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子’계열 한자어에서 기원한 만주어 ‘-se’계열 단어에 대한 연구 - HMB(『御製淸文鑑』)에 등재된 어휘를 중심으로 -

        여채려 ( Yu¸ Cai-li·kim ),김양진 ( Ryang-ji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5

        본고는 ‘-se’ 로 끝나는 만주어 가운데 ‘X子’ 계열 한자어에서 기원 한 단어를 찾아 정리해 보고 그 단어의 제 양상 및 특징을 살펴보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만주어를 만주어로 풀이한 만주어 사전 HMB(1708, 『御製淸文鑑』)로부터 ‘-se’로 끝나는 만주어 ‘Xse’ 중 ‘X子’ 계열 한자어와 대응 관계가 있을 만 한 단어를 검색하여 1차 목록을 만들었다. 이렇게 추출한 1차 목록을 대상으로 하여, 『御製增訂淸文鑑』(1771)에 실린 만주어의 대역 한자 표제어나 여타의 만한합벽(滿漢合壁)의 문헌들로부터 이들 단어와 관련이 있을 한자어를 찾아 유형별로 비교 검토함으로써 이 만주어 단어들 속에 포함된 ‘-se’가 한자 접미사 ‘-子’와 관련되어 있을 개연성을 타진 하였다. 그 결과, 만주어 ‘-se’는 적지 않은 정도로 ‘-子’의 문법적인 의미와 대응됨을 확 인할 수 있었다. 본래 한자어 ‘-子’계열 단어에서 기원한 ‘-se’계열 한자어들은 어휘복제 (lexical replication)의 기제에 따라 만주어뿐만 아니라 한국어, 몽골어, 돌궐어 등 북방 알타이제어에 폭넓게 받아들여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nchurian words ending in ‘-se’ which originated from Chinese words ‘X子’. To this end, firstly, the primary list of Manchurian words ‘Xse’ that likely to be correlated to Chinese words ‘X子’ was found and organized in the Manchu dictionary of HMB(1708, 『Yuzhi Qingwen Jian』). And then, this primary words list was classified and th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Manchu ‘-se’ and the Chinese suffix ‘-zi’ was examined by comparing and reviewing Chinese words in 『Yuzhi Zengding Qingwen Jian』(1771). As a result, ‘-se’ was viewed as the grammatical meaning and correspondence of ‘-zi’ to a considerable extent. The words of ‘Xse’ which originated from Chinese words ‘X子’ were widely accepted not only in Manchu but also in northern Altai language such as Korean, Mongolian, and Turkish, according to the mechanism of lexical replication.

      • KCI등재

        한국어의 형태와 형태소

        김양진 ( Kim Ryang-jin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1 No.-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형태 목록과 형태소 목록을 만들어낼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어의 형태소 목록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어의 가능한 형태 목록을 만들고 그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형태 구조 조건을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 한국어의 형태 구조가 확인되고 그 가운데 ‘형태소’의 자격을 갖출 수 있는 ‘형태’의 목록이 제한되어야 ‘형태’와 ‘형태소’의 상관 관계를 본격적으로 논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먼저 형태와 형태소가 일치하지 않으며 일치할 필요가 없음을 한국어의 예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형태와 형태소의 불일치에는 화합형태의 문제나 보충법 형태소, 영형태, 공형태의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내포되어 있으나 언어의 공시태 안에 다양한 이질적 방언 그룹의 언어와 어휘 형태들이 포함되면서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방언간 통합의 문제나 문자의 한계에 따른 표기법의 부족이 불완전한 표기, 이른바 불규칙 현상을 만들어내는 문자론적 이형태 발생의 문제에 따른 것도 포함된다. 이러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형태와 형태소의 불일치들이 걷어지고 난 뒤에야 한국어의 실제적 형태 목록이 확정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first look at how to create morph and morpheme lists from the Korean words. In order to set up a list of Korean Morphem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list of Korean morphs according to the Korean morphological structure condition. It is checked this way because the Korean morphological structure confirms and restricts the list of ‘morph forms’ that can qualify as ‘morphem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ph’ and ‘morpheme’ can be fully addressed. In this paper, we first compare the Korean examples of morph and morphemes but they do not match and there is no need for that. These discrepancies of morph and morpheme include various problems such as harmony morph type, supplemental morpheme, null morph and empty morph. In addition, the language and vocabulary forms of various heterogeneous dialect groups are included in the dialect of language, and the incomplete notation, that is, the irregularity due to the lack of character in restriction of the writing, but also by the problem of the creation of the literal stereotype. Once the discrepancies of morph and morpheme in various aspects are removed, you can put together a more thorough and confirmed Korean lis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춘천의 초기 지명 ‘烏斤乃’를 찾아서

        김양진 ( Kim Ryang-jin ) 한국지명학회 2024 지명학 Vol.40 No.-

        이 논문에서는 ‘춘천(春川)’의 지명 어원을 밝히되 특히 초기 지명 가운데 미해독어였던 ‘烏斤乃’에 대한 필자 나름의 해독을 시도해 보았다. 되도록 역사적 해석보다는 언어학적 해석에 주안점을 두고 차자표기와 한자어 운용의 지식만을 가지고 기존의 해석과는 구별되는 새로운 해석을 하려고 시도해 본 것이다. 먼저 춘천의 초기 지명 ‘우수주(牛首州)’를 고구려 지명 ‘首若州’, ‘首次若州’ 및 통일신라 지명 ‘朔州’ 등의 지명 이표기와 연결하여 해석해 보고 이들을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후대인 고려시대에 명명된 ‘春州’, 조선시대의 ‘春川’과 백제 시기의 지명인 ‘주양(走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명이 ‘슟[소]+나[땅]’의 구성에서 근거한 ‘슌나’에 어원적 기반을 두고 지명이 형성되었다고 보았다. 이러한 해석의 연장선상에서 ‘烏斤乃’ 역시 ‘슟나’에 대한 이표기로서 [쥰나]를 표기한 말일 가능성을 찾아 보았다. In this paper, I aim to elucidate the etymology of the place name ‘Chuncheon (春川)’, with a particular focus on my own interpretation of the previously undeciphered early name ‘烏斤乃 (ogeunae)’. Instead of historical interpretations, I emphasize linguistic analysis, attempting to offer a new interpretation distinct from existing ones by utilizing only the knowledge of phonetic transcription and th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Initially, I interpret the early name of Chuncheon, ‘Usuju (牛首州)’, by linking it to the Goguryeo place names ‘Suyakju (首若州)’, ‘Suchayakju (首次若州)’, and the Unified Silla place name ‘Sakju (朔州)’. Including these, I consider the various names such as ‘Chunju (春州)’ from the Goryeo period, ‘Chuncheon (春川)’ from the Joseon period, and ‘Juyang (走壤)’ from the Baekje period, as having originated from the structure ‘Sut[so]+na[land]’, forming the etymological basis for the name ‘Sunna’. In this interpretative context, I als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烏斤乃 (ogeunae)’ was a variant transcription of ‘Shuchna’ [sunna].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 지식인들의 청대(淸代) 만주어(滿洲語) 수용 연구

        김양진 ( Ryang Jin Kim ),신상현 ( Sang Hyun Shin ) 한국실학학회 2015 한국실학연구 Vol.0 No.30

        이 논문은 청대 만주어가 어떠한 양상으로 조선에 수용되었는지에 대해 고찰한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조선에서의 滿洲語(淸語) 수용 과정과 그 실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실상이 조선 지식인들의 관점에서 어떻게 자기화 하여 받아들여졌는지를 알아보았다. 조선의 만주어에 대한 초기의 인식은 정묘호란(1627)과 병자호란(1636)을 겪으면서 만주족과의 교류를 통하여 시작되었다. 당시에 만주족은 기존의 여진문자를 버리고 새로 도입한 有圈點만주문자로 만주어를 표기하였는데, 조선에서는 이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점차 만주어 이해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司譯院을 중심으로 교육 체제를 갖추고, 만주어 구사자를 확산시켜 나갔다. 그리고 만주어 확산을 위해 만주어 학습서를 편찬하여 간행하게 되는데, 이를 주도한 사람은 申繼暗이었으며, 그가 편찬한 만주어 학습서는 그 뒤에 개정을 거듭하여 『八歲兒』·『小兒論』·『三譯總解』·『淸語老乞大』로 이루어진 < 淸學四書 >로도 불리는 『淸語總解』(1703)로 발전하게 되며, 조선말까지 만주어 학습서의 근간을 이룬다. 한편 청나라는 만주어의 문화어 격상과 보급을 위해 『御製淸文鑑』이라고 불리우는 백과사전식 만주어 사전인 Han i araha manju gisun i buleku bithe(HMB, 1708)를 간행하게 되고, 乾隆36년(1771)에 이르러서는 증보판인 『御製增訂淸文鑑』이편찬된다. 조선에서는 淸學檢察官金振夏등이 『어제증정청문감』을 저본으로 한문과 한글로 뜻을 달고 한글로 만주어 발음을 표기하여 『漢淸文鑑』(1779)을 간행하게 된다. 이후로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만주어에 대한 표준은 『한청문감』을 통해 제시되었다. 그리고 조선후기 지식인들은 이렇게 편찬된 『한청문감』을 통하여 청나라의 지식체계를 수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는데, 만주어로 기록된 백과사전식 지식체계를 바탕으로 자신들의 지식 체계를 구축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한다. 그 대표적인 학자로 星湖李瀷을 비롯하여 靑莊館李德懋, 茶山丁若鏞, 李圭景등이다. 이들은 『한청문감』과 『어제증정청문감』의 만주어 지식 내용을 인용하여 새로운 만주어휘를 비롯하여 物名, 人名, 度量衡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고증 작업에 활용하였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병자호란 이후의 조선은 내적 논리는 명나라에 대한 명분론이 앞섰으나, 그 실제에 있어서는 청나라를 중심으로 하는 동북아시아의 문화적 재편에 빠르게 흡수되어 갔음을 청대 만주어의 수용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바탕에는 사역원을 중심으로 한 만주어 通事및 만주어 구사자 양성, 만주어 학습서인 『청어총해』(1703)와 『한청문감』(1779)의 간행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HMB(1708)와 『어제증정청문감』(1771)의 출간과 맞물리면서 청나라의 만주어 규범화 정책 및 확산 정책이 조선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되었는 지를 잘 말해주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tudy on Aspect of Acceptance of Machu Language in the Joseon(朝鮮) Dynasty. First for this purpose, understood the social and cultural facts about the Machu Language of Joseon government and intellectuals. Next, investigated how Joseon government and intellectuals accepted these facts as a viewpoint of themselves. First stage’s recognition about Manchu Language began to interact with the Manchu People after the First Manchu Invasion of 1627(丁卯胡亂) and the 2nd Manchu Invasion of 1636(丙子胡亂). At that time, Manchu People using new script that was convert the Mongolian alphabet to make it suitable for the Manchu people by Dahai(達海), known as “tongki fuka sindaha hergen”(有圈點滿洲文字, script with dots and circles). Nevertheless, Joseon government and intellectuals did not understand almost the new script. But the necessity of the understanding about Machu Language is risen gradually, so trained who can speak Machu Language having an education setup Sayeokwon(司譯院) centered. And published textbooks for the spread of Machu Language by Shin Kye-Am(申繼暗), it was revised the Chengeo Chonghae(淸語總解), so calledChenghak Saseo(淸學四書). Meanwhile, Knagxi(康熙) issued a royal command to compile Manchu Language dictionary of Yuzhi Qingwenjian(御製淸文鑑, Han i araha manju gisun i buleku bithe) at 1708, it was revisedYuzhi Zengding Qingwenjian(御製增訂淸文鑑) by Qianlong(乾隆) at 1771. In Joseon, based on Yuzhi Zengding Qingwenjian, compiled Hancheng Mungam(漢淸文鑑) at 1779, since it provided the standard of Manchu Language and Knowledge to Joseon intellectuals. Besides, Manchu Language and Knowledge which is accepted to such aspect, they begin to use for knowledge system setup, and to research philologically and linguistically in a variety of areas. Fore example, Yi Ik(李瀷), Yi Deuk-Moo(李德懋), Jeong Yak-Yong(丁若鏞), Yi Kyu-Gyong(李圭景), and so on. As such facts, we can understand through acceptance process of Language and Knowledge that after the 2nd Manchu Invasion of 1636(丙子胡亂) Joseon Society and Joseon intellectuals be culturally assimilated the Qing Dynasty. It is based on training of Machu Language speaker having an education setup Sayeokwon centered and publishing of Chengeo Chonghae (淸語總解), Hancheng Mungam(漢淸文鑑).

      • KCI등재

        민간주도형 백과사전식 국어대사전 편찬 특징에 대하여 : 사전편찬가의 구술 증언 분석을 중심으로

        김양진(Kim Ryang-jin),오새내(Oh saenae) 한국사전학회 2010 한국사전학 Vol.- No.16

        This paper investigated making history of Korean commercial encyclopedic dictionary in 20th century.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explore a methodology for dictionary making. Oral history interviews are a key source for interpreting the methodology because sources of dictionaries have disappeared. Interviews with practical lexicographers who took part in dictionary making reveal how encyclopedic dictionaries compiled. First of all, dictionary makers make effort to increase the size of dictionary. Entries added encyclopedic information. The sources of the information are established encyclopedia and technical texts. They were aimed minimum volume and maximum entries. A few skillful lexicographers’ intuition was most important resources. Commonly,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was organized one or two special lexicographer and a large number of editors and copyeditors. Finally, Dictionaries' orthograph and part of speech were subordinated to Korean government language policy.

      • KCI등재

        착하다'의 어휘사

        김양진(Kim Ryang jin) 한국언어문학회 2015 한국언어문학 Vol.93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lexical history of 'chak-hada[착하다]'. The paper dealt with the provenance of 'chak-hada[착하다]' by analyzing the literary appearance of 'chak-hada[착하다]' and a variety of changes in lexical meanings. 'chak-hada[착하다]' is first appeared in Seogungilgi[셔궁일긔] and Kyechukilgi[계튝일기] as with '착'. Many of the linguistic evidences are showed that these books are assisted or recreated at least after 1600 years. Therefore, this paper has examined that the first appearance of '착다' found in Manchu language which has a great effect on Middle Korean is possible. Especially, like the word phrase 'cak sere'. and also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cak sere' was changed the meaning from 'commendable, peculiar, strict' to 'lift up to adult's expectations' go through 'be worth satisfying one's expectations' which is the meaning of Modern Korean. Going forward, enter into Modern Korean 'chak-hada[착하다]' has undergone a variety of changes in lexical meanings. The paper pointed out the opaqueness of incomplete root 'Chak[착]' in 'chak-hada[착하다]' for the important cause of the meaning change.

      • KCI등재

        접두사 ‘쇠-, 돌-, 알-, 애-’의 사전처리에 대하여

        김양진(Kim Ryang-Jin) 한국사전학회 2004 한국사전학 Vol.- No.3

        This thesis has its purpose to indicate solutions about unity of morpheme interpretation on prefix ‘sø, dol-, al-, ae-’ in Korean dictionary which has lexical meanings. When a luinguistic form is registered in a dictionary, studies on its etymological interpretation and substantial interpretation should be completed previously. Studies on current meaning changes of a prefix should follow and lemma in Korean dictionary should be decided after differences of meaning and function between past and current forms are considered.

      • KCI우수등재

        (해례본)『훈민정음』의 오행(五行)과 오방(五方), 오음1(五音), 오음2(五音), 오상(五常), 오장(五臟) 등의 상관성 연구

        김양진(Kim, Ryang-jin)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4

        이 논문에서는 (해례본)『훈민정음』에 반영되어 있는 음양오행 이론에서의 오행(五行)과 오방(五方), 오음1(五音), 오음2(五音), 오상(五常), 오장(五臟) 및 사계(四季) 등의 상관성 및 체계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해례본)『훈민정음』에서 오행과 오음1, 오음2, 오상, 오장 및 오방과 사계 등은 일관된 철학적 관점과 잘로 짜여진 틀 안에서 사개 맞게 계산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바로 (해례본)『훈민정음』〈제자해〉 첫 구절에서의 ‘天地之道 一陰陽五行而已(천지의 도는 한번 음하고 한번 양한 오행(五行)일 뿐’이라는 관점으로, ‘2(음양)*5(오행)=10(십간)’의 수적, 방위적 질서를 따른다. (해례본)『훈민정음』〈제자해〉의 작성자들은 오행을 배열하는 데 〈太極圖〉에 제시된 오행 배열의 세 가지 순서 시생지서, 기지서, 질지서 중, 기지서(氣之序)의 순서를 기본으로 하였는데, 이에 따라 오행(五行)뿐 아니라 오상(五常)-오음1(五音)-오음2(五音)-오방(五方)-오장(五臟)-사계절(四季節) 등의 순서도 모두 ‘기지서(氣之序)’의 논리에 따라 ‘목-화-토-금-수’의 배열 순서를 반영하여 설명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In this paper,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陰陽五行理論) discussed the correlation and systematicity between the Five Elements(五行), and also between the Five Sounds(五音1), the Five Rhymes(五音2), the Five Constant virtues(五常), the Five Organs(五臟), the Five Directions(五方), and the Four Seasons(四季) reflected in Hunminjeongeum (Haeryebon). In Hunminjeongeum (Haeryebon), the above are thoroughly constructed from a singl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It follows the order of the first sentence of “Jejahae” in Hunminjeongeum (Haeryebon), which means Tao in the world is just the Five Elements with “eum” and “yang” (天地之道 一陰陽五行而已). By the creators of “Jejahae” in Hunminjeongeum (Haeryebon), everything was arranged according to “the order of qì (氣之序)” in three order of the arrangement of the Five Elements presented in “Tai Chi Diagram (太極圖),” that is the order of shǐ shēng(始生之序), the order of qì (氣之序), the order of zhì (質之序). In particular, not only the five elements(五行), but also the five sounds(五音1), the five rhymes(五音2), the five constant virtues(五常), the five organs(五臟), the five directions(五方), the four seasons(四季) have all been described reflecting this alternative order of ‘tree(木)-fire(火)-earth (土)-metal(金)-water(水).’ This will be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qì’ (氣之序).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