공납체계 혹은 조세ㆍ수취제도)의 산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 증예(症例) : 가족성 선종성 용종종 환자에서 진단된 위선종 1예

        정관 ( Jeong Gwan Kim ),기회 ( Ki Hoi Kim ),박성현 ( Sung Hyun Park ),송지은 ( Ji Eun Song ),왕국 ( Wang Guk Oh ),지웅 ( Ji Woong Kim ),조진웅 ( Jin Woon Cho )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0 全北醫大論文集 Vol.34 No.2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은 전대장에 수 많은 선종성 용종있는 드문 유전성 질환이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에서 용종은 대장뿐만 아니라 위, 십이지장, 회장과 공장에도 발생한다. 대장외 병변의 양상은 다양하며, 대장 용종은 암의 발생과 연관이 높아 만약 치료하지 않은 경우 악성화 가능성의 거의 100%이다.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환자에서 위저부에 용종 동반율은 27~73%로 적지 않은 수이며 위선종의 발생율도 60%로 많은 수가 동반된다18,19). 그러나 위암의 동반율은 1% 이하인 것으로 보고되었다20). 저자들은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진단후 전대장 절제 및 회장낭-항문 문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위 내시경상 다수의 중증도 이형성증의 위선종이 발견되어 수술적 치료를 한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FAP) is a rare genetic disorder in which the large intestine is diffusely carpeted by numerous adenomatous polyps. According to the recent studies, FAP is a disease which produces polypoid lesions not only in the large intestine but also in the stomach, duodenum, ileum and jejunum. The natural course of extracolonic lesions is variable, but the colonic polyps are associated with high incidence of cancer. The risk of malignant change is virtually 100% if untreated. The incidence of gastric antral polyp with FAP was reported 27~73%. And prevalence of gastric adenoma with FAP was reported to 60%. And prevalence of gastric cancer with FAP was reported to less than1%. We experienced a case of gastric high grade adenomatous polyps treated by surgery, which was found after total colectomy and ileal pouch-anal anastomosis because of FAP.

      • KCI등재

        백제 웅진·사비기 저장시설의 운영 양상과 그 배경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혈을 중심으로-

        김왕국 ( Kim Wang-guk ) 백제학회 2021 백제학보 Vol.- No.35

        본고에서는 1980년대 처음 보고된 이후 조사 수량과 사례가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에게 비교적 도외시 되었던 백제의 단면 플라스크형 수혈을 살펴보았다. 특히 웅진·사비기 저장수혈군의 변화양상과 그 사회적 배경에 집중하였다. 필자는 전고(金王國 2016)에서 한성기 저장수혈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고, 그 성과를 바탕으로 웅진·사비기 저장수혈군의 속성들을 살펴본 결과 수혈군은 주로 사회적 요인에 의해 설치·운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의 저장수혈군은 금강과 만경강 유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중심지는 금강에서 만경강 유역으로 이동한다. 또한 시간이 흐를수록 유적의 저장기능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변화하며, 그 운영 과정은 백제 사회 내부의 변동양상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요 저장수혈군과 최상위 고분들의 배치형태는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다. 한성기에는 주요 저장수혈군과 금속제 장신구가 출토된 고분군들이 평균적으로 약 20km 가량 떨어져 있지만 웅진·사비기에는 최상위 고분양식인 능산리형 석실과는 거의 동일 유적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근접하여 조성된다. 이것은 백제가 국가행정체계를 완비함으로써 효율적인 조세수취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의 결과로 이해된다. 여러 가지 분석결과와 문헌자료의 검토를 통해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혈은 백제의 중앙에 의해 운영된 관영 창고 중 하나로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저장수혈군이 집중적으로 설치된 지역은 상시적인 조세권이 작동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 남한계는 중방성으로 추정되는 정읍 고사부리성으로 비정하였다. 백제 고고학 연구분야에서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혈은 방대하게 축적된 자료의 양에 비해 활용도가 낮은 편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해 흥미로운 연구대상으로서 이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 것에 본고의 의미를 두고자한다. In this article, Baekje’s Flask-Shaped Cross-Sectional Storage Pit has been discussed which was comparatively disregarded even when the amount of investigation and cases has been continuously reported since the 1980s. The main goal is to identify the archeological meaning and the difference of Storage Pit complex in the Period of Ungjin·Sabi. I carried out the research on Hansung Period’s Storage Pit in the previous article and I analyzed the Storage Pit complex in the period of Ungjin·Sabi based on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different properties of Storage Pit, it seemed like it was running in the Capital of Baekje; due to political factors instead of natural environment or cultural background. During this period, the Storage Pit complex was mainly distributed in the Geum River and Mangyeong River, also the central area was migrated from Geumgang to Mangyeong River. In addition, as time passed, the function of storing was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changed and the aspect of operation seemed like it has intimate connection with the fluctuation of internal society. The main Storage Pit complex and the highest’s tumulus ancient tomb placement ha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iod of time. Throughout Hansung Period, Storage Pit complex and ancient tombs with excavation of jewellery were 20km away from each other but when it arrived at Ungjin·Sabi Period, it got placed at the same region.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Baekje’s strategic initiative to operate an efficient tax collection system by perfectly completing the administration of state level. Through different kinds of various analysis results and literature materials, the Flask-Shaped Cross-Sectional Storage Pit can be estimated to be one of the governmental management of center of the Baekje. The Flask-Shaped Cross-Sectional Storage Pit has a low availability compare to themassive accumulation of references. However,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fact that as the primary subject of archeological studies on Baekje, it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it’s own by this opportunity of research.

      • 증예(症例) : 수은 증기 흡입 후 발생한 화학성 폐렴 1예

        기회 ( Ki Hoi Kim ),정관 ( Jeong Gwan Kim ),박성현 ( Sung Hyun Park ),송지은 ( Ji Eun Song ),왕국 ( Wang Guk Oh ),이중철 ( Joong Chul Lee ),영 ( Young Kim ),곽진영 ( Jin Young Kwak )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0 全北醫大論文集 Vol.34 No.2

        Mercury has been used widely in many industries and medicines throughout the centuries. Three forms of mercury exist as elemental, inorganic and organic. Mercury poisoning can result from vapor inhalation, ingestion, injection, or absorption through the skin. The pulmonary system is most affected in acute inhalation exposure of elemental mercury vapor. The reports of acute poisoning after inhalation of mercury vapor are rare. We report a case of a 63-year old man with chemical pneumonitis after inhalation of mercury vapor as folk remedy. After d-penicillamine as chelating agent and steroid treatment, symptoms and radiologic findings are improv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벌침에 의한 인후부 부종 2예

        왕국,지웅,기회,정관,송지은,길소현,박상훈,조진웅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1 No.3

        벌침은 다양한 독성 물질과 알러지 물질을 함유하여 다양한 국소 및 전신 증상을 유발하며 대부분 후유증을 남기지 않으나 과민반응이 발생하면 매우 위험해 벌침으로 인한 사망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구강 내 벌침에 의한 쏘임은 흔하지 않으나 국소부종 및 과민반응에 의한 호흡부전 등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어 즉각적인 에피네프린, 항히스타민제 및 스테로이드 등의 치료가 필요하며 수일간의 경과관찰이 필요하다. 특히 상부위장관내시경상 피열 연골 등 인후부의 정밀한 관찰이 요구된다. 응급내시경 검사상 피열 연골의 부종이 있는지 확인 해야 하며 벌침의 유무를 확인한다. 저자들은 여름철 뚜껑을 열어놓은 음료수에 들어간 벌을 잘못 마셔 구강 내 피열 연골의 부종이 발생하여 이물감 및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2예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Hymenoptera stings can result in local and systematic symptoms due to their toxic and allergic contents. Although serious sequela are rare, the occurrence of an anaphylactic reaction is considered to be very dangerous and can potentially cause death. Oropharyngeal stings, though infrequent, can cause local edema and airway obstruction due to an anaphylactic reaction and requires immediate epinephrine, antihistamine, steroid treatment and close observation over several days. Careful observation of the oropharyngeal and laryngopharyngeal area using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is highly recommended, especially for detection of possible edematous swelling in the arytenoid cartilage area. Here we report two cases of patients complaining pain due to edematous swelling in the arytenoid cartilage area caused by hymenoptera stings after accidentally drinking water with a bee in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