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항행안전시스템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형 정밀위성항법 보강시스템의 구축을 중심으로

        김영필,황경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2

        The study attempts to suggest potential problem and solutions expect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KASS, which i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to improve the domestic navigation safety system, and to summarize improvement effects of domestic navigation safety system anticipated by the implementation of KASS. Challenges expect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KASS exists in four aspects: emotional, technical, cost, safety aspects. When KASS is implemented and operates, various benefits can be realized. Benefits include cost savings by not using navigation safety systems during takeoff and landing; reduction of flight delays and cancellations by removing airway congestion; increase of aircraft accommodation capacity; reduction of carbon emissions; preparation for future aviation demands and improvement of air transportation safety; and reduction of flight accidents.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o enter into an era of more intense competition due to increased aviation demands. In order to survive in this competitive environment, early introduction of KASS is indispensabl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reference information for academic research in this area. A possible future research topic include a study predicting the changes in the navigation safety systems introduced by KASS and proposing practical and useful ways to respond the changes.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항행안전시스템의 개선을 위해 현재 구축이 진행되고 있는 KASS를 중심으로 구축 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을 식별하여 여기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KASS 구축 후 예상되는 국내 항행안전시스템의 개선 효과를 분석하여 정리한다. KASS 구축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정서적인 측면, 기술적인 측면, 비용적인 측면, 운행 안전성 측면 등 네 가지 관점에서 존재한다. KASS가 구축되어 운영되면, 정밀접근 및 이착륙까지 항행안전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절약, 항공로 혼잡 해소를 통한 결항 및 이·착륙 지연 감소, 항공기 수용 능력 확대, 탄소배출 저감, 미래 항공수요 대처 및 항공교통 안전성 향상, 항공사고 감소 등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향후 항공수요 증가로 인해 현재보다 더욱 극심한 경쟁 시대에 돌입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러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하루라도 빨리 KASS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분석 내용은 이 분야의 학술적인 연구에서 참조할 수 기반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이 분야에서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내용 중의 하나는 KASS 도입을 통한 항행안전시스템의 변화를 보다 체계적으로 예측하고,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이고 유용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 언양 자연 집단내 Drosophila melanogaster의 유해 유전자 빈도 분석

        김영필,최영현,유미애,이원호 부산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6 분자생물학 연구보 Vol.12 No.-

        The genetic variabilities of second chromosomes of Drosophila melanogaster concealed in On-yang natural population have been analyzed by the Cy//Pm method and an allelism test during two years(1993-1994). The mean frequencies of deleterious(lethal and semilethal) genes in On-yang natural population were estimated to be 23.97% in 1993 and 27.15% in 1994, respectively. The allelism rates between lethal genes in the population were 0.654%(1993) and 1.429)%(1994). The mean values of elimination by frequencies of deleterious genes and allelism rates were 0.0004(1993) and 0.0010(1994), respectively. The frequencies of phenotypic sterility of males in 1994 were estimated to be 1.95%, and theses of genotypic sterility of females and males were estimated to be l.)4% and 2.31%,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타각적 굴절검사에 대한 안경사의 인식 조사

        김영필,구본엽,이현실 대한시과학회 2022 대한시과학회지 Vol.24 No.2

        Purpose :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optometry-related occupations for objective refraction, to survey the awareness of the domestic optometris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xpanding the scope of work in the future. Methods :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n the objective refraction of overseas and domestic optometry-related occupations and surveyed a total of 1,989 optometrist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Results : An objective refraction is the basis of performance for optometry-related jobs, and almost all countries except Korea allow the use of objective refraction testing devices other than auto-refractomet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lassification of medical device for the objective refraction testing devices used in the optometry related occupations was divided as low or no risk in almost all countries. Domestic optometrists’ awareness of the use of objective refraction testing devices was independent of age, academic background, and career. Most thought it should be possible to do,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willing to use it if legally allowed. Conclusion : In order to prepare for the clear feasibility of domestic optometrists’ use for objective refraction testing, the optometrists themselves must develop clinical practice skills that are not lacking compared to overseas optometrist, and self-help efforts to secure effective strategies are necessary. 목적 : 타각적 굴절검사에 대한 옵토메트리(Optometry) 관련 직종의 업무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국내 안경사를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업무 범위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해외 및 국내 옵토메트리 관련 직종의 타각적 굴절검사에 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였으며, 총 1,989명의 안경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인식을 조사하였다. 결과 : 타각적 굴절검사는 옵토메트리 관련 직종의 업무 수행의 근간이며 대한민국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국가에서 자동굴절계 이외 타각적 굴절검사 기기 사용을 허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옵토메트리 관련 직종이 사용하는 타각적 굴절검사 기기에 대한 의료기기 등급은 거의 모든 국가에서 위해성이 없거나 낮은 등급으로 구분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타각적 굴절검사 기기에 사용에 대한 국내 안경사의 인식은 나이, 학력, 경력과는 무관하였으며, 대부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법적으로 허용된다면 사용할 의사가 충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타각적 굴절검사에 대한 국내 안경사 사용의 명확한 타당성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안경사 스스로 해외옵토메트리 인력과 비교하였을 때 부족하지 않는 수준의 임상 실무 능력을 함양할 필요가 있으며, 효과적 전략 확보를 위한 자구적 노력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현상과 정신분석

        김영필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1 동서정신과학 Vol.4 No.2

        본 글은 현대철학의 주요 방법론인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전통적인 정신분석적 치료방법을 극복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철학적 방법으로서의 현상학적 방법은 19세기 이후부터 만연된 실증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에드문드 후설(Edmund Husserl, 1859~1938)에 의해 창안되었다. 전통적인 정신분석적 방법이 바로 실증주의적 방법에 기초를 두고 있기에, 인간의 정신이나 영혼을 과학적 분석의 대상으로 다룬다. 그러나 인간의 정신이나 영혼은 결코 과학적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현상학적 방법을 소개한다. 물론 전통적 정신 분석학이 철학적 방법을 끌여 들여 전통적 심리치료의 방법을 극복하려고 했지만, 여전히 심리학주의적 편견에 붙들려 있다. 이러한 심리학주의적 편견을 넘어서 완전한 의미의 철학적 치료, 즉 철학적 상담이라는 영역을 새롭게 열어보이는데 이 글의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