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사고와 원자력에 대한 위험판단 분석 : 위험지각패러다임과 위험소통모형의 통합 적용을 통해

        김서용,임채홍,정주용,왕재선,박천희 한국행정연구원 2014 한국행정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사고와 원자력에 대해 위험판단과 이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기존 위험지각 설명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응용되었던 위험지각 패러다임(Risk-Perception Paradigm)과 위험소통모형(Risk Communication Model)을 통합하여 이들이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변수만으로는 위험지각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위험지각패러다임과 위험소통모형에 속한 변수들에 의해서 위험지각이 더 많이 설명되었다. 특히 이들 양자는 상대 요소를 통제한 상태에서 각자 추가적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위험지각패러다임에서는 지각된 위험, 낙인, 신뢰가, 위험소통모형에서는 부정적 정보량, 수신자의 관여, 수신자의 능력이 위험지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중 신뢰, 수신자의 관여와 능력이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 KCI등재

        콘서트 영상제작에 대한 연구

        김서용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5 문화기술의 융합 Vol.11 No.1

        관객은 무대에서 펼쳐지는 영화적 표현에 더 이상 이질감을 느끼지 않는다. 오히려 공연예술의 본질적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미디어에 익숙한 공연 관객을 위하여 영상 활용이 더욱 적극적으로 무대미술과 기술적 표현 수단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한다. 공연의 다양한 장르에서 영상의 사용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대중음악 콘서트에서는 방송과 미디어를 통해 이미 익숙한 시각적 이미지가 ‘음악적 메시지와 결합한 영상 표현’으로 무대 미술을 완성시킨다. 대규모 공연장에서 무대의 연주자를 클로즈업하여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콘서트 현장 중계 영상’이 필요하고, 복제 할 수 없는 종합예술인 콘서트의 기록이 후반 작업을 통해 또 다른 콘텐츠로 거듭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영상작업은 ‘철저하게 공연의 현장성을 기반’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연구자가 연출한 콘서트의 영상 제작 과정과 내용 그리고 운영 방식을 사례로 콘서트 고유의 장르적 특성에 기인한 영상제작 방식과 제작 구조를 체계화 하고 제작 현장에서 음악적 현장성을 다루는 콘서트의 영상 연출과 K-POP 콘서트 제작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Audiences no longer feel a sense of difference from the cinematic expressions on stage. Rather, in order to maintain the essential value of performing arts, the use of 'video production' should be more actively positioned as a means of stage art and technical expression for performance audiences who are familiar with media. The use of 'video production' is becoming important in various genres of performance. In particular, at popular music concerts, visual images that are already familiar through broadcasting and media complete stage art through ‘video expression combined with musical messages.’ In large-scale performance halls, 'concert live broadcast video' is needed to relay close-ups of performers on stage to the audience, and records of concerts, which are a comprehensive art that cannot be copied, are sometimes reborn as another content through post-production, and such video work should be produced ‘thoroughly based on the on-site live of the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systematized the video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structure based on the unique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rt, using the video production process, content, and operation method of the concert directed by the researcher as an example, and directed the video production of the concert that deals with the musical reality at the production site and K-POP concert production.

      • KCI등재

        COMPARATIVE STUDIES OF ENVIRONMENTAL ATTITUDE AND ITS DETERMINANTS IN THREE EAST ASIA COUNTRIES: KOREA, JAPAN, AND CHINA

        김서용,김성욱 한국행정학회 2010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15 No.1

        Our research empirically analyzes the different determinants, state, and changes around environmental attitude in three East Asia countrie sKorea, Japan, and China. As environmental problems are the first item on the agenda for public policy, it is required to examine environmentalism in the three countries.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about environmentalism in Korea, Japan, and China, first, we review theexisting literature related to environmentalism, especially its determinants, and then we establish the research model. Second, we find out thedeterminants for environmental attitude by doing a regression analysis. Third, to know the present state of environmental attitude and its determinant factors, we compare the mean scores and their ranks. Finally, to infer the future direction of environmentalism, we draw the past trajectory of change in determinants. In conclusion, we summarized the determinants, state, and trajectory of change across the three countries.

      • KCI등재후보

        비용편익분석에서 인지적, 문화적 판단편향(judgement biases)에 대한 연구

        김서용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4 행정논총 Vol.42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새만금개발사업의 비용편익분석을 둘러싼 방법적 논쟁과 내용적 논쟁을 정리하는데 있다. 둘째, 이러한 논쟁의 정리를 통해 비용편익분석에서 전문가들간 체계적 차이(systemic difference)를 가져오는 원인으로서 기계적, 인지적, 문화적 판단편향(judgement biases)을 제시하는데 있다. 비용편익분석이 특정 국책사업의 경제적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전략적, 합리적 도구라는 점은 분명하지만 여전히 인간의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일정한 한계를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과 사회적 맥락(social context)에의해 제약 받는 전문가는 비용편익분석에서 인지적, 문화적 판단편향을 개입시킬 여지를 늘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지적, 문화적 판단편향을 새만금 사례를 통해 예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비용편익분석이 단순히 경제학적 구성물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 문화적 구성물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이론적인 차원에서 비용편익분석에 대한 인지적, 문화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아울러 제도적인 차원에서 판단편향을 제거하기 위한 이해관계자의 참여, 공론의 활성화, 심의적 검증절차개선 등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This paper examines CBA(Cost Benefit Analysis) debates in Saemangeum project. About CBA, there are methodological and content conflicts and differences between pro and con groups. Our study shows that such systemic differences in CBA come from mechanical, cognitive, and cultural judgement biases. It is right that CBA is tool to provide the good information to decide some projects. However depending on human’s bounded rationality and social contexts, CBA has always risks of making errors caused by cognitive and cultural judgement biases. This paper well shows that CBA is not only tools of economics but also socially or culturally constructed things. We argue that to overcome those biases in CBA, we need study cognitive or cultural factors in CBA and should design the policy with citizens’ participation, deliberative review mechanism and public discourse process.

      • KCI등재

        Is Distinction Impossible?: Comparing Risks between Radioactive Waste Facilities and Nuclear Power Stations

        김서용,조성은 한국행정학회 2009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14 No.1

        This paper explores whether people can distinguish among different risks. People are frequently regarded as rational beings who judge distinct risks differently. However, there are few risk studies analyzing the judgment of risk distinction. Hence, our study explores whether people distinguish between the risks of Nuclear Power Stations (NPS) and Radioactive Waste Facilities (RWF), and who has the ability to distinguish risk. Our analysis is based on empirical survey data from a sample of 816 people. First, according to value-differentiation, we divide the respondents into two groups, discriminate and indiscriminate, running a logistic regression to determine who is included in each group. Second, to know the object-differentiation by which people discern between the two risks, we create four groups. By logistic regression, we analyze what kinds of factors contribute to determining the probability of inclusion in each of the four groups. Thir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stinctive judgments, we analyze risk estimation, risk image, and the possibility of flexible negotiation according to four classified groups. In shor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structural factors that determine distinctive judgments. Moreover, we demonstrate that those discretionary factors influence the interpretation of risk estimation and image, and determine the possible actions.

      • 공직동기(PSM)의 형성요인: 사회화 요인의 비교분석

        김서용,조성수,박병주 한국행정학회 2009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9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공직동기(PSM: Public Service Motivation)를 결정하는 형성요인을 실증자료에 근거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공직동기의 연구 초기부터 공직동기 형성에서 조직사회화(organizational socialization)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하지만 공직 입직前의 일반사회화에 대한 연구에 비해 공직 입직後조직 사회화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일반사회화 과정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들이 한국적 상황에서도적용 가능한지 검증한다. 둘째, 기존 연구들이 간과하고 있는 조직사회화가 공직동기 형성에 어느 정도의 설명력을 가지는지 분석하며, 셋째, 조직사회화가 일반사회화와 비교하여 독립적인 설명력을 가지는지를 분석한다. 공무원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n=906)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공직동기 형성에서 일반사회화 요인의 역할을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둘째, 일반사회화 요인뿐만 아니라 조직 사회화 요인이 공직동기 형성에 유의미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 셋째, 공직동기형성에 조직내에서 역할모델로서 상사역할과 동료역할, 공직험이 중요하다는 점, 마지막으로 각 공직동기의 하위차원별로 그 결정요인이 상이하다는 점 등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EVLN(Exit, Voice, Loyalty and Neglect)의 문화적 기반에 대한 연구

        김서용,박원수 한국행정연구원 2005 한국행정연구 Vol.14 No.3

        This study explores the systematic causes which influence the decision making over choices and responses of the individuals being discontent with the organizations. This study follows the theoretical framework suggested by Albert Hirschman who divided the responses to organizational dissatisfaction into Exit, Voice, Loyalty, and Neglect (EVLN). To analyze the cause of EVLN, this research highlights not only social structural variables (sex, education, income), organizational on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job investment) but also cultural variables. Based on empirical data, findings well show that the cultural variables hold their theoretical power to explain the systematic structure of EVLN. 본 논문의 목적은 조직에 불만이 있을 때 개인들의 다양한 선택과 반응을 결정하는 ‘체계적인 원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Albert Hirschman의 연구에 기반하여, ‘직장내 불공정 대우’라는 불만족 요인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반응유형을 이탈(exit), 항의(voice), 충성(loyalty), 태만(neglect)(이하 EVLN으로 약칭함)으로 구분하고 이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EVLN이라는 개인들의 최종 선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관련해 기존 연구들에 다루어졌던 ‘사회구조변수(성별ㆍ학력ㆍ소득 등)’와 ‘조직변수(직무만족ㆍ조직몰입ㆍ직무투자 등)’ 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문화변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실증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먼저 기존 연구들에 사용된 일부 변수들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기존 연구에서 간과된 문화변수가 조직차원의 변수와 함께 EVLN과 관련된 개인의 의사결정을 설명하는데 유효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