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순사상의 우주론 연구

        김귀만(金貴滿)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4 No.-

        우주의 근원에 대한 탐구가 인간의 본질을 밝히는 데 우선되어야 함은 이미 여러 종교사상의 연구에서 제시되어 왔다. 대순사상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해서도 역시 우주론적 접근이 요청된다. 우주론은 철학의 영역에서 형이상학의 범주에 속한다. 그리고 그 주된 방법은 우주를 생성의 관점과 구조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물론 현대의 과학적 우주론은 형이상학적인 부분을 다루지 않지만 물리법칙을 넘어선 영역인 우주의 근원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종교적 고찰이 필요하다. 대순사상의 우주론의 체계는 크게 우주의 생성과 구조를 다룬다. 대순사상의 우주생성론은 구천상제의 대순을 기반으로 한 창조론에 가깝다. 그리고 우주는 삼계라는 구조를 지닌다. 천·지·인의 삼계(三界)는 천지가 인간을 낳아 쓰고자 하는 데서 유래한다. 따라서 인간은 무심코 이 우주에 던져진 존재가 아니라 천지의 기획에 의해 의도적으로 출현한 존재이다. 이것이 바로 대순사상에서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는 시작점이 된다. 그러나 인류의 교만은 삼계의 혼란을 불러와 결국 우주적 진멸상태에 봉착한다. 삼계의 역사(役事)를 위해 탄생한 인류는 그 목적을 이루지 못한 채 좌절하게 되지만 구천상제의 대순에 의해 삼계의 질서가 회복되고 인존시대가 도래해 다시 우주적 존재로서의 역할을 다하게 된다. 우주가 탄생하고 변화하는 그 근원에는 대순이라는 궁극적 실재의 역사가 자리한다. 그리고 그 대순이라는 우주적 가치가 인간에게 내재되니 그것이 바로 인존(人尊)으로 드러나게 된다. 인간은 인존이라는 현실태를 지닌 가능태로 거듭나게 되며, 이것이 대순사상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질이라 할 수 있겠다. It has been suggested in various studies of religious thoughts that the source of the universe must be explored first in order to discover the human nature. This is the same for defining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a cosmological approach is the first step. Cosmology is in the category of metaphysics in philosophy. The main way to study cosmology is to see how the universe was originated and become into this structure. Of course the current scientific cosmology do not deal with metaphysical views. However, we need a religious view to understand the source of the universe, which goes beyond the rules of physics. Cosmology of Daesoon thought in large deals with the birth and evolution and structure of the universe. Cosmogony of Daesoon thought is close to creation doctrine based on the Reordering Works of the Universe by Gucheon Sangje(Supreme God) through His Daesoon(Great Itineration of Three Realms). Here, the universe is made of Three Realms: Heaven, Earth, and Humanity. In Daesoon thought, this three-world structure of the universe had been formed to give birth to humanity and use them for heavenly purpose. Therefore, human beings were not just thrown to the universe but they were intentionally born according to the plan of heaven and earth. This is the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However, the arrogance of humanity brought chaos in Three Realms and in the end made the world fall on the verge of universal annihilation. Then humanity, who were originally born for fulfilling the great universal purpose, became frustrated as they became unable to achieve it. At this time of crisis, Gucheon Sangje made Daesoon around the Three Realms to restore order, open the era of Human Nobility, and let human beings to play their roles for their existence. Under the phenomenon of birth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is the universal work called Daesoon which became the principle of ultimate reality. Also, the universal value of Daesoon is given to humanity, who will then manifest the value by enhancing themselves to the state of Human Nobility. Through the Daesoon of Gucheon Sangje, human beings are reborn into the potentiality that contains actuality of Human Nobility. I would say this is the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 KCI등재

        조선 16∼17세기 관요(官窯) ‘별(別)’명 백자의 성격과 제작 배경

        김귀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5 No.2

        이 글은 조선 16∼17세기 관요(官窯)에서 제작된 ‘별(別)’명 백자의 성격과 제작 배경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별’명 백자는 1560년대 이후 ‘좌(左)·우(右)’명 백자와 함께 관요 백자의 이원적(二元的)인 명문 체계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별’명 백자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15∼17세기 관요 백자에 새겨지는 명문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웠다. ‘별’명 백자는 1560년대부터 1640년대까지 관요에서 생산되었다. 관요는 연례진상자기(年例進上磁器) 이외에 왕실이나 조선 조정의 요구에 대응하여 별기(別器)를 제작·공급하였다. ‘별’명 백자는 별번(別燔)을 통해 생산한 별기이다. 별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크게 국용(國用)과 내용(內用)으로 구분된다. 다만, 그릇에 ‘별(別)’만 표기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명의 성격을 정확히 언급하기 어렵다. 연례진상자기가 별기로, 별기가 또 다른 목적으로 전용(轉用)되면서 소비와 관련된 명문이 백자에 점각(點刻)되었다. 16세기 왕실은 신유공안(辛酉貢案)을 바탕으로 백자 소비를 확대하였다. 왕실은 1560년대 관요의 운영 상황이 악화된 상황에서 최상품(最上品) 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별’이라는 명문을 활용하였다. 관요 백자는 생산단계에서부터 연례진상자기인 ‘좌·우’명 백자와 별기인 ‘별’명 백자로 구분·관리되었다. ‘별’명 백자는 1640년대까지 제작되었다. 1640년대 중·후반은 관요에서 별번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었다. 1659년경부터는 연례진상자기를 만드는 백토(白土)와 별기 소용 백토를 다른 지역에서 공급받았다. 당시 연례진상자기는 원주토(原州土)·서산토(瑞山土), 별기는 경주토(慶州土)·선천토(宣川土)를 원료로 사용하였다. 문헌(文獻)에 의하면 경주토·선천토가 원주토·서산토에 비해 훨씬 정결(精潔)하였다. 별번은 백토부터 별도로 채굴·관리하는 체계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특정한 명문을 통해 별기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성이 감소되었고, 결국 ‘별’명 백자는 소멸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the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 with the “Byeol(別)” inscription. Such porcelain was produced by the government-run porcelain kiln, Gwanyo(官窯), in the 16th and 17thcenturies (from the 1560s to the 1640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white porcelain ware, inscribed with either the term Byeol or “jwa(左)”and “u(右),” constituted a dual production system of white porcelain by Gwanyo starting in the 1560s. However, to date, few studies have examined Byeol-inscribed white porcelain. This, therefore, makes it difficult to achie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 of inscriptions on the white porcelain produced by Gwanyo in the 15thto 17th centuries. Besides a regular annual stock of porcelain(例進上磁器), Gwanyo also produced and supplied additional porcelain ware,or Byeol-gi, at the behest of the royal family or the court of Joseon. Byeol-inscribed white porcelain is a form of Byeol-gi, produced through extra firing, or Byeolbeon(別燔). According to use, Byeol-gi can be categorized as an itemfor national use(國用) or an itemfor internal use(內用). However, ifthe porcelain only carries the “Byeol (別)”inscription, it is difficult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Furthermore, as part of the annual production of porcelain was for the supply of Byeol-gi, and then for otherpurposes, the white porcelain came to be inscribed with dotsindicating a change in ownership. In the 16thcentury, the royal family increased its consumption of white porcelain based on Shinyu Gongan(辛酉貢案), the government’s fiscal reform measures. To guarantee a stable supply of exceptional Byeol-giin light of Gwanyo’s decline in the 1560s, the royal family benefited fromthe inscription of “Byeol.” The white porcelain produced by Gwanyo was divided into annual offerings-those with the inscriptions “jwa(左)” and “u(右)”-and Byeol-gi, those with the inscription of “Byeol.” They were managed separatelyfrom the commencement of production. Byeol-inscribed white porcelain was produced until the 1640s. During the mid-and late 1640s, Byeolbeon was temporarily suspended. Starting in the 1650s, the white clay usedto produce the annual stock of white porcelain was sourced from regions other than those providing the clay for Byeol-gi production. The former used clay from Wonju(原州土) and Seosan(瑞山土), while the latter used clay from Gyeongju(慶州土) and Seoncheon(宣川土). According to the literature, the clay from Gyeongju and Seoncheon was much cleaner than that from Wonju and Seosan. Byeolbeon thus underwent a transformation, whereby production was separately managed, right from the stage of white clay mining. Ultimately, the need for the separate management of Byeol-githrough inscriptions diminished, resulting in the disappearance of Byeol-inscribed white porcelain.

      • KCI등재
      • KCI등재

        출토 백자를 통해 본 조선시대 독산성의 변천 과정

        김귀한(Kim Kwihan)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19

        독산성은 15∼16세기의 상황을 알려주는 문헌이나 물질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독산성에관한 기존의 연구는 사료가 풍부한 임진왜란 이후의 시기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연구 경향으로인해 조선시대 독산성의 성격 변화를 구조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웠다. 이 글은 독산성에서출토된 백자를 통해 조선시대 독산성의 변천 과정을 당시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 유기적으로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독산성에서 수습된 백자는 대부분 18∼19세기에 제작되었다. 17세기로 추정해 볼 수 있는유물도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15∼16세기에 생산된 자기(磁器)는 소수에 불과하였다. 이와같은 백자의 출토현황은 17세기 이후 독산성의 성격이 변화된 사실을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15∼16세기 독산성은 수원부의 입보용(入保用) 산성(山城)이었다. 조선 초 산성은 전쟁 등비상시에만 활용하는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세종대 산성에서 읍성(邑城) 중심의 방어체제로전환되면서 ‘수원(水源)’을 확보하기 힘든 독산성이 정비될 가능성은 희박하였다. 독산성은임진왜란 당시에도 ‘고성(古城)’이라는 이미지(image)가 강하였다. 임진왜란 중 독산성은 수축(修築)되었으나 전쟁이 끝나자 다시 관리가 되지 않았다. 이는 비상시적인 입보성의 일반적인 한계였다. 17세기 이후 독산성은 비상시적인 입보성에서 상시적인 군사적 공간이자, 민들의 생활공간으로 변모하였다. 조선 조정은 임진왜란이 종결된 이후 양호(兩湖)의 도적이 증가하자 독산성에 도성을 보호하기 위한 치안(治安) 기능을 부여하였다. 성내에 우물을 만들고, 밭을 일구어식량을 확보하였다. 군사훈련도 실시하였다. 독산성은 백성과 군인 등이 항시 거주하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독산성 내에 사람이 생활하게 되면서 백자의 수요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독산성에서 이 시기 백자가 집중적으로 확인되는 것은 독산성의 성격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것으로 추정된다. 요컨대 독산성에서 출토된 백자는 독산성이 15∼16세기 비상시적인 입보성에서 17세기이후 상시적인 공간으로 변모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물질자료(物質資料)이다. 아울러 문헌을 통해 17세기 이후 독산성의 성격이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조선시대독산성의 변천 과정을 유물과 문헌을 바탕으로 역사고고학적인 시각에서 검토하였다는 데에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re is a lack of literature on Doksanseong, a fortress near Suwon, that describes the situation of the fortress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s a result, study of this fortress has concentrated on the period of the post-Japanese Invasions of Korea, which offers a relative wealth of material for study. However, for these reasons,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of Doksans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ructurally explain the process of Doksanseong’s transformation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white porcelain fragments excavated from the fortress site. Most of the white porcelain fragments recovered from the site were creat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n addition, relics estimated to have been made in the 17th century have also been recovered. Only a few porcelains were made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e periodical distribution of such relics is proof that the character of Doksanseong changed around the 17th century. During the 15th and 16th centuries, Doksanseong was a mountain fortress that was built to protect people in the Suwon are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mountain fortresses were treated as places for emergency use only, such as war. With the transition from a mountain fortress to an “Eupseong” town wall-centered defense system during King Sejong s time, it was unlikely that Doksanseong would be rebuilt, as it no longer played the role of defending Suwon. Doksanseong had a strong image of an “ancient fortress” eve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1592–1598.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it was renovated. However, when the war ended, it was no longer maintained. This was a common limitation of fortresses that were made to protect people for emergency use. During the early 17th century, Doksanseong was transformed into a permanent military space and a living space for citizens from a protective area for emergency use. The court of the Joseon Dynasty added security functionality for Doksanseong to protect the capital city as the number of bandits increas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ended. They also built wells within the fortress and cultivated farms to secure food. Military training was also conducted. Doksanseong was now used as a place of residence where common citizens and soldiers stayed. It is likely that the demand for white porcelain increased as people started to actually settle down in the fortress. The vast quantity of white porcelain at the time found in Doksanseong is believ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in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