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nd plant growth promotion of a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um, Enterobactor intermedium 60-2G

        김영철,김철홍,김길용,조백호,Kim, Young-Cheol,Kim, Chul-Hong,Kim, Kil-Young,Cho, Baik-Ho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0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5 No.4

        인산가용 미생물인 Enterobacter intermedium 60-2G의 식물생장촉진 능력과 흑성병균인 Cladosporium cucumerinum에 대한 유도전신저항성 능력을 오이와 오이 흑성병균을 모델로 확인하였다. E. intermedium 을 처리한 오이는 물을 처리한 control에 비해 C. cucumerinum에 의한 흑성병의 병징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E. intermedium를 처리한 오이는 식물 생장촉진효과도 보였다. Strain 60-2G은 Fusarium oxysporum와 Magnaporthe grisea을 포함한 여러 식물 병원 곰팡이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인산가용능력을 가진 E. intermedium 60-2G는 식물의 생육을 증진시키는데 관여하는 여러가지 유익한 형질을 가진 아주 유용한 생물적 방제균임을 밝혔다. A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um, Enterobacter intermedium 60-2G, was examined for plant growth-promotion and induction of systemic resistance using a model system of cucumber and scab disease,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Compared with a nonbacterized control, treatment of cucumber with E. intermedium significantly reduced the severity of scab disease after challenge-inoculation with C. cucumerinum. Treatment of cucumber with E. intermedium also enhanced cucumber growth. The 60-2G strain showed a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everal plant pathogenic fungi including Fusarium soysporum and Magnaporthe grisea. These results suggest the E. intermedium 60-2G is a promising candidate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displaying multiple beneficial properties to promote plant health.

      • 치어기 넙치 사료내 ${\beta}-1,3$ 글루칸의 첨가가 성장 및 비특이적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김영철,김강웅,이승형,박건준,강용진,배승철,Kim, Young-Chul,Kim, Kang-Woong,Lee, Seung-Hyung,Park, Gun-Jun,Okorie, Okorie Eme,Kang, Yong-Jin,Bai, Sung-Chul C. 한국양식학회 2006 韓國養殖學會誌 Vol.19 No.4

        본 실험은 치어기 넙치에 잇어서 ${\beta}-1,3$ 글루칸을 사료내 첨가시 성장, 비특이적 면역반응 및 질병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료내 ${\beta}-1,3$ 글루칸을 수준별 첨가하여 실시였다. 실험어는 평균무게 3.2 g인 넙치 치어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사료에 ${\beta}-1,3$ 글루칸을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 0.025%, 0.05% 및 0.1%를 각각 첨가하여 총 5개 실험구로 3반복배치하여 6주간 실시하였다. 총 6주간의 성장 실험결과, 면역증강물질인 ${\beta}-1,3$ 글루칸의 첨가에 따르는 사료효율과 단백질전환효율에 있어서 ${\beta}-1,3$ 글루칸 0.1%를 공급한 사료구가 대조구와 다른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5). 증체율과 일간성장율에 있어서는 ${\beta}-1,3$ 글루칸 0.1%를 공급한 사료구가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 0.025%를 첨가한 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beta}-1,3$ 글루칸 0.05%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만도에 있어서는 ${\beta}-1,3$ 글루칸 0.05%와 0.1%를 첨가한 구가 대조구와 첨가구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헤마토크리트치는 ${\beta}-1,3$ 글루칸 0.05%와 0.1%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와 ${\beta}-1,3$ 글루칸을 0.01%와 0.025%를 첨가한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혈청내 GOT에 있어서 ${\beta}-1,3$ 글루칸 0.05%와 0.1%를 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와 0.025%를 첨가한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비특이적 면역반응 결과에 있어서는 ${\beta}-1,3$ 글루칸을 0.05%와 0.1%를 첨가한 실험구가 혈청의 lysozyme 활성 및 두신 phagocyte의 chemiluminescent(CL) 반응에서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와 0.025%를 첨가한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보체대체활성의 경로에 있어서는 전실험구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격 실험 결과에서는 ${\beta}-1,3$ 글루칸을 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초기폐사율이 낮음을 확인할수 있었으며, 상기 결과를 토대로, 넙치 치어의 경우 ${\beta}-1,3$ 글루칸을 0.05% 이상 0.1% 미만을 사료에 첨가하는 것이 성장, 사료효율 증진, 항산화능 및 질병저항성에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eta}-1,3$ glucan on growth and immune responses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the white fish meal based diets for 6 weeks. Five experimental diets supplemented with ${\beta}-1,3$ glucan at 0, 0.01, 0.025, 0.05, 0.1 % (Control, $G_{0.01},\;G_{0.025},\;G_{0.05}\;and\;G_{0.1}$, respectively) of diet on a dry-matter basis. Five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nitrogenous and isocaloric to contain 50.0% crude protein and 16.7 kJ available energy $g^{-1}$. Fish averaging $3.2{\pm}0.1\;g\;(mean{\pm}SD)$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each aquarium as triplicate groups of 15 fish. Weight gain (WG, %), specific growth rate (SGR, %), and feed efficiency (FE, %) of fish fed $G_{0.1}$ diet were fou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Control, $G_{0.01},\;G_{0.025}\;and\;G_{0.05}$ diet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ish fed control, $G_{0.01},\;G_{0.025}$. Chemiluminescent responses (CL) of fish fed $G_{0.1}$ die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other diets. Serum lysozyme activities of fish fed $G_{0.05}$ and $G_{0.1}$ diets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control, $G_{0.025}$ and $G_{0.05}$ diets. Fish fed $G_{0.1}$ diet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cumulative mortality than did fish fed control diet throughout the challenge test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ased on growth rate, feed efficiency, non-specific immunity and protection against microbial infections the optimum dietary ${\beta}-1,3$ gulcan could be greater than 0.05% but less than 1.0%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ilvaceus.

      • ATM 망에서 다중화기 정보에 의한 Neural UPC에 관한 연구

        김영철,변재영,서현승,Kim, Young-Chul,Pyun, Jae-Young,Seo, Hyun-Seung 대한전자공학회 1999 電子工學會論文誌, C Vol.c36 No.7

        ATM망에서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고 망 자원 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폭주(Congestion)발생에 의한 망 성능 저하를 막고 폭주현상에 대처할 수 있는 적응적인 제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든 트래픽에 대해 고정된 형태의 제어를 하는 Buffered Leaky Bucket과 적응성과 예측 기능을 갖는 신경회로망(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버퍼의 효율성을 높이고 망의 서비스 품질(QoS)로 구별되는 셀 손실율과 버퍼 지연을 테스트 및 성능 비교를 하였다. 또한 입력 트래픽의 다중화를 위해 사용되는 DWRR과 DWEDF의 셀 스케쥴링 알고리즘이 균등 지연을 만족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셀 스케쥴러로부터 망의 폭주 정보는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Leaky Bucket에서 예측된 트래픽 손실율을 제어하고 손실율 정도에 따라 토큰 발생율과 버퍼 한계값은 제어된다. 이러한 트래픽 손실율 예측은 다음 입력 트래픽에 대한 손실과 버퍼지연을 줄일 수 있도록 제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다른 제어방식에도 응용될 수 있다. ATM 트래픽에 대한 신경회로망 학습과 예측 테스트를 위해 확률 랜덤 변수에 의해 발생된 셀 발생과 예측을 모의 실험하였으며, 이때 다양한 트래픽의 QoS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control the flow of traffics in ATM networks and optimize the usage of network resources, an efficient control mechanism is necessary to cope with congestion and prevent the degradation of network performance caused by congestion. In this paper, Buffered Leaky Bucket which applies the same control scheme to a variety of traffics requiring the different QoS(Quality of Service) and Neural Networks lead to the effective buffer utilization and QoS enhancement in aspects of cell loss rate and mean transfer delay. And the cell scheduling algorithms such as DWRR and DWEDF for multiplexing the incoming traffics are enhanced to get the better fair delay. The network congestion information from cell scheduler is used to control the predicted traffic loss rate of Neural Leaky Bucket, and token generation rate and buffer threshold are changed by the predicted values. The prediction of traffic loss rate by neural networks can enhance efficiency in controlling the cell loss rate and cell transfer delay of next incoming cells and also be applied for other traffic controlling schemes. Computer simulation results performed for random cell generation and traffic prediction show that QoSs of the various kinds of traffcis are increased.

      • KCI등재

        항공기 결항과 연쇄 교통사고를 야기한 연안안개 사례 연구

        김영철,Kim, Young Chul 한국항공운항학회 2017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25 No.1

        A heavy foggy event accompanying with complex coastal fog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is heavy foggy event occurred on FEB 11, 2015. Due to reduced visibility with this foggy event induced more than 100times serial traffic accidents over the Young-jong highway, and Flights from 04:30 AM to 10:00 AM were cancelled on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This heavy foggy event was occurred in synoptic and mesoscale environments but dense coastal fog were combined with a combination of sea fog, steam fog, and radiation fog. This kind of coastal fog can predicted by accurate analysis of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sea surface temperature(SST), and 925hPa isotherms from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charts and real time analysis charts.

      • KCI등재후보

        인진이 간성상세포의 섬유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영철,이장훈,우홍정,Kim, Young-Chul,Lee, Jang-Hoon,Woo, Hong-Jung 대한한방내과학회 2005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6 No.4

        Object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fibrogenic effect of Artemisiae Capillaris Herba(ACH) on cultured rat hepatic stellate cells. Methods : Hepatic Stellate Cells were obtained from a 350gm Sprague-Dawley rat by tissue perfusion system, and the cells for the study were selected after 3 passages of culture on non-coated plastic culture dishes which enable the cells to activate, thus producing collagens in the cell media.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rtemisia Capillaris Herba(ACH) extract powder for 24 or 48 hours. After the treatment, Soluble collagen, procollagen levels and the mRNA of the procollagen type I C were measured by using assay kit and RT-PCR method. Results : Procollagen production by the hepatic stellate cells decreased after the treatment in a time-dependent dose-dependent manner. The mRNA expression decreased consistently with the volume of the secreted procollagen which indicates the herb hat inhibitory effect on fibrogenesis of the liver by regulating one of the fibrosis associated genes in transcript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H is beneficial in the treatment of cirrhotic patients as well as for the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 KCI등재

        구문트리에서 키워드 추출을 이용한 프로그램 유사도 평가

        김영철,최재영,Kim Young-Chul,Choi Jaeyo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2 No.2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의 분석 과정에서 생성된 구문트리에서 키워드만을 추출하여 유사도 평가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 방법은 기존의 구조 기반 방법과 같이 프로그램 구조적 특징에 상관없이 유사도를 평가한 수 있으며, 구문트리의 키워드만을 평가에 이용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의 단점이었던 속도를 개선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사도 평가 모델을 제시하고, 생성된 구문트리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평가 부분에서는 기존 시스템에 비해 본 시스템이 구조적 특징이나 속도 면에서 많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향후에 텍스트 위주의 문서의 유사도나 XML과 같은 전자 문서의 유사도 평가에 지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method that a user analyses the similarity of the two programs by using keyword from the syntactic tree, created after the syntax analysis, and its implementation. The main advantage of the method is the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using only keyword of syntax tree. In the paper, we propose the similarity evaluation model and how we extract keyword from syntax tree. In addition, we also show the improvement in the performance in analysis and in the system's structure. We expect that our system will be utilized in the similarity evaluation in text and XML documents.

      • SCOPUSKCI등재

        니오비움 함유 복합 금속산화물 촉매의 선택산화반응에 관한 연구

        김영철,김형주,문동주 ( Young Chul Kim,Hyeong Ju Kim,Dong Ju Moon ) 한국공업화학회 1998 공업화학 Vol.9 No.1

        프로판의 아크릴로니트릴로의 가암모니아 산화반응을 Nb₂O_5-V_(0.4)Mo₁Te_(0.1) 혼합촉매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가암모니아 산화반응의 촉매적 활성은 강한 산성을 띠는 니오비움산화물을 몰리브덴계 산화물촉매(V_(0.4)Mo₁Te_(0.1))에 첨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며, 이때 아크릴로니트릴과 프로필렌의 선택율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최대의 활성은 Nb₂O_5-V_(0.4)Mo₁Te_(0.1) 촉매 중 니오비움산화물이 25 wt%가 되었을 때 얻었으며, 니오비움산화물은 프로판의 탈수소과정에 선택적인 촉매임을 알았다. Conversion of propane to acrylonitrile via ammoxidation was studied using physically mixed catalysts composed of Nb₂O_5(10∼30 wt%) and V_(0.4)Mo₁Te_(0.1). Catalytic activities of ammoxidation were improved by adding strong acidic niobium oxide to V_(0.4)Mo₁Te_(0.1), the selectivities to acrylonitrile+propylene being remained constant. The maximum activity was obtained at the mixing ratio 25 wt% niobium oxide in Nb₂O_5-V_(0.4)Mo₁Te_(0.1). Niobium oxide was found to be a selective catalyst for the oxidative dehydrogenation of propane.

      • KCI등재

        외상성 뇌손상 후의 불안장애

        김영철,Kim, Young-Chul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0 생물정신의학 Vol.7 No.1

        외상성 뇌손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강박장애, 공포장애 등의 불안장애가 비교적 흔히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빈발하는 불안장애인데 비해 의사들로부터 적절하게 관심을 받지도 못했으며 치료받지도 못하였다. 외상성 뇌손상 후 불안장애는 뇌손상 자체에 의해, 뇌손상과 기능상실에 대한 환자 또는 간호인의 반응에 의해 증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지속되기도 한다. 의사는 이들 환자들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우선 뇌손상의 기전과 양상에 대해 지식이 있어야 하며, 불안증상을 호소하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이해하고 수용하고 지지해주는 태도를 취해야 하며, 불안증상이 뇌손상에 의한 것인지 통상적인 불안 증상인지 확인해야 한다. 이들 뇌손상 환자들은 약물의 부작용에 아주 취약하기 때문에 약물치료시에는 약물의 작용기전은 말할 것도 없고 부작용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Traumatic brain injury(TBI)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a risk factor for psychiatric disorders, especially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Despite the anxiety disorders are frequent sequelae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the patients have not been payed medical attention and treated by doctors properly. The factors of precipitating and sustaining the anxiety disorders after TBI are brain injury itself, and the patient's or caregiver's response to the disability after TBI. To diagnose and treat them effectively, the knowledge about the mechanisms of and symptoms after TBI have to be needed. Psychiatrist should be a supportive and good listener to the patients who are complaining anxiety symptoms and differentiate whether the psychiatric symptoms are due to TBI or not. Because the TBI patients are very sensitive to drug side effects, doctors have to be familiar with the side effects as well as the mechanisms of action of the common psychotropics.

      • KCI등재

        XML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트리 기반 문서 편집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영철,강춘길,Kim, Young-Chul,Kang, Chun-Kil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1 No.4

        본 논문에서는 구조 중심형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트리기반 XML 어플리케이션 문서 편집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하여 논의한다. 본 시스템은 DTD를 ASTD( Syntax Tree Definition)로 변환하여 내장하는 구조로서 잘 설계된(well-formed) 문서는 물론 편집 중에 유효한(valid) 문서를 작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문 지향 편집(syntax-directed editing)을 지원한다. 또한 구조 중심형 환경에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편집기를 설계함에 있어 새로운 도구의 추가로 인한 기능 확장이 용이하도록 고려하였으며, 편집기의 구현 시 기존의 문법 검증에 대한 비효율성을 감안하여 다중 엔트리(multiple entry)를 적용한 파서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유효성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XML 문서 편집 시스템의 개발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describe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tree-based document editing system for XML application, available at the structure-oriented environment. This system converts DTD to ASTD( Syntax Tree Definition) to support syntax-directed editing for valid document, considers the extensibility to add new tools and supports multiple entry parser for real-time document valid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contributes related XML application document editing system development model.

      • KCI등재

        노인 우울증 환자의 진단에서 뇌 SPECT의 효율성

        김영철,Kim, Young-Chul 대한수면의학회 1994 수면·정신생리 Vol.1 No.2

        Primary depression with cognitive impairment, referred to as depressive pseudodementia, may be mistaken for a progressive degenerative dementia. Recognition of primary depression is clinically important because of its treatability. To differentiate depression from degenerative dementia, author used brain SPECT. By the result th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rCBF) in elderly depressed patient was decreased in the right frontal cortex. The pattern of rCBF was different from that of dementia which shows decreased rCBF in bifrontal cortex. By using brain SPECT in depressed elderly patient with cognitive impairment, the discrimination from dementia will be more effective and accu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