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차원척도법에 의한 기업이미지 제고를 위한 소셜미디어 활용방안

        김수현,이한준,서용무,한진영,Kim, Suhyun,Lee, Hanjun,Suh, Yongmoo,Han, Jinyoung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3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4 No.3

        소셜미디어 사용자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소셜미디어가 마케팅 도구로서 갖는 가치 또한 부각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마케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소셜미디어의 종류는 다양하고 소셜미디어별 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기업이 추구하는 목적에 적합한 소셜미디어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소셜미디어인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블로그, 유튜브, 싸이월드, 미투데이에 대한 이미지 포지셔닝 분석을 실시하여, 각 소셜미디어에 대해서 사용자들이 어떠한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의 신뢰성 이미지와 기술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는 페이스북과 트위터가 비교우위에 있었으며 기업의 마케팅 이미지와 장래성 이미지, 종합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는 네이버 블로그를 활용했을 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기업 마케팅 전략 수립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ocial media is drawing attention among companies for its potential as a marketing tool. There are many types of social media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varied, and thus choosing the appropriate social media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company is important. In this paper, we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opular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Twitter, Naver blog, Youtube, Cyworld and Me2day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enhancing diverse dimensions of corporate image among social media. This result can be used in developing social media based marketing strategy.

      • 추출격자 분포 브래그 반사기가 집적된 광대역 파장가변 추출격자 분포 궤환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가변 특성해석

        김수현,정영철,Kim, Suhyun,Chung, Youngchul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2 No.10

        본 논문에서는 추출격자 분포 브래그 반사기 (SGDBR: Sampled Grat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가 집적된 추출격자 분포 궤환 (SGDFB : Sampled Grating Distributed Feedback)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가변 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SGDFB 영역에 있는 위상제어 영역의 길이는 출력 광 파워와 파장가변 범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자의 길이와 단면에서의 반사계수 및 단면의 위치에 의해 전체적인 파장가변 범위가 많은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analyzed tuning characteristics of the widely tunable SGDFB laser diode integrated with SGDBR. The improved time-domain model is used to analyse the laser diode. From the numerical analysis, the length of phase control region in the SGDFB section influences on the output power and the tuning range.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tuning range is affected by the length of the laser diode, the residual reflectivity at the facet, and the position of the facet.

      • 석탄 합성가스를 이용한 온도 및 압력변화에 대한 메탄화 반응 특성

        김수현(Kim, Suhyun),유영돈(Yoo, Youngdon),류재홍(Ryu, Jaehong),변창대(Byun, Changdae),임효준(Lim, Hyojun),김형택(Kim, Hyungtaek)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석탄가스화로부터 얻어진 합성가스는 CO, H₂가 주성분으로, 그 자체를 연료로 사용하여 발전을 하거나 또는 적절한 정제, 분리 및 합성을 통해 다양한 원료물질을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석탄의 청정 사용 기술은 최근의 에너지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고유가 현상 및 석유자원 고갈에 대비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석유를 대체할 에너지원으로서 석탄을 이용하는 다양한 응용 방법 중의 하나로 가스화 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합성가스를 이용한 SNG 제조 공정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석탄 등의 고체 시료를 이용하여 메탄이 주성분인 연료가스를 생산하는 것이다. SNG(Synthesis Natural Gas 또는Substitute Natural Gas)는 합성천연가스 또는 대체천연가스로 불리어지는데 주로 석탄의 가스화를 통해 얻어진 합성가스(syngas 또는 synthesis gas)인 CO, H₂를 촉매에 의한 합성반응을 통해 얻을 수 있다. SNG 합성 반응(메탄화 반응)은 보통 수성가스 전환 공정과 가스 정제 공정을 거친 합성가스를 CH₄로 전환하는 것으로 석탄을 이용한 SNG 제조 공정에서 가장 핵심 공정인 메탄화 반응은 높은 발열반응으로 주로 니켈 촉매를 사용하며 250{sim}400?C에서 반응이 이루어진다. SNG 합성 반응은 공급되는 합성가스의 조성(H₂/CO 비), 공급되는 합성가스의 유량과 반응기에 충진된 촉매의 부피와의 관계를 나타낸 공간속도, 반응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반응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가스화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합성가스를 이용한 SNG 합성반응(메탄화 반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Lab-scale 규모의 고정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Ni 함량이 다른 2종류의 촉매를 대상으로 반응온도 및 압력에 따른 CO 전환율, CH₄ 선택도, CH₄ 생산성 변화를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 반응기의 온도가 350도 이상의 조건에서 CO 전환율은 99.8%이상, CH₄ 선택도는 90.7%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공간속도가 2,000 1/h 이상의 조건에서는 CH₄ 생산성이 500 ml/g-cat, h을 만족하였다.

      • KCI등재

        헤르만 헤르츠버거 집합주택에 나타나는 공성(公性)과 사성(私性) 특성 연구

        김수현 ( Suhyun Kim ),윤재은 ( 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도시 건축은 재개발, 재건축을 시작으로 2000년대 이후에 다세대 주택과 함께 공동체 마을 개념이 확산되었다. 그동안의 주거 부족을 해소하기 위하여 획일화 공급된 아파트가 공동체의식과 함께 격리되어 왔음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인식의 전환점에 있는 지금, 공동체 회복을 위한 노력은 정부와 민간업체만의 몫이 아니라고 보았다. 이미 집합주택이 발달되어 있는 유럽에서는 모든 사람이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는 자발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거주자의 참여를 통한 건축이 완성된 건축임을 증명하고 있는 헤르만 헤르츠버거의 집합주택 사례를 통하여 공성(公性)과 사성(私性)의 공간특성을 도출하고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먼저 현재의 공성과 사성의 개념을 이해하고, 헤르츠버거의 공성과 사성의 사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크리스토퍼 알렉산더, 오스카 뉴먼, 하브라켄의 이론가들이 건축과 인간관계를 개선하고 연결하고자 하였던 위계성, 영역성, 행태성의 요소를 공성과 사성의 영역으로 보고 접근 방법을 고찰하였다. 고찰한 3가지 요소가 헤르츠버거의 집합주택 건축 공간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효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과거 공성과 사성은 건축가가 설정한 물리적 경계에서 나타나는 이분법적 성격을 지녔지만, 근대 이후 집합주거의 확산은 행위에 의하여 영역을 만들고 확산되면서 경계가 모호해졌다. 이러한 영역의 관계성은 건축 설계 시부터 고려되어 거주자들로 하여금 연계되어야 한다는 이론가들의 공통된 생각을 알 수 있다. 헤르츠버거는 구조 범위 내에서 거주자의 경험과 결정이 다의적 해석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소속감을 고취 시켜 연속적 영역 조화를 이룬다고 정의하였다. 이에 도출된 헤르츠버거의 집합주택 건축의 위계성은 면의 이동이 사이 영역을 형성하여 거주자에 의하여 목적에 맞는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영역성은 거주자가 의미 부여한 매개 요소 외에도 의도된 건축 설계에서 내·외부의 자연스러운 시야 연결이 공성과 사성을 연결하였다. 이러한 거주자의 행태성은 헤르츠버거가 건축 설계 시작 단계부터 모듈을 통한 예측 가능한 질서 확립 구조가 다양한 행동을 유도하였고, 결과적으로 미완성 건축을 완성시켜 나갔다. (결론)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헤르츠버거의 집합주택 공성은 건축가에 의하여 제공된 규제 공간 속에서 필연적인 만남이 이루어졌으며, 자발적인 공동체 의식이 유지되었을 때 완성되었다. 이것은 공성과 사성을 이어주는 매개 요소가 거주자에 의하여 의미를 부여받아 영역의 깊이를 조절하였다. 집합주택에서 저층이 고층보다 겪는 사생활적 형평성 문제도 매개 요소의 활용에 따라 차별을 완화하였다. 그러므로 사성의 영역은 보장받되 확대해 나갈 수 있는 유동적 공간이 되었다. 헤르츠버거가 의도한 건축 설계는 반복되는 미완성 실험적 건축이지만 그로 인하여 거주자 개인의 필요성에 의한 만들어가는 변화하는 건축이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City construction in Korea has increased in scale since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gained popularity in the new millennium as ways to solve the housing shortage problem and phase out linear supplied apartment systems. Moreover, such efforts in recovering local communities are available for everyone to participate in, not only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companies. In Europe, multi-family housing has already progressed compared to the U.S., and every individual ha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new construction or community recovery. Accordingly, this research seeks to define and characterize the concepts of publicity and privacy, incorporating Hermann Hertzberger`s theory, and apply to construction completed with resident participation. (Method) This study hopes to produce a better general understanding of publicity and privacy, and focuses on Hertzberger`s particular ideas on this subject. The research methods were defined through interpolation of Hertzberger`s theory with ideas by other scholars, including Christopher Alexander, Oscar Newman, and N. J. Habraken. Three elements mentioned before were extrapolated from Hertzberger`s discussion of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multi-family housing construction. (Results) Publicity and privacy are dichotomous in the use of physical boundaries set by the architect. Since the modern era, the proliferation of collective housing has become more complicated as the trend spread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nd private areas must be considered from the early stages of architectural design. The most common point-of-view currently among theorists is that connecting residents to their physical community is advantageous. Hertzberger stated that the decision to participate in neighborhood construction and the experience of doing so brings forth a multidimensional interpretation of the community, promoting a sense of belonging and forming a harmonious domain. Accordingly, Hertzberger`s multi-family housing construction hierarchy can be adjusted to function for single-family households through the movement of surface forms and interspace. Domain connects not only elements of parameter set by residents, but also creates a smooth transi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and connects publicity and privacy in intended construction. Such participation by residents has led to various behaviors discussed in Hertzberg`s two-factor theory of building construction, where the factors are predictability and order. (Conclusions) Throughout this research, it has been shown that Hertzberber`s public areas inside multi-family housing serve to connect multiple spaces, using construction and/or community sentiment. The elements of parameter, which connect public and private, deepen when residents feel purposeful. Also, the problem of private equity affects those in low-rise housing more than residents of high-rise housing. Multi-family housing has alleviated discrimination, thanks to its inherent mediating factors. As a result, the idea of privacy became more guaranteed and the spaces used for private areas grew significantly.

      • KCI등재

        중국어 교육을 위한 부사 ‘就’의 의미와 용법 연구 ― 초·중·고급 중국어 교재의 예문 분석을 중심으로

        김수현 ( Kim¸ Suhyun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3 중국언어연구 Vol.- No.107

        現代漢語副詞“就”位列≪現代漢語頻率詞典≫收錄的8000個詞語中的第11位, 在副詞中使用頻率非常高, 被≪新HSK大綱(2015)≫列為HSK2級的語法項目, 是從初級階段開始學習的核心詞匯之一。本文通過對初、中、高級中文教材的例句分析, 對中文教育中副詞“就”的意義和用法進行了分析, 並提出了分析結果的探討和教育方法。結果如下: 首先, 參考現有的研究, 綜合考慮了語法書和詞典中提供的副詞“就”的意義和用法, 重新將其歸類為連詞副詞、時間副詞、範圍副詞和程度副詞, 整理了其意義和用法。 其次, 通過初、中、高級階段的中文教材分析, 整體上使用頻率較高的連詞副詞是時間副詞, 在中級階段是範圍副詞, 在高級階段是程度副詞。 第三, 通過韓、中作者的中文教材分析, 中國作者的教材使用頻率比韓國作者的教材高近4倍。然而, 教材內的語法解釋卻是韓國作者的教材相對較詳細地解釋了多種用法, 在中國作者的教材中, 盡管出現了副詞“就”, 但語法解釋卻缺失的例子也有。 第四, 通過對≪標準(2021)≫和本文重新分類的連詞副詞、時間副詞、範圍副詞和程度副詞進行對比, 提出了從初級到高級的階段性教育方法。 The Adverb ‘就’ in Modern Chinese is ranked 11th out of 8,000 words listed in the “Frequency Dictionary of Modern Chinese,” making it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adverbs. It is also listed as a grammar item in the “New HSK Syllabus (2015),” which is a Chinese language proficiency test, indicating that it should be learned from the elementary level.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adverb ‘就’ for Chinese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xample sentences in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Chinese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provides reflections and suggestions for educational approach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meanings and usage of the adverb ‘就’ as presented in grammar books and dictionaries are comprehensively examined and classified into conjunction adverbs, temporal adverbs, range adverbs, and concessive adverbs. Second, through the analysis of Chinese textbooks at different levels, it is found that conjunction adverbs are generally more frequently used at the elementary level, temporal adverbs at the intermediate level, and concessive adverbs at the advanced level.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Chinese textbooks by Korean and Chinese authors, it is observed that Chinese-authored textbooks have nearly four times more usage of the adverb ‘就’ compared to Korean-authored textbooks. However, Korean-authored textbooks provide relatively detailed explanations of various usages, while some Chinese-authored textbooks lack grammar explanations even when the adverb ‘就’ appears in the text. Lastly, by contrasting the conjunction adverbs, temporal adverbs, range adverbs, and concessive adverbs reclassified in this study with the categories in the “Standard (2021),” suggestions for educational approaches at each level, from elementary to advanced, are proposed.

      • KCI등재후보

        필라테스 강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여성 수강자의 필라테스 교육만족 및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현(Suhyun Kim),박장근(Jang-Geun Park),김상유(Sangyoo Kim)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2021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필라테스 강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교육만족과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전국 여성 필라테스 수강자 300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불성실한 표본을 제외한 223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 였으며,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와 각 하위요인이 종속변수의 각 변인에 미치는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필라테스 강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교육만족과 재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between the quality of the instructors’ service to th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In order to obtain date from the study, total 300 female Pilates students in Korea, and 223 copies excluding unfaithful samples were used in the study. The date gathered in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statistics program, and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amples, a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by this. Moreover, the analyse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d reliability were taken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of the surve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level of the effect on each variabl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each subdivi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communication style of Pilates instructor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re-participation of students. 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style of Pilates instructors like interaction, sincerity, and attitude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and intention of re-participation.

      • KCI등재

        金謹行(김근행)의 「律呂新書箚疑(율려신서차의)」에 대한 연구

        김수현 ( Suhyun Kim )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4 No.-

        이 논문은 지금까지 연구가 없었던 조선후기 지식인의 한 사람인 김근행(金謹行, 1712~1782)이 쓴 「율려신서차의」(律呂新書箚疑)를 분석하여 당시 지식인들의 악률(樂律) 인식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김근행의 「율려신서차의」는 1745년경에 쓰여진 것으로 중국 송대 채원정(蔡元定, 1135~1198)이 저술한 악률서 『율려신서』(律呂新書)에서 의심나는 부분을 논한 것이다. 『율려신서』 중의 「律呂本原」 1장에서 10장까지를 다루었는데, 그 서술 특징은 『율려신서』에서 그동안 논쟁이 되었던 핵심적인 부분을 한 편당 주제로 정하여 그 주제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을 도상으로 보여주고 부연설명을 했다는데 있다. 이 「율려신서차의」에서 다루고 있는 도상은 10개인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① 圓田開方得포徑圖 ② 黃鍾數法用九圖 ③ 十二律損益得寸圖 ④ 陰陽律當位居沖圖 ⑤ 置一六三圖 ⑥ 五音隔一隔二圖 ⑦ 五音二變成七圖 ⑧ 十二律七聲循環成曲圖 ⑨ 十二律半聲變律圖 ⑩ 五絃琴黃鍾一曲圖이다. 김근행(金謹行)의 「율려신서차의」(律呂新書箚疑)는 『율려신서』를 단순 번역한 것이 아니라 『율려신서』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만을 적출해 내서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도상과 간결한 설명으로 이해할 수 있게 서술했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 점은 김근행이 『율려신서』를 비판적으로 논하지 않았고 오히려 채원정의 의도를 간파하여 분명하게 드러내주었음을 의미한다. 이 「율려신서차의」의 분석을 통해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율려신서』에 대한 이해와 악률에 대한 인식은 매우 높았다는 점이다. 그러나 김근행은 채원정(蔡元定)이 『율려신서』에서 제기한 철학적 의미 등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았고, 음악의 원리라든가 조(調)의 형성과 관련된 음악이론적 문제만을 다루었다는 한계가 있다. This paper studies on the Yullyo sinso 『律呂新書』 (Lu-lu hsin-shu in Chinese) ch`aui 箚疑 written by Kim Kun-haeng 金謹行 (1712~1782) who was an intellectuals in the Late Choson period. By analyzing the text,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cognition of the angnyul 樂律 (music theory) at that time. In this book, He dealt with the controversial issues of Yullyo sinso 『律呂新書』 (Lu-lu hsin-shu), which book was written by Ch`ae Won-jong 蔡元定(Ts`ai Yuan-ting in Chinese, 1135~1198) at Sung China. Kim Kun-haeng wrote this book in 1745. He did not criticized Yullyo sinso (Lu-lu hsin-shu), but selected 10 thorny issues; one for each volumes of Yullyo sinso and gave full details of debatable issues. This means he want to clarify Tsai Yuan-ting`s theory. Also, he was well acquainted with contents of Yullyo sinso and Tsai Yuan-ting`s music theory. For all this, Kim Kun-haeng did not make mention of any philosophical point of the Yullyo sinso, but just pointed music theory and some issues of fundamental tonality. That was the critical point of the Yullyo sinso.

      • 루프 펼침에 의한 복사자 제거

        김수현(Suhyun Kim),박진표(JinPyo Park),문수묵(Soo-Mook Moon)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B

        소프트웨어 파이프라인 기법에는 레지스터 재명명(renaming) 문제가 따르게 된다. 이 레지스터 중복쓰기(overwrite) 문제는 벡터화 컴파일러에서도 존재했던 문제로서 각 반복마다 재정의 되는 스칼라 변수에 벡터 레지스터 하나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해결되었다. 우리는 임의의 조건 분기를 가진 루프의 소프트웨어 파이프라이닝을 위해 선택 스케줄링 컴파일러를 개발하였다. 이는 소프트웨어 파이프라인화를 진행하는 동안 추측 코드 이동, 동적 재명명, 결합 기법(combining), 분기 코드 이동 등을 포함한 강력한 코드 이동을 수행하여 루프의 각기 다른 경로를 각기 다른 개시 간격으로 소프트웨어 파이프라인화된 루프를 생성한다. 이렇게 소프트웨어 파이프라인화된 루프에는 위의 레지스터 중복 쓰기 문제로 인해 많은 복사(copy) 명령어가 발생되며 이러한 복사 명령어를 제거하게 되면 같은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문제는 이러한 복사 명령어들은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제거하기 쉽지 않으므로 새로운 방법에 의해 제거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 과제이다.

      • KCI등재

        지적장애 청소년의 장애에 대한 인식 고찰

        김수현(Kim, Suhyun),구정아(Ku, Jeong-Ah)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 당사자들이 자신의 장애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11명의 장애청소년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였고 4~5회에 걸쳐 심층 면담하였다. 전사본과 연구일지 등의 자료들은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수집된 자료들을 질적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제시된 대주제와 하위주제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관계 경험-놀림과 배제, 장애관련 종사자들의 억압과 제한, 도움을 받음, 관계망 형성을 기대, 부정확하고 불충분한 장애관련 정보, (2) 나는 누구인가?-능력이 부족함, 나는 장애인일까?, (3) 장애란 무엇인가?-무능력, 나쁜 것, 극복해야 할 것, 비밀, (4) 사회적 거리 유지하기-장애관련 서비스 및 종사자, 나보다 심한 장애인, 지체 및 감각 장애인, 비장애인. 결론: 지적장애인들은 자신의 장애에 대한 정보를 주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얻고 있었으며, 자신을 능력이 부족한 사람으로 여기거나 자신의 장애를 거부, 왜곡하는 모습과 더불어 장애를 수용하기는 하나 아쉬움을 느끼는 등 다양한 각도에서 장애를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고려되어야 할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n disability and disability identit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11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cus group interviews and sever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Results: Results revealed 4 main themes with 15 sub-themes. Main themes and sub-themes were as follows: (1) Experience of social relations - teasing and exclusion, oppression and restriction, seeking help, expecting to form a network, inaccurate and insufficient disability information, (2) Who am I? - lack of ability, Am I disabled?, (3) What is a disability? - incompetence, negative issues, things to overcome, secrets, (4) Keeping social distance– disability-related services and workers, persons more severely disabled than me, persons with physical or sensory impairments, non-disabled person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ir disabilities mainly in social relations, and were aware of their disability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rejection and distortion, feeling discomfort even though they accepted their disability. Based on findings, prac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m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