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umbar Interbody Fusion and Osteobiologics for Lumbar Fusion

        김영훈,Ha Kee-Yong,Kim Youn-Soo,Kim Ki-Won,Rhyu Kee-Won,Park Jong-Beom,Shin Jae-Hyuk,Kim Young-Yul,Lee Jun-Seok,Park Hyung-Youl,Ko Jaeryong,Kim Sang-Il 대한척추외과학회 2022 Asian Spine Journal Vol.16 No.6

        Lumbar interbody fusion (LIF) is an excellent treatment option for a number of lumbar diseases. LIF can be performed through posterior, transforaminal, anterior, and lateral or oblique approaches. Each technique has its own pearls and pitfalls. Through LIF, segmental stabilization, neural decompression, and deformity correction can be achieved. Minimally invasive surgery has recently gained popularity and each LIF procedure can be performed using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to reduce surgery-related complications and improve early postoperative recovery. Despite advances in surgical technology, surgery-related complications after LIF, such as pseudoarthrosis, have not yet been overcome. Although autogenous iliac crest bone graft is the gold standard for spinal fusion, other bone substitutes are available to enhance fusion rate and reduc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bone harvest. This article reviews the surgical procedur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LIF and the osteobiologics utilized in LIF based on the available evidence.

      • KCI등재후보

        나노펄스 플라즈마를 이용한 탈황 시스템의 H<sub>2</sub>O 및 NH<sub>3</sub>, 펄스 인가전압에 따른 입자변환 분석

        김영훈,신동호,이건희,홍기정,김학준,김용진,한방우,황정호,Kim, Younghun,Shin, Dongho,Lee, Gunhee,Hong, Keejung,Kim, Hak-Joon,Kim, Yong-Jin,Han, Bangwoo,Hwang, Jungho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 2020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Vol.16 No.1

        Nano-pulse plasma technology has great potential as the process simplicity, high efficiency and low energy consumption for SO<sub>2</sub> removal. The research on the gas-to-particle conversion is required to achieve higher efficiency of SO<sub>2</sub> gas removal. Thus, we studied the effect of the relative humidity, NH<sub>3</sub> concentration and applied voltage of the nano-pulse plasma system in the gas to particle conversion of SO<sub>2</sub>. The particles from the conversions were increased from 10 to 100 nm in diameter as relative humidity, NH<sub>3</sub> concentration, applied voltage increases. With these results, nano-pulse plasma system can be used to more efficient removal of SO<sub>2</sub> gas by controlling above parameters.

      • 대규모 유전자 상호작용 네트워크 추론을 위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구조

        김영훈,이필현,이도헌,Kim, Yeong-Hun,Lee, Pil-Hyeon,Lee, Do-Heon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2006 Bioinformatics and Biosystems Vol.1 No.1

        본 논문은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대규모 유전자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추론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구조를 제시한다. 유전체 수준(genome-wide)의 대규모 유전자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베이지안 네트워크 형태로 추론하기 위해서는 병렬 서버를 이용하더라도 통상 수십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대화형(interactive) 독자(standalone) 시스템 구조보다는 배치형(batch) 분산(distributed) 시스템 구조가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그와 같은 상황에 적합한 느슨한 연결의 (loosely-coupled)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을 구현할 결과를 기술한다. 유전자 상호작용 네트워크 추론은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진다. 첫째로, 생물주석정보(biological annotation)과 유전자 발현정보(expression data)를 사용하여, 전체 유전자 집단을 서로 중복이 가능한 모듈들로 나누며, 둘째로, 각각의 모듈들에 대해 독립적인 베이지안 학습을 수행하여 추론결과를 얻고, 각 모듈들이 공통으로 포함하는 유전자를 사용하여 각 모듈의 추론결과들을 하나로 통합한다. We present a client-server system architecture for inferring genetic interaction networks based on Bayesian networks. It is typical to take tens of hours when genome-wide large-scale genetic interaction networks are inferred in the form of Bayesian networks. To deal with this situation, batch-style distributed system architectures are preferable to interactive standalone architectures. Thus, we have implemented a loosely coupled client-server system for network inference and user interface. The network inference consists of two stages. Firstly, the proposed method divides a whole gene set into overlapped modules, based on biological annotations and expression data together. Secondly, it infers Bayesian networks for each module, and integrates the learned subnetworks to a global network through common genes across the modules.

      • KCI등재후보

        실험적으로 유발한 가토 VX2 암종의 종양 혈관: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 초음파 및 혈관 조영술 소견과 병리조직학적 소견과의 비교

        김영훈,한준구,정진욱,이경호,김석준,최병인,장기현,Kim, Yeong-Hun,Han, Jun-Gu,Jeong, Jin-Uk,Lee, Gyeong-Ho,Kim, Seok-Jun,Choe, Byeong-In,Jang, Gi-Hyeon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5

        목적: 실험적으로 가토의 대퇴부에 유발한 VX2 암종의 종양 혈관상을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초음파 및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술의 조영 증강 양상으로 평가하고 양자의 소견을 비교하며 조영 증강 양상의 차이를 유발하는 병리 조직학적 근거를 규명하는데 있다. 대상과 방법: 가토의 대퇴부에 이식된 30개의 VX2 암종에 대해 조영 전 출력 도플러 초음파 영상을 얻고 미세기포 초음파 조영제를 정주 하여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 초음파 영상을 얻은 후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조직 절편을 얻어 영상 소견과 병리 조직학적 소견을 연관 분석하였다. 조영 전 및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 초음파와 혈관 조영술 영상에서 종양 혈관의 분포 양상을 분석하고 종양내 혈관 밀집도 점수 및 종양의 전체 면적에 대한 혈관 면적의 백분율을 구하였다.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괴사정도, 섬유혈관성 간질 및 피막의 발달 정도를 분석한 뒤 이를 영상 소견과 연관시켜 보았다. 결과: VX2 암종의 종양 혈관상은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 초음파검사에서 무혈관성이 9예, 주 변부 분포형이 15예, 미만성 분포형이 6예였다. 혈관 조영술에서는 8예가 무혈관성, 14예가 주변부 혈관 분포, 그리고 나머지 8예는 미만성 혈관 분포를 보였다. 혈관 분포의 양상은 두 검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혈관 밀집도 점수와 혈관 면적 백분율은 조영증강 출력 도플러와 혈관 조영술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병리 조직학적 검사에서 미만성 혈관분포를 보였던 예들은 종양의 경계가 분명하고 피막과 섬유혈관성 간질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괴사정도, 피막 및 섬유성 간질의 발달 정도는 출력 도플러 초음파 및 혈관 조영술의 혈관밀집도 점수, 혈관 면적 백분율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가토의 대퇴부에 유발한 VX2 암종은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 초음파와 혈관 조영술에서 무혈관성에서부터 과혈관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양 혈관상을 보였고 이러한 종양 혈관의 양상은 괴사정도, 섬유성 간질 및 피막의 발달 정도 같은 병리 조직학적 지표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urpose: To describe findings of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nd DSA in experimentally induced VX2 carcinomas in rabbit thigh and to correlate the imaging findings with the histopathologic featur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0 VX2 carcinomas were implanted in rabbit thigh, and after conventional and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nd DSA, histopathologic examination was performed.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nd DSA, were us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umor vascularity; to assess its grade and the percentage of a tumor area occupied by vessels, conventional and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s well as DSA, were used. The grade of necrosis and the development of fibrovascular stroma and capsule were histopathologically determined. The findings of power Doppler sonograph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DSA and the imaging features were correlated with the histopathologic features. Results: At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the signal was either avascular (n=9), peripheral (n=15) or diffuse (n=6), while at DSA, the corresponding totals were eight, fourteen and eigh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elation between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nd DSA, both in their depiction of the distribution of patterns of tumor vascularity and as regards their findings of grade and percentage of vascular area. As determined by both conventional and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nd by DSA, grade of necrosis and the development of fibrovascular stroma and a capsule correlated with grade and the percentage of vascular area. Conclusion: Experimentally induced VX2 carcinomas in rabbit thigh demonstrated various patterns of tumor vascularity, and the findings of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correlated with those of DSA. Tumor vascularity, as demonstrated by two imaging modalities, correlated closely with grade of necrosis and the development of fibrovascular stroma and a capsule, as revealed by histopathologic examination.

      • SCOPUSKCI등재

        에칭법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 표면 근처에서의 금속 분순물의 정량

        김영훈,정혜영,조효용,이보영,유학도,Kim, Young-Hoon,Chung, Hye-Young,Cho, Hyo-Yong,Lee, Bo-Young,Yoo, Hak-Do 대한화학회 2000 대한화학회지 Vol.44 No.3

        실리콘 웨이퍼를 일정한 두께로 에칭하여 실리콘 웨이퍼 표면 근처의 특정영역에 존재하는 금속불순물을 정량하였다. HF와 $HNO_3$의 부피비를 1:3으로 혼합한 용액 5mL로 20분간 실리콘 웨이퍼와 반응 시켰을 때 1${\mu}m$ 두께로 웨이퍼 전면을 균일하게 에칭할 수 있었다. 에칭 후, 용액을 중발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오븐을 사용하였는데 증발과정에서 spike한 Cu, Ni, Zn, Cr, Mg 및 K의 회수율은 99∼105%였다,Cu를 오염시킨 epitaxial 실리콘 웨이퍼의 경우 에칭법으로 전처리를 하여 ICP${\cdot}MS$로 측정한 결과, Cu는 뒷면의 표면으로부터 1∼2${\mu}m$ 안의 polysilicon영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였고 Cu 농도를 1${\mu}m$두께의 범위에서 정량할 수 있었다. The metal impurities in specific regions at near surface of silicon wafer were determined by constant depth etching·lt is possible to etch uniformly over the entire wafer surface by 1$\mu\textrm{m}$ depth with 5 mL of etching solution made up of HF and HNO$_3$ mixed by l:3 volume ratio. The microwave oven was used to evaporate the solution after etching. After spiking, The recoveries of Cu, Ni, Zn, Cr, Mg and K were found to be 99∼105%ted in polysilicon region and could be quantified by 1$\mu\textrm{m}$ depth.

      • KCI등재

        목재부후균에 의한 trans,trans-farnesol의 생물변환

        김영훈,이수연,박미진,최인규,이재원,Kim, Young-Hun,Lee, Su-Yeon,Park, Mi-Jin,Choi, In-Gyu,Lee, Jae-Won 한국미생물학회 2012 미생물학회지 Vol.48 No.1

        본 연구에서는 sesquiterpene류의 생물학적 변환을 위한 생촉매로서 목재부후균을 선발하고 생물변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esquiterpene류 합성 전구체로 알려진 trans,trans-farnesol을 기질로 하여 총 19종의 목재부후균에 대해여 저항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질의 농도를 달리하여 저항성 테스트를 실시하여 생물변환 가능성을 갖는 5종의 균주를 선발하였으며 선정된 균주를 이용하여 액체배지 조건에서 trans,trans-farnesol의 생물변환을 시도하였다.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Laetiporus sulphureus var. miniatus (jungh) Imaz, Coriolus versicolor (L. Fr). Prlar, Fomitopsis pinicola, Lampteromyces japonicas 등 4개의 균주에서 각각 nerolidol, eicosane, isoborneol, isocyclocitral 등의 대사산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sesquiterpene류의 생물학적 변환을 위한 생촉매로서 목재부후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screened and evaluated possibility of wood rot fungi as biocatalyst for biotransformation of sesquiterpenes. Screening were performed to select the most promising microorganisms with ability to biotransformation the substrate trans,trans-fanesol. Trans,trans-farnesol which is synthesized precursor of sesquiterpenes was used for resistance test on 19 of wood rot fungi. From the 19 tested wood rot fungi, 5 were selected by resistance test on different concentration of trans,trans-fanesol. Biotransformation was performed with selected wood rot fungi on liquid culture. The metabolites detected by GC-MS analysis were nerolidol for Laetiporus sulphureus var. miniatus (jungh) Imaz and eicosane for Coriolus versicolor (L.Fr) Prlar and isoborneol for Fomitopsis pinicola and isocyclocitral for Lampteromyces japonicas. As the results, wood rot fungi could be potential biocatalyst for biotransformation of sesquiterpenes.

      • KCI등재

        수종의 근관세척액과 Listerine<sup>(R)</sup>의 항균성 비교 연구

        김영훈,강민경,최은경,양소영,양인석,강인철,황윤찬,황인남,오원만,Kim, Young-Hun,Kang, Min-Kyung,Choi, Eun-Kyoung,Yang, So-Young,Yang, In-Seok,Kang, In-Chol,Hwang, Yun-Chan,Hwang, In-Nam,Oh, Won-Mann 대한치과보존학회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6

        본 연구는 여러 가지 근관세척액(NaOCl, CHX, EDTA)과 구강세정제로 사용되는 $Listerine^{(R)}$을 근관감염균주인 Porphyromonas gingivalis와 Enterococcus faecalis를 상대로 항균효과를 비교하고 $Listerine^{(R)}$이 근관세척액으로 사용가능한지를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orphyromonas gingivalis ATCC 3327과 Enterococcus faecalis ATCC 29212의 표준균주를 사용하였다. 실험을 위한 근관세척제로 0.1%, 0.2%, 1%, 2% Chlorhexidine(CHX)과 0.5%, 1%, 2.5%, 5.25% NaOCl, 0.5M EDTA(18.6% EDTA). 그리고 $Listerine^{(R)}$원액을 이용하였다. 항균효과의 비교는 액체배지상에서 균주의 혼탁도와 한천 확산법을 이용한 억제대 비교로 하였다. 모든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시 근관내 균주에 항균성을 나타냈다(p < 0.001). 모든 농도의 NaOCl, CHX, 그리고 EDTA는 실험균주에서 높은 항균성을 보였다. 모든 실험에서 $Listerine^{(R)}$은 다른 근관세척제에 비해 낮은 항균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Listerine^{(R)}$이 E. faecalis와 P. gingivalis에 대해 항균성을 보이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근관세척 액에 비해서는 현저히 낮은 항균성을 나타냄으로 근관세척 액으로 사용은 적합하지 않음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Listerine^{(R)}$ on two microorganisms (P. gingivalis and E. faecalis) with various root canal irrigants (NaOCl, CHX, EDTA) and to identify possibility of using $Listerine^{(R)}$ as a root canal irrigant. Porphyromonas gingivalis ATCC 3327 and Enterococcus faecalis ATCC 29212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For the test irrigants, 0.5%, 1%, 2.5%, 5.25% NaOCl, 0.1%, 0.2%, 1%, 2% CHX, 0.5M EDTA (18.6% EDTA) and $Listerine^{(R)}$ were prepared. Distiled water was used as control. Two methods-1) Comparison of turbidity in broth and 2) Agar diffusion test-were used to determine the extent of antibacterial effect of $Listerine^{(R)}$ and to compare it with that of NaOCl, CHX, and EDTA. All solutions tested were effective against two bacterial strains compared with control (p < 0.001). Any concentration of NaOCl, CHX, and EDTA showed similarly high effectiveness against all bacterial strains. In all experiment, $Listerine^{(R)}$ showed significantly low antibacterial effect compared with the other root canal irrigants (p < 0.05). In conclusion, the results reflect remarkably low antibacterial effect of $Listerine^{(R)}$ as compared with root canal irrigants in general so it is not suitable for the root canal irrig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