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화 〈집안을 일으킨 며느리〉와 신소설 〈소양정〉 비교 연구-며느리와 여주인공 비교를 중심으로-

        김금숙(Kim, Gum-Su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5

        본 논문에서는 설화 〈집안을 일으킨 며느리〉의 며느리와 신소설 〈소양정〉의 여주인공을 비교 분석하였다. 〈집안을 일으킨 며느리〉는 가난한 집에 시집온 며느리가 집안을 일으키는 과정을 담은 서사이다. 여기서의 며느리는 전통 사회에서의 며느리 들이기의 성공 사례를 보여주는 인물이다. 〈소양정〉의 서사는 여주인공인 채란이 혼사장애와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결혼에 이르는 과정에 초점이 놓여 있다. 채란은 오씨 집안의 며느리가 되어 내부자로서 입지를 다지면서 딸에서 며느리로의 정체성의 변화를 성공적으로 이뤄내는 인물이다. 설화의 며느리와 소설의 여주인공은 딸이 아닌 며느리로서 성공적인 결과를 만들어내는 인물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은유적 관점에서 보면 이들은 모두 집안의 기회 요소가 된 며느리에 대한 은유적 투사로 볼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전통적인 가부장제 사회에서 결혼과 함께 시댁에 편입된 많은 여성들의 현실적 경험과 인접해 있는 존재들이다. 설화의 며느리와 소설의 여주인공의 모습은 이러한 현실과의 관계 속에서 환유되는 것이다. 이 두 서사는 전통적인 가부장제 사회에서 집안의 기회 요소가 된 며느리들의 모습을 통해 여성들이 시댁의 내부자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일이었는지를 비유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This thesis is about the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the daughter of Folk tale 〈Daughter-in-law who restored her husband"s family〉 and the heroine of New novel 〈Soyangjeong(昭陽亭)〉 〈Daughter-in-law who restored her husband"s family> narrates the process that the woman who got married to a poor family restored her husband"s family. She is the character who shows the successful case of marrying off son in Korean traditional society. The narration of 〈Soyang-jeong〉 focuses on the process that the heroine ‘Chaeran’ got over her marriage barrier and dangerous situation and ended in marriage. Chaeran is a character who, as a daughter-in-law of Oh’s family, reinforced her position in her husband’s family and made a success in changing her identity from daughter to daughter-in-law. The daughter-in-law of the tale and the heroine of the novel have something in common as a character who made a successful result as a daughter-in-law. They are both to be regarded as a metaphoric projection about daughter-in-law who became a opportunity of a family from a metaphorical point of view. They are also beings who shares the realistic experience of the many women who became a member of their husbands’ family by marriage in a traditional and patriarchal society. They are considered as a metonymy in relations with realities. These two narrations show that it was hard for the women to establish themselves as a insider of their husbands’ family through the style of the daughter-in-laws who became a opportunity of a family in a traditional and patriarchal society.

      • 20세기 전반기 잡지에 나타난 관동팔경 연구

        김금숙 ( Kim Gum-suk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1 강원문화연구 Vol.44 No.-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전반기 잡지들에 나타난 관동팔경 관련 기록들을 정리하고 전대의 기록들에 비해 어떤 변모 양상을 보이는지 고찰해 보았다. 잡지 기사를 살펴보면 1920년대 중반까지는 조선 시대까지의 기록들과 마찬가지로 관동팔경을 명승지나 특별한 곳, 일상에서 벗어난 곳으로서 다루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점차 관동팔경을 이전 시대와는 다른 시선으로 담아내는 글들이 많아지기 시작한다. 관동팔경을 삶의 구체적인 공간, 현실적이고 일상적인 공간으로서 주목하는 글들이 그것이다. 잡지에 나타난 이러한 기록들은 통시적으로는 조선 시대의 다양한 기록들과 현대의 관동팔경을 연결하는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공시적으로는 당대의 잡지 편찬자나 교양 있는 대중들이 관동팔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또한 당대의 사회가 점점 명승지를 동경하고 명승지 유람을 즐기던 시대에서 변화해가고 있다는 것을 환유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This study first organizes the records of the Gwandongpalgyeong(關東八景) shown in the magazines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then examines the aspect of changes which those records have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ones. The magazine articles till the mid-1920s, like those of the Joseon Dynasty, tend to handle the Gwandongpalgyeong(關東八景) as scenic spots, special places, or somewhere far away from daily life. However, there are more and more writings approaching the Gwandongpalgyeong(關東八景) in the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at of the previous time. Those writings pay attention to the Gwandongpalgyeong(關東八景) as concrete, realistic, and daily space. Diachronically, such records in the magazines have the meaning of connecting the Gwandongpalgyeong(關東八景) of the modern times to the various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Synchronically, they show how the magazine compilers or the educated public of the time perceive the Gwandongpalgyeong(關東八景). The change in the perspective of the articles on the Gwandongpalgyeong metaphorically suggests that the society of the time which admires and enjoys the sightseeing of scenic spots is also changing itself.

      • 춘천 설화에 나타난 ‘나쁜 며느리’의 민중성 고찰

        김금숙 ( Kim¸ Gum-suk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0 강원문화연구 Vol.42 No.-

        본고는 춘천의 설화에 나타난 ‘나쁜 며느리’의 민중성을 고찰해 보았다. 지배 피지배 관계에 대한 각성, 그 관계가 지니는 허위와 모순의 폭로, 다른 민중들과 공감하며 연대할 수 있는 문학적 결과물의 생산 등이 본고에서 주목한 민중성의 의미이다. 조선 후기에 나온 시조집에 실려 있는 사설시조에서 ‘나쁜 며느리’의 출현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당대의 민과 민중이 며느리의 문학적 형상화에 있어서 서로 어떻게 맞물려 있었는지 보여준다. 춘천의 설화에서는 며느리가 조산으로 인한 산모와 아기의 건강 문제나 친부 불확실성의 문제 등을 전적으로 짊어져야 했음이 드러난다. 또한 며느리가 감당해야 했던 이런 출산의 어려움을 미물 출산으로 상징화한 설화도 찾을 수 있다. 이런 설화에서 며느리는 한 집안의 내부자에서 언제든 전락할 수 있는 정체성으로 그려진다. This study is about the character of masses of ‘Bad Daughter-in-law’ in Chuncheon folk tale.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the meaning of the character of masses such as the awakening of the relation between ruling and being ruled, the disclosure of the falsehood and the contradiction in the relation and the production of the literary outcomes which other masses can sympathize with and go together with. We can see that ‘Bad Daughter-in-law’ appeared in the saseolsijo carried in the collections of sijos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hich shows how the people of the time are interconnected in the literary configuration of the daughter-in-law. The Chuncheon folk tale tells us that the daughter-in-law completely took the burdens about the health of the mother and the baby caused by premature birth and the problem of the uncertainty of its real father Also, folk tale could be found where the difficulty of giving birth symbolized by the delivery of the lower animal which the daughter-in-law had to cope with. The daughter in a folk tale like this is described as the identity that can be always otherized in a family.

      • KCI등재

        한국어능력시험(TOPIK) 쓰기 53번 문항의 과제 분석 및 개선 방안

        김금숙(Gum Suk Kim) 한국국어교육학회 2019 새국어교육 Vol.0 No.119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oblems and also to suggest the improvement measures by analyzing the writing question No.53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Methods:Regarding the question No.53 in the released 8th test, this study conducted the task analysis by dividing it into elements such as discourse style, themes & directive sentences, writing stimulus materials, and assessment test. Results:In the results, this study verified problems.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add guidelines to the directive sentences for test-takers. And regarding the visual materials, the quantity of information should be reduced while the materials with clear meanings should be used. Also, to fully assess the development structure of writing, the information about relations with other paragraphs should be suggested. Regarding the assessment standard, the standard of development structure should be specified in detail while the distribution of marks for the language use should be reduced. Conclusion: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he first discussion intensively analyzing the task elements of the question No.53. The matters suggested by this thesis would b helpful for improving the question No.53 in the future.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능력시험(TOPIK) 쓰기 53번 문항의 과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피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공개된 8회분의 53번 문항에 대해 담화 양식, 주제와 지시문, 쓰기 동기화 자료, 평가 기준 등의 요소로 나눠서 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과제를 분석한 결과 지시문의 내용, 시각 자료의 정보의 양과 의미의 명료성, 어구나 문장 형태로 제시되는 정보, 평가 범주별 배점 등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시문에 수험자를 위한 지침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쓰기 동기화 자료로 제공되는 시각 자료는 정보의 양을 줄이고, 의미가 명확한 자료들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글의 전개 구조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 다른 단락들과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시해야 한다. 평가 기준에서는 전개 구조에 대한 기준을 상세화하고, 언어 사용에 대한 배점을 낮춰야 한다. 결론:이 논문은 53번 문항의 과제 요소를 집중적으로 분석한 첫 번째 논의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고에서 제안한 사항들이 향후 53번 문항을 개선해 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북상기(北廂記)』와 『귀의 성(鬼-聲)』에 나타난 춘천 기생 계심(桂心)의 스토리텔링

        김금숙 ( Kim Gum-suk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3 강원문화연구 Vol.47 No.-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how the story of Chuncheon's Gisaeng Gyesim(桂心) is storytelling in the classic play Buksanggi(北廂記) and the new-style novel Gwiuiseong(鬼-聲). Chuncheon's Gisaeng Gyesim is a historical figure. However, Gyesim's story is also passed down as a folk tale. The story of Gyesim has been widely known in the surrounding area since the early 19th century. Buksanggi was created by Donggoeocho(東皐漁樵) while he was staying in Hongcheon around 1840. The work is based on the actual story of Gyesim. However, the author reversed the tragedy of Gyesim and told the story as a delightful comedy of Sunok. The new-style novel Gwiuiseong is about the events that take place after Gilsun, a resident of Chuncheon's Solgaemaeul, becomes the concubine of the Chuncheon mayor. This work was created by Leeinjik(李人稙) based on the story of Gyesim. However, Gilsun's life in the novel is more unfortunate and tragic than Gyesim's life. Given the nature of newspaper serialized fiction, tragedy would have been more effective than comedy. As we have seen above, the storytelling styles of Buksanggi and Gwiuiseong are very different. Buksanggi is told in a comedic manner. On the other hand, Gwiuiseong is told in a tragic way

      • KCI등재

        한국 학생과 유학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 연구

        김금숙(Kim, Gum-Su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7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한국 학생과 유학생이 함께하는 토의 동아리 활동사례를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여 활동 효과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먼저 사전 면담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대학 내에서의 문화 간 의사소통 중 태도, 지식과 이해, 기술, 내적 결과 등의 차원에서 문제 상황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 학생과 유학생이 하나의 주제를 바탕으로 토의하는 동아리를 만들어 활동을 진행하였다. 동아리 활동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해 참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면담과 관찰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서 동아리 활동이 태도, 지식과 이해, 기술, 내적 결과 등의 차원에서 학생들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했다. 관찰을 통해 서로 다른 배경을 지닌 학생들이 함께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서로 간의 의사소통에 익숙해져 가고, 그 과정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 기술을 익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 제시한 동아리 활동의 틀은 한국 학생과 유학생을 위한 강의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ebate club activities to help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First, in the interview, respondents reported having experienced problems related to knowledge, attitude, and percep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other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es. Therefore, a debate club was formed so that Korean and foreign students can discuss the same topic. To examine the effect of club activities, two sessions of interview and observation were performed with participants. In the interview,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club activities had an effect of expanding their cultural experiences, exchange, and knowledge. Some Korean students reported change in cultural perception and attitude. Also, it was observed that students were becoming familiar with communicating with other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ogether, these effects will help students change their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s different cultures in a positive direction and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 KCI등재후보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속담의 비유 구조 분석 -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를 중심으로 -

        김금숙 ( Kim Gum Suk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21 漢城語文學 Vol.45 No.-

        이 논문은 속담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의 비유 구조를 분석하고, 그 속에 내재된 문화적 의미들을 밝힘으로써 이를 활용하여 한국문화를 교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속담의 비유 구조는 통시성을 바탕으로 한 은유 구조와 공시성을 바탕으로 한 환유 구조로 나눠볼 수 있다. 속담에서 은유적으로 표현된 벼의 현상 변화, 높고 낮음, 고개를 숙이는 행위 등에는 우리 사회에서 현재까지도 관용되고 있는 다양한 문화 요소들이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문화 요소를 언어권별로 비교하는 수업을 진행한다면 학습자들이 한국어 속담과 한국 문화뿐만 아니라 자국의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속담을 사용하는 구체적인 상황, 즉 환유적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최근 1년 동안의 신문기사에서 속담이 사용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속담이 쓰이는 상황 맥락이나 의사소통 기능이 과거에 비해 훨씬 다양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칭찬, 의도/바람/희망 표현 등의 기능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러한 변화는 근래 들어 과도하게 겸손을 강요하는 문화가 사라지고 있는 것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도 학습자들과 함께 논의해 볼 수 있다. 기존의 문화 교육에서 전통 문화와 현대 문화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는데 속담은 전통 문화와 현대 문화를 연계하는 좋은 문화 교육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figurative structure of a proverb “The Rice Plant that bear most hang lowest”, to reveal the cultural meanings inherent in it, and to use it for educating the Korean culture. The figurative structure of this proverb could be divided into the metaphorical structure based on diachrony, and the metonymic structure based on synchrony. The phenomenological change of rice plant, the high and the low, and the act of lowering one’s head that have been metaphorically expressed in the proverb, imply various cultural elements that are widely used in Korean society. If such cultural elements are compared in each language area, the learners would be able to expand the width of understanding of not only Korean proverbs and culture, but also their own native culture.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ases of using proverbs in newspaper articles for last one years to examine the concrete situations of using proverbs, which would be the metonymic meanings, the situation context for using proverbs or communication functions have been much more diversified compared to the past. Especially, there were a lot of cases used as the functions like praise, intention, wish, and hope, and this change might be closely related to the recent disappearance of culture that excessively forces the modesty. This part could be also discussed together with learners. The existing culture education tends to dichotomously divide the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culture. Such proverbs could become great materials for culture education connecting the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culture.

      • KCI우수등재

        설화 <호랑이 눈썹>과 드라마 <너의 목소리가 들려>의 비교 연구

        김금숙(Kim, Gum-suk)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1

        설화 <호랑이 눈썹>과 드라마 <너의 목소리가 들려>는 사람의 내면세계를 보거나 마음 속 생각을 듣는다는 유사한 모티프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작품들이다. 인연이나 사랑, 결혼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고, 사회 구조 속에서의 개인의 삶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도 서로 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두 서사의 주요 모티프들에 나타나는 환유와 은유를 살펴보고 그것들이 지니는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두 서사를 비교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설화와 드라마의 주요 모티프들은 서로 비슷하면서도 다른 환유적 의미를 보여준다. 호랑이 눈썹의 신비한 능력을 통해 설화는 사람의 본질을 꿰뚫어보고 싶은 욕망을, 다른 사람의 마음을 듣는 초능력을 통해 드라마는 현대인들의 관계맺음과 소통의 문제를 환유한다. 배우자 바꾸기와 변하지 않는 마음은 각각 당대인들의 사랑과 결혼에 대한 환상을 대변하는 환유이다. 설화에서 가난한 남자의 부자 되기 모티프는 민중들의 가난한 삶, 부자가 되고 싶은 욕망에 대한 환유로 읽을 수 있다. 드라마에서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모티프는 개인적인 복수의 위험함, 법치주의의 구현을 통한 사회 질서 유지 등에 대한 환유를 보여준다. 설화가 개인적인 행복에 무게를 두는 반면 드라마는 체제를 옹호하는 데 초점이 놓여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거대한 연쇄 은유의 차원에서 보면 두 서사가 은유하는 바는 매우 닮아 있다. 설화는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인생 역전을, 드라마는 현대인들의 TV 드라마 보기를 은유하고 있다. 설화에서 은유를 가능하게 해 주는 호랑이 눈썹이라는 환상적인 소재와 현대인들이 TV 드라마를 보는 행위는 유사한 의미를 지닌다. 사람들은 환상적인 이야기나 TV 드라마를 통해 욕망을 대리 충족하고, 반복되는 일상을 견뎌내며, 체제에 순응하는 삶을 살아간다. 이는 제도적 질서를 강화하는데 기여하기도 한다. Tale 〈Tiger’s Eyebrows〉 and Drama 〈I Hear Your Voice〉 are the works based on a similar motif of seeing human beings" inner worlds or hearing human beings think in their min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is to make a comparative review on the two narratives by examining metonymy and metaphor appearing in the main motifs of tales and dramas and analyzing the meanings of them. Firstly, the main motifs of this tale are mysterious competence of tiger"s eyebrow, switching for spouse, and a poor man becoming rich. These motifs can be interpreted as metonymy of desires to look through human beings" nature, contemporary people"s marriage life and ordinary people"s poor life. On the great chain metaphor levels, fable can be interpreted as metaphor of the reversal of life impossible to materialize in real life. The main motifs of this drama are supernatural powers to read people"s mind, every unchanged heart of a male central character and vengeance representing "eye for eye" and "mouth for mouth", etc. These motifs can be understood as metonymy expressions : truth and falsity, contemporary people"s love and marriage and the maintenance of social orders by accomplishing legalism. On the great chain metaphor levels, drama can be also regarded as metaphor which implies a general feature contemporary people watch TV drama. Seeing from the interpretation of metonymy on the basis of temporal and spatial affinity, the two narratives imply a lot of common features. One of the starkest features is that they absorb in contemporary people"s individual situations to evoke up people"s sympathy or indefinitely assume the metonymy of desires for the reality. Deducing the general features which these two narratives metaphorize on the levels of great chain metaphor, it can be seen that the two narratives are very close. This fable expresses a desire to change the reality based on fantasy and topple up the system. However at last, it just remains as a substitute satisfaction by developing a narrative. This drama underlies the supremacy for the system and the advocacy for a system. Viewers might reversely have some doubt or a sense of unstability for the absence of elements and subject-matter which can upset the reality, say, can relieve off the sense of anxiety for the reality in drama.

      • KCI등재

        담론과 대화의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 속담 수업 연구

        김금숙(Kim, Gum-Su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1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한국어 속담 수업을 위한 새로운 수업 모형을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계획 단계, 교실 수업 단계, 외부(교실 밖)로의 확장 단계로 구성된 담론과 대화의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속담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은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구체적인 수업 방식은 학습자 간의 대화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단계별로 구체적인 수업 장면들을 분석하면서 속담 수업에서 담론과 대화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그 효과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수업 장면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학습자들은 담론의 정보 전달을 통해 속담의 언어적 의미와 문화적 요소들에 대해 잘 이해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대화를 통해서는 학습자들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지식과 문화적 배경들이 한국 속담과 어우러져서 보다 풍부한 한국어 수업이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학습자들은 과제를 통해 담론과 대화를 교실 밖, 외부 상황으로 확장시켜 나가면서 속담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표현 능력까지 기를 수 있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수업 모형은 속담이 지닌 가치를 잘 활용하면서 학습자들의 역량을 이끌어내는 데 유용한 면을 많이 지니고 있었다. 단순히 속담을 배우는 데 머무는 것이 아니라 교실에서 배운 속담을 더 잘 이해하고, 속담을 활용해서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데까지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new teaching model for using proverbs in Korean conversation classes and applying it in practice in teaching sites to verify its efficacy. To this end, the study organizes the proverb based class model into a planning phase, a classroom phase and an extracurricular phase based. The teaching method for this class focuses on dialogue amongst advanced learners. The analysis of the class is as follows: it is verified that proverb based classes were somewhat effective at achieving its goals. First, the learner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ultural context and meaning of the proverbs through discussions. Also, based on dialogues among the learners, they were able to exte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in various ways. They voluntarily extended these discussions and use of the proverbs to activities outside the classroom. Based on this, they were able to improve their Korean ability and expand their 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the use of Korean proverbs in a variety of indirect experiences.

      • KCI등재

        삼당시인(三唐詩人)의 시(詩)에 나타난 세계(世界) 인식(認識) 연구(硏究) - "길"에서의 시적 자아의 움직임을 중심(中心)으로 -

        김금숙 ( Gum Suk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6 漢文古典硏究 Vol.32 No.1

        본고의 연구 목적은 시 속에 반영된 삼당시인의 세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에 나타난 ‘길’에서의 시적 자아의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최경창의 시에서 시적 자아의 움직임은 목적지를 향해 가는 ‘떠남[移動]’과 정치 현실에서의 좌절인 ‘길 잃음[迷路]’으로 나타난다. 현실 세계에서 인정받고 더 높은 관직에 오르기를 바라는 시적 자아가 현실적인 지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좌절을 겪기도 하는 것이다. 백광훈의 경우에는 움직임이 잘 드러나지않는 ‘머무름[淹留]’과 두려움, 겁냄, 부끄러움 등이 나타난다. 시적 자아의 현실 속에서는 벼슬을 해야 하는 현실과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은 현실이 충돌하고 있다. 이달의 경우 시적 자아의 움직임은 定處가 없는 ‘떠돎[流浪]’과 시인으로서의 삶에 대한 자족감으로 나타난다. 시에서 자주 보이는 ‘집 없음[無家]’은 자신만의 공간인 집에 대한 추구로 이어진다. 시적 자아는 현실 공간에 대해 거리감을 드러내지만 시인으로서의 방랑을 기꺼이 받아들인다. 시적 자아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세 시인의 현실과 세계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 볼 수 있다. 최경창의 시에서는 시적 자아의 현실과 현실 세계가 일치한다. 그 속에서 시적 자아가 추구하는 지향점은 현실 세계로 향하고 있다. 백광훈의 시에서는 시적 자아의 현실이 정치 현실과 고향으로 분열되어 있다. 또 시적자아의 지향점이 향하는 방향을 파악할 수 없다. 이달의 시에서 시적 자아는 현실 세계에 대해 거리를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시적 자아의 지향은 현실이 아니라 시적 자아가 꿈꾸는 세계를 향하고 있다. 세 시인의 세계 인식을 비교해 보면 현실에 대한 인식도, 시적 자아가 꿈꾸는 세계도, 추구의 방향도 다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Sam Dang poets(三唐詩人)`` world. For this, it``s to analyze the movement of the poetic self in ``Way‘. The movement of the poetic self in Choi Gyeong-chang(崔慶昌)``s poems is shown with ``Leaving`` toward to a destination and ``Losing one``s way`` frustrated in the political reality. The poetic self that wants to be recognized in the real world and to hold higher government positions has also suffered a defeat in the process of seeking a realistic orientation. In the case of Baek Gwang-hun(白光勳), ``Staying`` the movement does not reveal well and fear appear. In the reality of the poetic self, we see the collision between the reality he has to take up a public office and the reality he wants to return to his homeland. For lee Dal(李達), the movement of the poetic self appear as aimless ``Wandering`` and self-sufficiency for life as a poet. ``Homeless`` seen frequently in his poems leads to the pursuit of his own space, home. The poetic self feels the distance to the real space but accepts wandering as a poet.Based on the movement of the poetic self, the reality and perception of the world of three poets can be compared. In Choi Gyeong-chang``s poems, the reality of the poetic self and the real world coincide. The orientation which the poetic self seeks in it is heading into the real world. In Baek Gwang-hun``s poems, the reality of the poetic self is divided into political reality and homeland. The direction toward the orientation of the poetic self cannot be investigated. In Lee Dal``s poems, the poetic self recognizes the distance to the real world. The poetic self is heading into the world which poetic self dreams rather than the reality. Comparing the three poets`` perception of the world, the awareness on the reality, the world which the poetic self dreams and the direction of pursuit can be seen differ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