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자 도덕론에서 意와 誠意의 함축 - 知와 意의 상보를 통한 도덕실천의 완성 -

        김나윤 한국양명학회 2022 陽明學 Vol.- No.65

        이 연구는 의(意)와 성의(誠意)의 함축을 살펴봄으로써 주자 도덕론에서의 실천동력 문제를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지하다시피, 주자학의 현대적 연구 과정에서 몇몇 학자들은 앎[知]을 강조하는 주자의 이론 체계가 도덕실천을 이끄는 동력에 관한 선명한 설명을 보여줄 수 없고, 또 그 이론 체계 내에서는 주체 내부의 도덕의지를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해왔다. 이 연구는 주자학에 관한 이러한 비판을 검토하고, 심(心)이 가지고 있는 여러 작용과 기능 가운데 특히 의(意)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주자학의 도덕실천동력 문제를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의는 의념으로 이해되며, 주자에게서도 이러한 용례가 많이 발견된다. 하지만 의는 동시에 마음의 본래적 기능이라는 차원에서는 헤아림과 지향의 능력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렇게 이해될 때, 의는 앎을 실천으로 이끄는 의지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그가 제시한 성의(誠意)의 공부론은 단지 이미 발생한 의념을 올바른 길로 이끄는 차원의 공부에만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마음의 본래적 능력을 도덕성인 성리와 일치하도록 하는 공부로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의(意) 개념을 살펴봄으로써 주자학에서의 실천동력 문제에 관한 비판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주자학의 도덕론은 지(知)와 의가 상보하여 리(理)를 실천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고 그 윤리학적 의미를 밝힐 수 있다.

      • KCI등재

        리인(利仁)과 안인(安仁) - 윤리적 태도와 이념에 관한 주자의 인식전환 고찰 -

        김나윤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2 동방학 Vol.- No.47

        이 연구는 리인(利仁) 개념에 대한 해석을 살펴봄으로써 주자학의 윤리학적 특색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리인 개념은 『논어』 「이인」 편에 등장한다. 주자 이전의 리인에 대한 해석들 다수가 대개 의義와 리利의 대립이라는 전통 유학의 이분법적 도식에 갇혀 ‘리인’이 함축하는 보다 복합적인 도덕실천적 의미를 간과했으며, 이러한 해석의 한계는 정이천을 거쳐 주자에 이르러서야 해소될 수 있었다. 리인 개념은 주자의 해석학적 전환을 거치면서 새로운 윤리적 함축을 얻었고, 나아가 주자 윤리학의 특징과 관점을 드러내는 적절한 실례가 되었다. 이 연구는 리인 개념에 대한 주자의 긍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첫째, 리인은 도덕 인식과 실천에서 행위자와 법칙의 명확한 구분을 함축한다. 둘째, 이러한 구분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주는 지적인 능력에 근거한다. 그러한 지적 능력은 윤리적 인간됨의 필수 요건이다. 셋째, 리인은 타고난 도덕적 모범, 즉 ‘생이지지(生而知之)’의 성인이 아니라 범인의 윤리, 일상의 윤리학과 관계한다. 주자는 인간이 윤리적 주체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는 지적인 능력에 주목하였다. 그것은 리인의 태도, 즉 인을 승인하는 동시에 현실 속에서 이를 향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태도와 맞닿아있다. 주자의 윤리학은 이러한 승인과 지향을 지속적으로 견인하여 주체가 도덕적 당위를 향해 점진적으로 나아가게끔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사태마다 구체적인 도덕적 주체로 거듭날 것을 촉구한다.

      • KCI우수등재

        Unintended Outcome?The Effect of Protest on Voter Turnout

        김나윤,정재관 한국정치학회 2020 한국정치학회보 Vol.54 No.3

        Do protests encourage electoral participation of voters? There are scholarly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sting and voting, as they are typical examples of non-institutional and institutional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democracy, respectively. Theoretical exploration and empirical research on this subject matter have yet to be developed because the studies of social movements and electoral politics are two different sub-fields separately developed in comparative politics while rarel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Conforming to a recent call for bridging these two sub-fields, this article attempts to specify the mechanism by which protests affect voter turnout. We particularly emphasize political interest and efficacy of ordinary citizens, since they can be influenced by large scale protest events and, in turn, influence the turnout of voters. This theoretical speculation is empirically explored by using the Dynamics of Collective Action (DCA) protest event data and the American National Election Studies (ANES) survey data.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large and salient protest events increase voters’ political interest and then the likelihood of turnout for voting. Do protests encourage electoral participation of voters? There are scholarly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sting and voting, as they are typical examples of non-institutional and institutional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democracy, respectively. Theoretical exploration and empirical research on this subject matter have yet to be developed because the studies of social movements and electoral politics are two different sub-fields separately developed in comparative politics while rarel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Conforming to a recent call for bridging these two sub-fields, this article attempts to specify the mechanism by which protests affect voter turnout. We particularly emphasize political interest and efficacy of ordinary citizens, since they can be influenced by large scale protest events and, in turn, influence the turnout of voters. This theoretical speculation is empirical Do protests encourage electoral participation of voters? There are scholarly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sting and voting, as they are typical examples of non-institutional and institutional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democracy, respectively. Theoretical exploration and empirical research on this subject matter have yet to be developed because the studies of social movements and electoral politics are two different sub-fields separately developed in comparative politics while rarel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Conforming to a recent call for bridging these two sub-fields, this article attempts to specify the mechanism by which protests affect voter turnout. We particularly emphasize political interest and efficacy of ordinary citizens, since they can be influenced by large scale protest events and, in turn, influence the turnout of voters. This theoretical speculation is empirically explored by using the Dynamics of Collective Action (DCA) protest event data and the American National Election Studies (ANES) survey data.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large and salient protest events increase voters’ political interest and then the likelihood of turnout for voting. ly explored by using the Dynamics of Collective Action (DCA) protest event data and the American National Election Studies (ANES) survey data.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large and salient protest events increase voters’ political interest and then the likelihood of turnout for voting.

      • KCI등재

        MR Findings of Seizure-Related Cerebral Cortical Lesions during Periictal Period

        김나윤,백혜진,최대섭,하지영,신화선,김주호,최호철,김지은,박미정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17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21 No.2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RI, MR angiography (MRA) and MR perfusion findings of seizure-related cerebral cortical lesions during the periictal period. Materials and Methods: From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institutional database between 2011 and 2014, a total of 21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wo radiologists assessed periictal MRI, including MRA and MR perfusion, in patients with seizure-related cortical lesions. The parameters examined include: location of cortical abnormality, multiplicity of the affected cortical region, cerebral vascular dilatation, perfusion abnormality and other parenchymal lesions. Results: All patients showed T2 hyperintense cerebral cortical lesions with accompanying diffusion restriction, either unilateral (18/21, 85.7%) or bilateral (3/21, 14.3%). Of the 21 patients enrolled, 10 (47.6%) had concurrent T2 hyperintense thalamic lesions, and 10 (47.6%) showed hippocampal involvement. Of the 17 patients (81%) who underwent MRA, 13 (76.5%) showed vascular dilatation with increased flow signal in the cerebral arteries of the affected cortical regions. On MR perfusion, all 5 patients showed cortical hyperperfus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of cortical abnormalities. Conclusion: Seizure-related cerebral cortical lesions are characterized by T2 and diffusion hyperintensities, with corresponding cerebral hyperperfusion and vascular dilatation. These findings can be helpful for making an accurate diagnosis in patients with seizure.

      • KCI등재

        기후안전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대책 우선순위 분석 - 국토ㆍ연안부문 적응대책을 중심으로

        김나윤,박창석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5

        The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encouraged governments to take more specific measures to adapt to climate change, and Korea also established a systematic basi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by enacting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For Coping With Climate Crisis』. As climate risks are maximized, large-scale complex disasters occur more frequently, and the city needs to strengthen its capacity to adapt to climate change to a climate-safe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policy analysis focusing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in the land and coastal sector that have been implemented so far. The analysis results showed different priorities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and the fi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were derived by considering both the past and future aspects. Therefore, the priority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in the land and coast sector was found in the order of “Construction and reinforcement of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Construction monitoring systems of coastal waters and erosion”, “Construction of coastal disaster monitoring system”,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Coastal buffer space secured”, “Development of Coastal Disaster Vulnerability Evaluation System” and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to adapt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presented prioritie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and suggested policy improvement measures at the level of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measures, so it is expected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IPCC는 더욱 구체적인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강조하였으며, 이에 우리나라도 『탄소중립기본법』 제정으로 기후변화 적응의 제도적 기반을 확고히 하였다. 기후위험이 극대화됨에 따라대형복합재난 발생이 잦아지며, 기후안전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도시 차원의 기후변화 적응역량강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이행이 완료된 국토ㆍ연안 기후변화 적응대책을중심으로 정책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방법론에 따라 우선순위가 상이하게 나타났고, 최종 기후변화 적응대책은 과거지향 측면과 미래지향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도출하였다. 따라서, 국토ㆍ연안부문 기후변화 적응대책 우선순위는 [방재시설 조성 및 보강], [연안 완충공간 확보], [연안해역 및 침식 모니터링 체계 구축], [연안재해 감시체계 구축], [기후변화 적응형 계획 수립], [연안재해 취약성 평가체계 개발], [기후변화 적응형 도시재생 추진]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 적응대책 우선순위를 제시하였고, 도시계획 및 관리방안 차원의 정책개선방안을 제언하였기에 정책효과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20세기 유학의 윤리 개념 수용과 유가 윤리학의 전개 -주자학의 윤리학적 연구를 위한 시론-

        김나윤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3 철학탐구 Vol.70 No.-

        This paper examines the ethical inquiries of Confucianism that occurred in the 20th century,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ethical inquiries into Zhu Xi’s neo-Confucianism. As is well known, Confucianism is a humanities discipline that seeks to cultivate individuals to become sages and rulers to become humane kings, and achieve social harmony through an examination of human nature. Consequently, Confucianism devotes significant attention to axiology, especially ethics and moral philosophy, among the branches of philosophy. Many contemporary scholars studying Confucianism pay attention to its ethical and moral philosophical nature.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positions taken by Chae Won-bae and Mo Jong-sam, who pondered Confucian ethics in the pre- and post-20th century, and reflect on the challenges of researching Confucianism as an ethics discipline today. 이 논문은 20세기 이루어진 유학(儒學)에 관한 윤리학적 탐구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주자학에 관한 윤리학적 탐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주지하다시피 유학은 수기안인과 내성외왕을 목표로 하는 인간학이며, 인간 본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인간을 이상적 인격으로 이끌고, 공동체의 평안을 이루고자 한다. 유학은 철학의 분과 가운데 가치론, 특히 윤리학과 도덕철학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으며, 오늘날 유학을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 또한 유학의 윤리학적, 도덕철학적 성격에 주목한다. 이 논문에서는 20세기 전후반, 유가 윤리학을 고민했던 채원배와 모종삼의 입장을 살펴보고 오늘날 주어진 윤리학으로서의 유학 연구의 과제를 고민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상수도사업 효율성 분석

        김나윤,김선덕,이만형 한국도시행정학회 2015 도시 행정 학보 Vol.28 No.4

        본 연구는 DEA 효율성 분석을 통해 충북 상수도사업의 효율성을 평가․진단하고 효율적인 상수도 운영관리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함에 연구에 목적이 있다. DEA 효율성 분석을 위한 투입변수로는 유지관리비, 직원 수를 활용하였고, 산출변수로는 유수율, 연간총생산량, 수도요금수입액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충북의 2011년부터 2014년 상수도사업의 효율성 평균은 각각 0.4447, 0.5028, 0.5658, 0.5956 으로 측정되었으며, 55.52%, 49.71%, 43.41%, 40.43% 정도의 효율성 개선여지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규모가 작은 군 단위 지역의 상수도 서비스 사업운영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주민들에게 제공되는 상수도 서비스의 질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수도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수도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지역의 실정에 맞는 상수도사업 정책 및 시설을 통해 운영 효율성 증대 및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 KCI등재

        ‘자기 진실성 윤리’에서 바라본 주자의 도덕철학 - 심의 주재와 그 의미를 중심으로

        김나윤 한국중국학회 2020 중국학보 Vol.92 No.-

        This paper examines the criticism of Zhu Xi's moral philosophy that has continued since the mid-20th century and tries to understand his ethics from a new perspective. The paradigm of ‘Confucian ethics of autonomy’ helped reveal the essence and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but it had side effects that led to defining other forms of Confucianism especially Zhu Xi’s one as heteronomous theory. In my view, heteronomy which is beyond the context and meaning of Kant's ethics can not be an effective means to evaluate and only undermine the ethical implication of targeted theory. In order to show the ethical implications of Zhu Xi’s philosophy, I take note of the ethics of Authenticity that Charles Taylor presented to escape the fragmentization and panic of ethics facing the Western world. Zhu Xi also had a similar critical mind, so he proposed a moral philosophy which affirms the morality of human being and stress on the way of realization of it. For such an assessment to be justified, however, the power to drive moral practice must be found within the Zhu Xi's moral philosophy. human beings who through his or her own will actualize right and wrong to action are not heteronomous. I think we can get a glimpse of this possibility from Zhu Xi's idea of Xin(心) and Yi(意). Moreover, some of the Joseon Neo-Confucian scholars in favor of Zhu Xi developed theories that paid attention to this implication. Based on these points, the paper will be developed. 이 논문은 20세기 중반 이래 동서비교 철학의 관점에서 주자의 도덕철학에 가해진 일련의 비판에 대해 반성하고, 주자철학의 새로운 지점을 살피려는 시도이다. 칸트 철학을 매개로 건립된 ‘유가 자율 윤리학’이라는 패러다임은 유가 철학의 본령과 특색을 밝히는데 공헌했지만, 선의지를 우선적으로 강조한 심즉리 이론을 제외한 다른 형태의 유가 사상을 타율윤리학으로 규정하는 편향을 낳았다. 필자가 보기에, 칸트 철학의 맥락에만 착안하여 주자 철학의 윤리학적 의미를 규정하는 것은 주자 철학의 고유성과 다층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 주자 철학의 윤리학적 함의를 보이기 위해서, 필자는 찰스 테일러가 서구 세계가 직면한 파편화 된 윤리, 윤리의 공황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제시했던 자기 진실성의 윤리에 주목한다. 주자 또한 유사한 문제의식을 공유했고, 도덕 실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덕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긍정하고 이를 실현해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도덕철학 체계를 제시했다. 그러나 이런 평가가 정당하려면, 주자의 체계 내에서 도덕 실천을 추동하는 힘이 발견되어야 한다. 옳고 그름을 의지로써 행위로 연결시키는 인간에게는 타율이라는 평가는 재고의 여지가 있다. 필자는 그 연결고리를 심心과 의意에 관한 주자의 생각에서 엿볼 수 있으며, 이런 실마리에 대한 인식이 이후 조선의 기발파의 해석에서도 이루어졌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하위문화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소수 패션 취향 공동체의 특수성 연구

        김나윤,하지수 한국의류학회 2018 한국의류학회지 Vol.42 No.1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ubculture as a selective amity or an emotional tribe that includes a life style, hobby and leisure of people and seeing it as the tribal solidarity or emotional alliance. Hence, based on the neo-tribalism by Michel Maffesoli who explains a tribe not composing a social vertical structure represented by class, but is composed a horizontal structure of individuals as a member of a society,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domestic minor fashion communities.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y have a unique structure unexplained by Maffesoli. Fashion styles, values shared by domestic minor fashion communities are almost entirely based on individual likes and dislikes, escaping from a symbol of resistance to subordination explained by the existing subculture, play a role in enhancing the solidarity inside the community and confirming its identity outside. However, as for shared values within a community, it reveals a new invisible type of subculture intra-inter domestic minor fashion communities. A community showed a closed mind rather than open mind, disregarding or comparing with other communities and preventing their members from participation. A community had strict fashion rules and obvious classes, leading to participatory restriction. In conclusion, domestic minor fashion communitie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a selective vertical structure by individual and community rather than a vertical structure by a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