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푸코의 에피스테메(episteme) 구분에 따른 코메니우스『세계도회』의 유형 분석

        김빛나 ( Binna Kim ),하스이케 시게요 ( Hasuike Shigeyo ),조상식 ( Sang Sik Cho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6 교육철학연구 Vol.38 No.2

        푸코는 『말과 사물』에서 에피스테메(episteme)를 특정한 시대의 학문분야나 지식을 대상으로 추출되는 ‘담론의 질서’ 또는 사상사의 ‘선험적 여건’이라고 규정하였다. 에피스테메는 특정한 방식으로 사물들에 질서를 부여하는 ‘무의식적인 기초’라는 점에서 불연속적인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에 근거하여 푸코는 유럽의 정신사적 시대를 르네상스, 고전주의, 근대라는 단절된 층으로 구분한다. 논문은 이러한 에피스테메의 구분에 의거하여 교육학의 고전인 코메니우스의『세계도회』의 유형이 두 가지 방식으로 분석 가능함을 탐색하고 있다. 하나는 이 교육학 고전이 전형적인 고전주의적 에피스테메인 재현의 방식에 따라 기술되고 있다는 해석이고, 다른 하나는 르네상스로부터 고전주의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해석이다. 재현이라는 고전주의 에피스테메를 반영하고 있다는 근거는 사물들을 재현한 150개 범주의 서술방식이 말과 사물의 일치를 의도했다는 점이다. 반면에 코메니우스의 범지론적 우주상이 언어와 사물의 유비적인 대응관계에 기초한 세계질서를 보여주고 있지만, 동시에 사물과 유리된 언어와 같은 기호로의 전환을 드러내는 재현의 에피스테메를 반영하고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도기적 유형화 가능성을 논하면서 일본 교육학자들의 주장을 검토하였다. In his book The Order of Things (Les Mots et les choses)(1966) M. Foucault defined ‘episteme’ as a ‘transcendental condition’ of thought history or as an ‘order of discourse`` whose object extracts the disciplinary domain or knowledge in the certain epoch. The episteme has a discontinuous characteristic as far as it is a ‘unconscious fundament`` which gives world of things an order in a particular way. On a basis of such a definition Foucault assorts the periods of European thought history as Renaissance, classical, and modern.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Comenius`` Orbis Sensualium Pictus(1631) on the basis of episteme typology of Foucault. There can be two possibilities of its analysis: One is an interpretative mode that the Comenius`` book would reflect the one of representation as the typical episteme in the classical epoch, and the other interpretation shows that his work would have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 from the Renaissance into the classical. The ground for the representation episteme in the classical epoch lies in the fact that the description method of 150 categories represented through things would intend to correspond between words and things. On the other hand the stereotyping as the transitional episteme is grounded upon the fact that the cosmological picture consisting of Comenius`` pansophism shows the world order based upon the analogous correspondent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hings, as well as moves into the space of representation, in which the transition into the symbol such as language detached from things comes out. Especially in order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ransitional stereotyping, this paper examined the several advanced researches from Japanese community of pedagogy.

      • KCI등재

        레딩스(B. Readings)의 ‘수월성(excellence) 대학 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

        김빛나 ( Kim Binna ),조상식 ( Cho Sang-si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근대 이후의 대학은 교양을 연구하고 전수하여 국민 국가의 시민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지만, 오늘날의 대학은 국가의 통제를 뛰어넘은 자본주의의 영향으로 인하여 대대적인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대학의 변화는 대학의 위치와 방향성에 대하여 논의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이 요구된다. 현대 대학을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하는 담론들 중 이데올로기의 혐의가 있는 수월성 개념을 중심으로 대학 담론의 관점을 확장시킨 레딩스의 『폐허의 대학』은 중요한 텍스트로 간주될 만하다. 레딩스는 경제적 지구화로 인한 자본 재생산의 기반인 국민국가의 쇠퇴는 대학의 지향점을 변경하고 대학을 “초국적인 관료적 기업”으로 변모시켰다고 주장한다. 이로써 전통적인 인문학 또는 교양(culture)은 대학의 중심에서 벗어나 ‘수월성’에게 그 자리를 내주었다는 것이다. 레딩스에 따르면 수월성 개념이 사실상 텅 빈 개념으로서 비(非)지시적 성격을 가졌기에 대학이 이데올로기로부터는 벗어났지만, 자본주의에 무의식적으로 순응하면서 대학을 운영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예리한 지적에도 불구하고 레딩스는 경제적 논리를 우선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인정하면서 수월성 대학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하지 못한다. 더욱이 레딩스의 대학 담론의 치명적인 약점은 대학이 교육기관임에도 불구하고 교육과 관련된 수월성 담론을 다루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폐허의 대학에 머물면서 진정한 사유(Thought)를 가능하게 해줄 수도 있다’는 레딩스의 제안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Although modern universities aimed to cultivate the citizens of the nation-state by studying and teaching the culture, today's universities have undergone a great change due to influences of capitalism beyond the control of the nation-state. Among the discourses that debate current universities from various viewpoints, Readings’ book "The University in Ruins", which has expanded the view of university discourse around the concept of excellence applied as an ideological mark in current universities,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xts. As a result of the economic globalization and the decline of the nation-state which is the basis of capitalist reproduction, the university becomes a "transnational bureaucratic corporation" and traditional humanities or cultures have moved from the center of universities to the edge. However, because of the non-referential concept of excellence, the university has escaped from ideology, but that concept has enabled the university to operate unconsciously in compliance with capitalism. On the other hand, Readings failed to make a strong criticism on the university of excellence because he admitted the fact that economic logic should be a priority. In addition, despite the fact that university is an educational institute, there was no discourse on excellence related to education in Readings’ discourse on universities. Therefore, Readings’ proposal, ‘the true thinking by staying at the ruins of university’ may remain in debatable question.

      • KCI등재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다이어트 도시락 선택속성의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

        김빛나 ( Binna Kim ),심기현 ( Ki Hyeon Sim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7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0 No.3

        The study subjects were 302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more than 20 year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eline data to establish proper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food-related lifestyles on the importance of diet, purchasing behavior towards diet lunch boxes, and their selected attributes such as menu, packaging, and services. With respect to food-related lifestyle, a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five factors such as convenience factor, health factor, safety factor, taste factor, and economy factor obtained from factor analysis to derive the economy type, the taste and economy type, the convenience type, the safety type, and the health type. As a result, the respondents regarded 'food hygiene (4.59)', 'freshness (4.47)', 'taste (4.28)', and 'nutrient balance (4.19)' as the selected attributes of diet lunch box menus. Moreover, the importance of diet lunch box menus (β=0.179)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safety orientation. 'Shelf life label (4.42)' was the most important selected attribute of diet lunch boxes, followed by 'ingredient label (4.19)', 'nutrition facts label (4.16)', and 'indication of origin (4.15)'.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packaging for diet lunch boxes (β=0.203)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safety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attributes of services in purchasing diet lunch boxes, 'provision of personalized menus (4.07)' was the most important, and the importance of services for diet lunch box (β=0.160)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aste and economy orient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respondents gave importance to the selected attributes related to food safety and health such as hygiene and, freshness. In addition, they also placed emphasis on hygiene and safe factors such as shelf life, ingredients, and nutrition facts labels.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evelop diet lunch boxes by taking these factors into account. Furthermore, in services for diet lunch boxe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stablish a servic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consumers with specialized menu or nutrition counseling according to the food-related lifestyle for their proper health management. Particularly, because consumers place emphasis on both food hygiene and safety, and health,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thoroughly manage hygiene, safety, and nutrition in menu or packag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by considering these selected attributes in greater detail.

      • 현대 실내 디자인 요소로서의 패턴에 관한 연구

        김빛나(Kim, Binna),신홍경(Shin, Hong Ky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0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3

        Epidermis of building becomes target of design as component of space, as no more secondary element of space in modern society which is governed by speed and image. Especially, epidermis design in interior space enables users to communicate more smoothly with space by providing various narrative as it provides abundant visual perception experiences Patterns mean regular shape or form or type. In other words, it means design which appears repetitive regular shape. Patterns are important design elements in fashion and textile design, also modern space designers are using fully patterns on surface of building. As interior surface design element, pattern becomes one of components of space through supplementation in lack of space building,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space and users, beyond just simple decoration. Through case studies, we can know, patterns in interior space are used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way, come out visual type like "objectization", "spacization", "framization".

      • KCI등재

        일제 강점기 공민과 도입시기 전후 조선의 `공민교육(公民敎育)` 의미 변용에 관한 개념사 연구

        임광국 ( Yim Gwang Guk ),김빛나 ( Kim Binna ),하스이케시게요 ( Hasuike Shigey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7 교육철학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메이지 유신 이후 성립된 일본의 `공민교육`이 식민지 조선으로 이식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개념적 의미 변용과 식민지 조선으로 이식된 공민교육 개념이 시대적·정치적 변화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하여 라인하르트 코젤렉의 개념사 연구방법론과 롤프 라이하르트의 의미장을 활용한 개념사 연구이다. 근·현대한국의 공민교육은 일제 강점기에 이식된 근대적 공민교육을 시작으로 하여 현재의 시민교육으로 이어진다. 공민교육의 규범적 의미는 국민주권론에 기반 한 민주적 공민 양성에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국가의 정치적·사회적 이념에 합당한 국민을 구현해 내는 것에 더욱 비중을 둔다. 이렇듯 공민교육은 시대적 환경에서 추구했던 사회적 가치를 반영하기 때문에 시대와 장소에 따라 개념적 함의가 다를 수밖에 없고, 한국의 공민교육 역시 근·현대 사회의 정치사적 변천을 반영하여 시대와 장소에 따른 유의미한 의미 변용을 보인다. 특히 다이쇼데모크라시의 영향을 받은 일본 본토의 공민교육은 자유주의적 공민의 의미가 상당부분 수용되어 있던 반면에 식민지 조선으로 이식된 공민교육은 식민지 정책의 의도가 고스란히 반영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와중에서도 공민의 이상적 의미를 토대로 공민교육의 미래적 의미를 자생적으로 선취하여 개념의 `시간화` 양상을 보인다는 점, 그리고 자생적으로 구성된 공민교육의 의미들이 제도권 공민교육과 일정한 대립을 유지하며 개념의 `이념화`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식민지 조선의 내부에서는 식민지 통치의 의도와는 다른 반의적 의미의 공민교육이 국민주권의 이상적 개념을 토대로 이루어졌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is conceptual history research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meanings of the concept of `civic education` as `Japanese civic education` established after the Meiji Restoration was transplanted to the colonial Joseon dynasty, and on the changes of the concept of civic education in the political conditions of Joeson dynasty. For this, the research methodology of Reinhart Koselleck and the semantic field of Rolf Lehrhart are used. Current civic education of Korea began with the modern education that was transplan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normative meaning of civic education lies in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citizens based on the doctrine of the national sovereignty, but in reality it places greater emphasis on cultivating the citizens loyal to the political and social ideology of the nation. In this way, the civic education reflects the social values pursued in the varying political environments, and the civic education of Korea also has seen the significant modification of its meanings with the political conditions of the modern society. Especially, the education of citizens in the mainland of Japan, which was affected by the Taisho Democracy, largely accepted the notion of libertarian citizens, while civic education transplanted to the colonial Joseon dynasty reflected the colonial policy. Howeve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fact that in the civic education of the colonial Joseon was found the ideal concept of national sovereignty, unlike the intention of the colonial rule. The concept of civic education of the time had both the aspect of `time-shaping` by way of autonomously anticipating the future meaning of civic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ideal meaning of citizens, and the aspect of `idealization` that autonomously structured civic education stood in conflict with the institutional civic education.

      • KCI등재

        독일 교원양성체제의 역사적 전개와 시사점 -계몽주의에서 20세기 후반까지-

        조상식 ( Sang Sik Cho ),김빛나 ( Binna Kim ) 한국교육사학회 2016 한국교육사학 Vol.38 No.1

        비교 교육의 관점에서 독일의 교사양성체제에 대한 연구는 이미 국내에 적지 않게 소개되었다. 각 급 학교별 교사양성체제 뿐만 아니라, 특수교사나 각 교과별 교사양성제도의 특성에 관한 ``특수화된 단일 연구주제``도 등장하였다. 이와 별도로 독일 교사양성제도를 역사적 근원에서 추적하려는 연구도 없지 않다. 특히 19세기 전후는 독일적 전형으로서 신(新)인문주의 교육이념이 고안, 실현된 독특한 시기이기에 많은 주목을 받아 왔다. 이에 비해 독일의 교사양성제도에 관한 일반사가 없다는 점은 이해하기 힘들지만, 이는 독일적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다. 통일국가 형성의 지체와 지역적 편차로 인해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 많은 반면, 전체를 개관하는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계몽주의 시기부터 20세기 후반까지를 시기로 하는 일반사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18세기 계몽주의 시기부터 ``학교조직의 차원에서 제도화된 학교제도가 본격적으로 진화하는 체제형성 과정``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개관을 위한 합당한 기점(起點)으로 보인다. 하지만 20세기 후반 이후는 신자유주의의 보편화 추세와 ``볼로냐 프로세스``의 표준화 경향으로 인해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 제외하였다. 이에 논문에서는 초·중등 교사양성제도를 중심으로 기술하되, 여교사 양성이나 김나지움 교사의 특권화와 같은 주제도 아울러 다루었다. 독일 교사양성체제의 특이점은, 초중등 교원 사이의 양성과정 및 교사 신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상당히 이질적인 과정이었다는 사실과, 양성과정에서 교육학의 역할이 각 시대별로 다르게 규정되어왔다는 사실이다. There have already been many articles which have covered a subject of the German teachers` training system from the comparative-educational viewpoints. Their perspectives are so various from the teachers` training system in the different school types to the particular topics such as teachers` training in the special education and teachers` training according to subject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not a little researche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German teachers` training system. On the contrary it is more or less interesting that the general-historical researches are uncommon. But it has reasonable grounds: the delayed national unification in Germany and a deep gap between the German states(Bundeslaner).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aims at a general-historical approach to the teachers` training system in Germany from the enlightenment to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enlightenment in the late of the 18th century is the proper starting point, as it sent out a signal that the institutionalized school system in the dimension of the school organization originated the evolutional process of the system formation in earnest. The early of the 21th century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of this paper, as it requires an additional research. In particular, this period gives a rich demonstration of the generalization tendency of so-called new liberalism and the standardization one of the ``Bologna process``. This article describes the teachers` training system, and gives attentions to the schoolmistress training and the privileged status of the gymnasium teachers. The singular points of German teachers` training system are that the training process of elementary and gymnasium teacher have been differentiated considerably, and that the role of pedagogy in the training process have been defined ver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poches.

      • KCI등재

        소아 수모세포종 환자의 인지 기능

        오주용(Ju Yong Oh),김지혜(Ji-Hae Kim),김빛나(Binna Kim),안경진(Kyung Jin An),성기웅(Ki Woong Sung),정유숙(Yoo Sook Joung)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2 No.4

        Objectives:To investigate the cognitive functions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and to test the hypotheses that the impairment of processing speed and working memory are more prevalent in children with medulloblastoma (MBL) compared to children with neuroblastoma (NBL). Methods:We gave the Korean version of the Wechsler Intelligent Scale for Children-III to 21 children with MBL and 24 children with NBL during outpatient follow-up after the treatment was completed. Results:Children with MBL showed below average performance across most of the sub-tests. The full scale IQ, verbal IQ, and performance IQ of children with MB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hildren with NB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coding and Digit Span subtest scores. Children with MBL performed especially poorly in the coding subtest. Conclusion:These findings support previous reports of generally low IQ and the dysfunction of processing speed and working memory among children with MBL, a kind of central nervous system tumor.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determine how the deficit of processing speed and working memory affect neurocognitive development and general intelligent functions.

      • KCI등재

        약용식물 추출물 급여가 닭 다리육의 항산화 기능에 미치는 영향

        조철훈(Cheorun Jo),장애라(Aera Jang),정사무엘(Samooel Jung),최준호(Jun-Ho Choe),김빛나(Binna Kim),이경행(Kyong Hae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3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약용식물 추출물을 육계에 급여하는 과정에서 약용식물이 갖는 항산화 활성이 계육에 전이될 수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리육을 냉장 저장하면서 항산화 활성과 관능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약용식물 추출물을 0.3%와 1%로 첨가한 사료를 급여시킨 육계의 다리육에서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의 함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리육의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0.3과 1.0% 처리구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닭 다리육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0.3% 및 1.0% 약용식물 추출물 첨가군에서 대조군보다 약간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BARS 값은 0.3% 및 1.0% 첨가군의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약간 높은 TBARS 값으로 시작하였으나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를 보면 대조군에 비해서는 다소 낮은 TBARS 값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를 보면 저장 7일 이후에 색, 맛, 냄새 그리고 종합적 기호도에서 약용식물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높은 관능점수를 얻어 계육의 저장 중 산화적 변질이 급여한 약용식물 추출물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medicinal herb extract mix (MHEM, mulberry leaf : Japanese honeysuckle : goldthread=48.5:48.5:3.0) on antioxidative activity of chicken thigh meat. The dietary treatments consisted of a corn-soybean meal basal diet (control), basal diet with 0.3% and 1% MHEM.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thigh meat samples were collected and stored in a refrigerator at 4oC to be analyzed on day 0, 3, 7 and 14. The MHEM did not affect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thigh meat.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thigh meats in treatment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higher in dietary treatment group.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 at day 7 and 14 and the added level also affected the inhibition of lipid oxidation of thigh meat. In sensory test, panelists preferred treatment group at day 7 and 14. Therefor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MHEM added to chicken may retard the oxidative deterioration of chicken thigh meat during cold storage.

      • 전자선 조사 양념 오징어 젓갈 및 부재료의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

        김빛나,정사무엘,최준호,류현덕,조철훈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8 농업과학연구 Vol.35 No.2

        A seasoned squid Jeotkal,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eafood , and its ingredients for manufacturing, including red hot pepper powder, ground garlic, sesame seeds, were irradiated with 0, 0.5, 1, 2, and 5 kGy by electron beam and stored at 4℃ for 4 weeks to determine the changes in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initial contamination of squid Jeotkal such as total aerobic bacteria, yeast & mold, and coliform bacteria were at the levels of 2.88, 3.04, and 4.20 log CFU/g, respectively. However, electron beam irradiation with does at 5 kGy reduced the total aerobic bacteria to about 1 log CFU/g. Yeast & mold and coliform bacteria were reduced to 1-2 log CFU/g after 2 kGy of irradiation and reached to undetected level when the sample was irradiated at 5 kGy and following storage at 4℃ for 4 weeks. Sensory characteristics showed that electron beam irradiation of up to 5 kGy did not adversely affect overall acceptability of squid Jeotkal and its ingredients during cold storage. Therefore, electron beam irradiation is one of the possible means to improve storage stability of seasoned squid jeotkal, which has limited alternative sterilization methods due to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s. 본 연구는 전자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통 발효 식품인 젓갈류 중 오징어젓갈의 유통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실시되었다. 저장성 감소에 가장 문제가 될 수 있는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대장균군 등의 미생물에 대해 5kGy선량까지의 전자선 조사는 1-2 log cycle 정도의 감균효과를 나타내었고. 5 kGy 전자선 조사를 통해 검출한계치 이하로 측정되었다. 관능적 품질에 대한 결과에서도 모든 처리군에 대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젓갈뿐만 아니라 젓갈 제조시 사용되는 부재료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pH 측정 결과 젓갈의 pH가 전자선 조사시 대조구에 비해오래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전자선 조사는 젓갈의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이취 및 이미 등의 발생이 없이 우수한 관능적 품질을 유지하므로 저염 오징어 젓갈의 유통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살균 방법이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