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동일 이미지 판별을 위해 Faster D2-Net을 이용한이미지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방법

        전혜원,조민석,한성수,정창성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1 No.2

        Image-based application testing proposes an application testing method via image structure comparison. This test method allows testingon various devices without relying on various types of device operating systems or GUI. Traditional studies required the creation of a testerfor each variant in the existing case, because it differs from the correct image for operating system changes, screen animation execution,and resolution changes. The study determined that the screen is the same for variations. The tester compares the underlying structure ofthe objects in the two images and extracts the regions in which the differences exist in the images, and compares image similarity ascharacteristic points of the Faster D2-Net. The development of the Faster D2-Net reduced the number of operations and spatial lossescompared to the D2-Net, making it suitable for extracting features from application images and reducing test performance time. 이미지 기반 애플리케이션 테스트는 이미지 구조 비교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방법을 제안한다. 이 연구는 다양한 디바이스 운영체제의종류나 GUI에 의존 없이 다양한 기기에서 테스트가 가능하다. 기존 연구는 운영체제 변경, 화면상의 애니메이션 실행 그리고 해상도 변경의 경우정답 이미지와 달라지기 때문에 기존의 경우 각각 변형마다 테스터를 생성해야 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운영체제 변경, 해상도 크기의 변경, 화면상의애니메이션 실행과 같은 변화가 발생해도 동일한 기준으로 판별하기 때문에 하나의 테스터로 테스트할 수 있다. 두 이미지의 객체들의 기본 구조를비교하고 이미지에 차이가 존재하는 영역을 추출해서 Faster D2-Net의 특징점으로 이미지 유사성을 비교한다. Faster D2-Net 개발로 D2-Net보다연산의 수와 공간적 손실을 줄여 애플리케이션 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기 적합하고 수행 시간 단축이 가능했다.

      • KCI등재

        한국인의 세대별 복지태도지형 탐색 연구

        김신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이 연구는 한국인의 세대별 복지태도 지형에 대한 탐색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현재를 살아가는 한국인이 가지는 복지에 대한 태도 측면이 세대에 의해 어떻게 분화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데 집중하고 자 한다. 분산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복지지출 확대에 대한지지’, ‘사회서비스 대상(보편 vs 선별)’, ‘교육지출 확대’, ‘주거지원 확대’, ‘양육 및 보육 지원’, ‘청년사회활동지원’, ‘실업 및 고용지원’에서 세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비교(post hoc comparison)분석에 따르면, 모든 변수들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20-30대’와 ‘60대 이상’ 집단 간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일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문제 해결의 1순위’의 경우 ‘20-30대’는 ‘양육 및 보육’, ‘실업문제’, 주거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으며, ’60세 이상’ 세대는 ‘빈곤문제’와 ‘노후생활문제’, 그리고 ‘장애인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문제 해결의 2순위’의 경우, ‘20-30대’는 ‘양육 및 보육’,과 ‘주거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으며, ‘40-50대’는 ‘빈곤문제’와 ‘노후생활문제’, ‘60세 이 상’ 세대는 ‘건강 및 의료문제’ 및 ‘장애인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urports to depict the generational topography of welfare attitudes of Korean people. Three generational groups are made for analytical purpose, ‘between 20-39 age group’, ‘between 40-59 age group’, and ‘60 and older’. Two major statistical techniques are used,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spondence analysis. The analysis of variance shows that the respondents’ attitudes upon ‘social services target(universal vs selective)’, ‘education’, ‘housing’, ‘child-care’, ‘youth support’, and ‘employment’ varies significantly by age groups. Correspondence analysis also shows that ‘between 20-39 age group’ is located with proximity with ‘child-care’, ‘employment’, and ‘housing’, while ‘60 and older’ is located with ‘poverty’ and ‘old age life care’. Clearly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generational difference on welfare consciousness in many areas of social policy. Overall, the results show that significant generational differences with regard to welfare attitudes clearly exist in current Korean society.

      • KCI등재

        코기둥에 발생한 사구종 1례 보고

        김신영,박선희,변준희 대한성형외과학회 2011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38 No.3

        Purpose: Glomus tumor is a benign neoplasm of the normal glomus body, occurring as painful subcutaneous nodules, frequently located in the subungual area. There are few cases of facial glomus tumor reported and we report a case of glomus tumor developing on the columella of nose. Methods: A 68-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a mass of the columella grown for 2 years. The nodule was 0.6 cm in diameter, red-colored without any symptoms such as pain, tenderness and cold hypersensitivity. The pathologic result after punch biopsy was hemangiopericytoma. Excision with local anesthesia was executed. Results: The postoperative recovery of the patient was uneventful,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indicated a glomus tumor. Immunostaining revealed positivity for vimentin, actin, and negativity for desmin, CD-34. After 8 months follow up, there is neither complication nor evidence of local recurrence on clinical examination. Conclusion: To accomplish an accurate diagnosis of glomus tumor, th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is essential together with immunochemical studies. The differential diagnosis include hemangioma, lipoma, epidermal inclusion cyst, dermoid cyst and arteriovenous malformation in this region. We report a case of glomus tumor on the face with uncommon clinical features.

      • KCI등재후보

        Angiolipoma of the Breast: A Case Report

        김신영,김형환,Eui Han Kim,김성용,Sung Shick Jou,한종규,Young Tong Kim 한국유방암학회 2009 Journal of breast cancer Vol.12 No.4

        An angiolipoma is a common mixed connective tissue tumor that commonly occurs in the trunk and extremities, and has been rarely reported in the breast. It is a benign variant of a lipoma that shows various appearances on mammography. It is usually seen with a well circumscribed homogeneously hyperechoic pattern on ultrasound. We report a rare case of an angiolipoma of the breast with no definite abnormality on mammography, appearing as an irregular homogeneously hyperechoic lesion on ultrasound.

      • KCI등재

        Comparison of Knowledge Levels Required for SNOMED CT Coding of Diagnosis and Operation Names in Clinical Records

        김신영,김형회,신경화,김화선,이재일,최병관 대한의료정보학회 2012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18 No.3

        Objectives: Coding 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 Clinical Terms (SNOMED CT) with complex and polysemy clinical terms may ask coder to have a high level of knowledge of clinical domains, but with simpler clinical terms, coding may require only simpler knowledg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quantitatively showing the relation between domain knowledge and coding ability. So, we tried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areas. Methods: We extracted diagnosis and operation names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a university hospital for 500 ophthalmology and 500 neurosurgery patients. The coding process involved one ophthalmologist, one neurosurgeon, and one medical record technician who had no experience of SNOMED coding, without limitation to accessing of data for coding. The coding results and domain knowledge were compared. Results: 705 and 576 diagnoses, and 500 and 629 operation names from ophthalmology and neurosurgery, were enrolled, respectively. The physicians showed higher performance in coding than in MRT for all domains; all specialist physicians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in domains of their own departments. All three coders showed statistically better coding rates in diagnosis than in operation names (p < 0.001). Conclusions: Performance of SNOMED coding with clinical terms is strongly related to the knowledge level of the domain and the complexity of the clinical terms. Physicians who generate clinical data can be the best potential candidates as excellent coders from the aspect of coding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아 도덕성 관련 학위논문 및 학술지 연구동향 고찰

        김신영,곽승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studies going forward in both the sphere of early childhood morality an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the degrees theses and academic pape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morality. To this end, a total of 193 papers published in theses for master's degrees and doctor's degrees on child morality and the KCI-registered academic journa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which analyzed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ubjects from 1983-2018. As a result, first, research was conducted steadily from 1996 to 2015, and the theses for master's degree were the most significant. Second, the most frequently studied subjects were young children, with a high percentage of those aged 5 years old. Quantitative research type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types, resulting in the highest ratio of the inspection method to the data collection method and the difference analysis method in regards to the data analysis method. Finally, the trend of the paper on early childhood morality under the subject of research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of the topics related to moral factors and also the most frequent of the studies dealing with moral judgment. Through the results, we could understand comprehensively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mor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raw implications for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and topics for follow-up research. 본 연구는 유아 도덕성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 장에서 유아 도덕성 관련 연구 및 유아 도덕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83년-2018년까지 유아 도덕성 관련 석ㆍ박사 학위논문과 KCI 등재 학술지에 발 표된 논문 총 193편을 연구시기, 연구방법, 연구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1996 년부터 2015년까지 유아도덕성 관련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졌으며, 석사 학위논문이 가장 높 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은 유아를 대상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그 중 만 5세 대상 연구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연구유형은 양적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자료수 집방법에서는 검사법이, 자료분석방법에서는 차이 분석이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다. 마지막 으로 연구주제에 따른 분석결과 도덕성 요소와 관련된 주제들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도덕 성 요소 중 도덕적 판단력을 다룬 연구가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통해 유아 교육분야에서 수행되어온 도덕성 관련 연구동향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후속연구 를 위한 연구방법 및 연구주제 다각화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김신영 통계청 2013 통계연구 Vol.18 No.1

        수적으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긴 하나 한국의 베이비붐세대는 명백한 정체성을 부여 받은 적도 없고 또한 소위 ‘386 세대’에서 나타나는 동세대인으로서의 동질감도 찾아보기 힘들다. 여기에는 베이비붐 세대의 실체, 이들의 삶과 의식을 조망해보고자 하는 노력의 부족 또한 기여를 했음은 부인할 수 없다. 이 연구는 판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베이비 붐 세대와 노령 세대가 질적으로 다른 집단인지 여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문화적 활동,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고급문화향유와 관련된 문화적 의식 및 활동정도가 주요 독립변수로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문화적 활동 측면에서의 차이는 두 세대를 구분하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고급음식문화에 대한 태도와 문화활동에 대한 선호 등 두 변수는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를 유의하게 판별하였다. Although so-called the babyboom generation has well known from their birth cohorts, a number of questions have also arisen regarding their socio-political status as a generation.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effects of high-class cultural activities upon discriminating babyboom generation and old-age generations. Utilizing national sample survey data collected in 2011, discriminant analysis shows that high-class cultural activities of the respondents significantly differentiate babyboom generations from old-age generation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babyboom generation are qualitatively different groups from old-age generations at least from cultur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