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행복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 및 조절효과

        김미진,김병만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행복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를 측정하기 위해 이철수(2007)가 개발하고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2013)가 수정한 척도를, 셀프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Houghton과 Neck(2002)이 개발한 RSLQ를 신용국, 김명소, 한영석(2009)이 번안하여 타당화한 척도를, 행복을 측정하기 위해 Kern과 Butler(2014)가 개발하여 김미진(20115)이 번안한 다차원적 행복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임파워먼트, 셀프리더십, 행복의 정도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고, 모든 변인 간의 관계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파워먼트와 셀프리더십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행복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행복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을 위한 연수.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임파워먼트와 셀프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적 측면을 포함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림프세포증식성 질환에서 효과를 보인 부분적 비동맥 색전술 1례

        김미진,노영일,양은석,문경래,Kim, Mi Jin,Rho, Young Il,Yang, Eun Seok,Moon, Kyung Ry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4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7 No.1

        저자들은 간 이식 후 지속적 비기능 항진에 발생된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림프세포증식성질환의 6세된 남아에서 부분적 비동맥 색전술을 치료의 한 방법으로 선택하였다. 비기능항진의 억제 효과로 면역력 증강을 통해 혈액학적 호전을 유도하고자 하였으며 치료 후 PTLD의 호전을 보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osttranplantations lymphoproliferative disease (PTLD) is a common and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for soid organ transplantation associated with the use of chronic immunosuppression and Epstein-Barr virus. There is no standardized treatment algorithm, but numerous management strategies are vaiable. Partial splenic embolization (PSE) had been demonstrated to be an effetive alternatie to splenectomy for patients hypersplenism and portal hypertension. PSE has the advantages of non-invasive intervention and resolution of the complications of hypersplenism. We report the effect of the PSE in a 6-year old male liver transplantation recepient with PTLD who has undergone persistent hypersplenism post-transplant. We reduced immunosuppression agent, started antiviral agent. We started with interferon and IV globulin one month after admission. Hepatosplenomegaly and cervical lymphadenopathy were improved. But fever was not subside. We selectively embolized the lower pole of the spleen to achieve a 50~60% reduction in flow as determined by angiography. After embolization, fever subside and peripheral blood findings were improved. Follow up abdominal CT revealed reduced volume of spleen due to ischemic change and there was no multiple enlarged mesenteric lymphnode compared to preembolization state. We thick that PSE is a safe an effetive treatment modality of PTLD with persistent hypersplenism in patients twho failed to medical treatment.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환경 소양도에 따른 환경 Mapping 평가 사례 분석

        김미진,최돈형,손연아 한국환경교육학회 2006 環境 敎育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mapping following an environmental literacy degree. For this purpose, 34 elementary students of the 5th grade in Daejeon were used as a sample, and their environmental literacy(EL) by ‘environmental literacy inventory(ELI)’ was assessed. In the end, the correlation between EL and ‘Environmental Mapping' was analyz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high level of conceptual recognition in regard to environmental issues and problems but they have low level of environmental behavioral function; 2) in the correlational analysis of environmental Mapping assessment and EL degree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at p<.01; 3) environmental issue knowledge and environmental susceptibility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in environmental Mapping and p<.01; 4)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nvironmental Mapping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target level, fundamental elements and conceptual recognition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at p<.01 and environmental behavior and function on environmen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at p<.05.

      • KCI등재

        폐동맥 분지협착에 스텐트 삽입 후 유발되는 폐동맥의 형태변화 - 폐동맥 폐쇄 부전의 역할 -

        김미진,강두철,최재영,이종균,설준희,이승규,Kim, Me Jin,Kang, Du Cheol,Choi, Jae Young,Lee, Jong Kyun,Sul, Jun Hee,Lee, Sung Kyu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

        목 적 : 분지 폐동맥 협착 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여 효과적으로 교정한 후, 이후 추적 관찰시에 협착이 없었던 반대편 분지 폐동맥 단면적이 감소하지 않고 증가하는 양상을 관찰하였다. 이에 분지 폐동맥 단면적의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형태학적 혈역학적 요인들을 분석해 보았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연세대학교 심장혈관병원 소아심장과에서 좌폐동맥 분지 협착을 진단받고 스텐트 삽입을 시행받은 2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아에서 스텐트 삽입 전후로 심혈관 조영술을 통해 좌우 폐동맥 단면적의 변화, 도플러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폐동맥 부전을 측정하여 역류 분율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폐관류 검사를 함께 시행하였다. 결 과 : 1) 좌폐동맥 협착으로 스텐트를 삽입한 후 좌폐동맥 지수는 $102{\pm}12mm^2/BSA$에서 $125{\pm}11mm^2/BSA$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2) 협착이 없었던 우폐동맥 지수의 변화를 보면, 좌폐동맥에 스텐트를 삽입하기 전에 평균 $238{\pm}17mm^2/BSA$에서 추적 검사시 $249{\pm}20mm^2/BSA$로 유의한 증가는 없었다(P=0.474). 3) 스텐트 삽입 전후로 양측 폐동맥 지수의 합을 보면, 삽입전 $340{\pm}21mm^2/BSA$에서 추적 검사시 $374{\pm}26mm^2/BSA$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9). 4) 폐동맥 폐쇄부전 역류 분율의 변화는 스텐트 삽입전 $50{\pm}5%$에서 $46{\pm}5%$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감소량은 아니었다. 그러나, 폐동맥 폐쇄부전 역류 분율 증감 정도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면, 3 군에서 우폐동맥지수는 삽입 전 $260{\pm}23mm^2/BSA$에서 추적 검사시 $325{\pm}33mm^2/BSA$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41). 좌폐동맥 지수는 각 군에서 스텐트 삽입 전후로 증가하는 양상은 관찰되었으나, 1군에서만 유의하였고, 이는 폐동맥 폐쇄부전의 역류 분율 증감이 좌폐동맥의 단면적에 변화를 미치는 일차적 요인은 아닌 것으로 분석된다. 5) 스텐트 삽입 후 좌 우폐동맥 모두 폐동맥 폐쇄부전이 심할수록 폐동맥지수가 증가하여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지고 (좌폐동맥; r=0.69, P<0.01 및 우폐동맥; r=0.53, P<0.01), 회귀분석상으로도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또한 양측폐동맥 지수의 합도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r=0.71, P<0.01)를 보였다. 결 론 : 협착이 있던 좌폐동맥은 스텐트의 삽입으로 교정되어 그 단면적 지수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반대편 우폐동맥의 경우에는 잔존하는 폐동맥 폐쇄부전의 영향으로 단면적 지수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한 것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잔존하는 폐동맥 폐쇄부전의 장기적 예후를 고려해 볼 때,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역류 분율을 정확히 산출하기 위해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는 것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Purpose : Intravascular stent im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postoperative branch pulmonary artery(PA) stenosis has been used successfully. However, the cross sectional area of contralateral branch PA does not regress in spite of the successful dilation of the stenotic branch PA after stent implantation. We analyzed the morphologic and hemodynamic factors on the size of branch PA after successful stent implantation. Methods : The subjects in our study were 23 children who had undergone stent implantaion from Jan. 1995 to Jul. 2002 in the Division of Yonsei Pediatric Cardiology. We evaluated the cross sectional area index(CSAI) of branch PA before and after stent implantation at follow-up catheterization. We also investigated factors such as residual pulmonary stenosis, pulmonary regurgitation(PR), systolic pressure of right ventricle, and lung perfusion scan. Results : The CSAI of the RPA without stenosis changed from mean $238{\pm}17mm^2/BSA$ to mean $249{\pm}20mm^2/BSA$(P=0.47), but didn't regress. The CSAI of the LPA with stenosis was increased effectively by stent implantation from the mean $102{\pm}12mm^2/BSA$ to mean $125{\pm}11mm^2/BSA$(P< 0.05). At follow up after stent implantation, the CSAI of PA is correlated with the residual PR fraction after stent implantation. Conclusion : In a group with increased residual PR, CSAI of RPA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between the pre- and post-stages of stent implantation. So, we suspect that the pulmonary regurgitation remaining after right ventricle outlet tract(RVOT) dilatation surgery is correlated with the increase in CSAI of RP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