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내 버스 데이터와 고속도로 요금소간 통행 데이터를 활용한 전염병 확산 시뮬레이션

        권오규,손우식,이상희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7 한국시뮬레이션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지역적인 규모와 전국적인 규모가 함께 고려된 교통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전염병 확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내버스 데이터를 활용한 읍면동 행정구역 단위의 지역적인 그리고 고속도로 통행 데이터를 이용한 시군구 행정구역 단위의 전국적인 인구 이동을 가늠할수 있는 교통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읍면동 행정구역 단위의 인구 집단 내에서 SIR 모델에 따라 감염자 수의 증감이 결정되고 교통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간 감염자의 확산이 이루어 진다. 시뮬레이션 결과 지역적인 교통 네트워 크만 고려된 상황에서는 순차적으로 이웃 지역 으로 퍼져나가는 감염 확산 페턴이 보이는 반면, 전국적인 교통 네트워크가 함께 고려된 상황에서는 좀 더 빠르고 먼 지역으로 건너뛰는 전염 확산 패턴이 보인다.

      • KCI등재

        Spatial Spreading of Infectious Disease via Local and National Mobility Networks in South Korea

        권오규,손우식 한국물리학회 2017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71 No.12

        We study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based on local- and national-scale mobility networks. We construct a local mobility network using data on urban bus services to estimate local-scale movement of people. We also construct a national mobility network from orientation-destination data of vehicular traffic between highway tollgates to evaluate national-scale movement of people. A metapopulation model is used to simulate the spread of epidemics. Thus, the number of infected people is simulated using a susceptible-infectious-recovered (SIR) model within the administrative division, and inter-division spread of infected people is determined through local and national mobility networks. In this paper, we consider two scenarios for epidemic spread. In the first, the infectious disease only spreads through local-scale movement of people, that is, the local mobility network. In the second, it spreads via both local and national mobility networks. For the former, the simulation results show infected people sequentially spread to neighboring divisions. Yet for the latter, we observe a faster spreading pattern to distant divisions. Thus, we confirm the national mobility network enhances synchronization among the incidence profiles of all administrative divisions.

      • 교통 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확산의 시뮬레이션 연구

        권오규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8 No.-

        지역적인 규모와 전국적인 규모가 함께 고려된 교통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전염병 확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내버스 데이터를 활용한 읍면동 행정구역 단위의 지역적인 그리고 고속도로 통행 데이터를 활용한 시군구 행정구역 단위의 전국적인 인구 이동을 가늠할 수 있는 교통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읍면동 행정구역 단위의 인구 집단 내에서 SIR 모델에 따라 감염자 수의 증감이 결정되고 교통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간 감염자의 확산이 이루어지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지역적인 교통 네트워크만 고려된 상황에서는 순차적으로 이웃 지역으로 퍼져나가는 감염 확산 패턴이 보이는 반면, 전국적인 교통 네트워크가 함께 고려된 상황에서는 좀 더 빠르고 먼 지역으로 건너뛰는 전염 확산 패턴이 보인다.

      • KCI등재

        Diver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urname Structure in South Korea

        권오규,손우식 한국물리학회 2015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7 No.9

        We studied the population structure of South Korea by using the distributions of surnames for all 246 administrative regions. Every 4,177 surnames are distinguished by their bon-gwan which indicates the place of their family clans. Using Fisher’s Alpha, we found that the level of inbreeding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capital Seoul increases. We introduced the Shannon index to measure the level of spatial diffusion for each surname population, and the geographical clusters based on similarities of the surname compositions among the regions show almost exact agreement with those at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 구글 이미지 검색을 활용한 지역 클러스터링 기법

        권오규 대한산업공학회 2019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4

        특정 지역의 이름을 검색어로하여 구글에서 이미지 검색을 할 수 있다. 그렇게 검색된 이미지들로부터 그 이미지에 사용된 색들의 분포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각 지역마다 그 자신에 대응되는 특징 벡터로 색의 분포를 지정할 수 있고, 그 벡터들로부터 지역의 관계를 수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계산 결과로 지역의 관계에 대한 연결 구조를 그려보거나 클러스터링할 수 있다. 구글의 이미지 검색으로 도시나 관광지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수목장의 의식비교를 통한 한국의 적합한 수목장에 대한 연구 ─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

        권오규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3

        한국의 장묘 방법의 대부분은 매장묘지와 납골당묘지로 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토 및 임야의 효율적 이용 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매장묘지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 (산림 청), 지방자치단체 (인천광역시), 종교법인 (은회사)에서는 새로운 장묘 방법인 수목장을 조성하여 운영 하기시작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수목장에 대한 의식비교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80% 이상이 기존의 매장묘지 및 납골당묘지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은 장묘문화에 대한 제반 문 제점이 산적해 있고, 수목장에 대한 전문가가 없는 상태에서 관리 및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어 국민들의 기대와 요구에 부응한 기능 발휘를 할 수 없는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환경 친화적 인 수목장은 새로운 장묘 문화로의 전환이다. 일본의 이와테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知勝院의 경우에 는 수목장 조성이 지역 정주 환경 개선에 영향을 주었고, 살기 좋은 마을 100선에 선정되어 관광객의 증가는 물론 지역경제소득 창출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주시를 대상으로 사회 환경 변화와 산림의 다양한 기능 발휘를 통해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고 지역 주민과 공존할 수 있는 지 역 상황에 적합한 수목장 조성의 필요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In Korea, most of the locations of the cemeteries and burial vault are in forest lands. The utilization of forest land for this particular purpose is very inefficent and considered to be a serious problem. National government (Forest Service), local governments (Incheon city), and religious corporation (eunhoe Temple) are creating new burial methods to solve the inefficiency in forest utilization. In this study, awareness of Koreans and Japaneses on tree burial problems were compared. Based from the results of the survey, more than 80% of the respondents are aware of the problems. However, the burial culture in Korea still has many problems.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ree burial is not being done by experts and sufficient information regarding to this type of burial still needs to developed. To solve these problems, eco-friendly burial, which is considered as new funeral culture, is now being created. In the case of Ichinoseki City in Iwate prefecture in Japan,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greatly affected the tree burial practices. This town was chosen for this study due to its characteristics of being a tourism area which greatly affecting the economy of this town. Another study site of this study was located in Sangju city. The changing social environement and the perception of the people regarding on the services being provided to the people were examined thru questionnaire survey.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practices and beliefs of the people regarding the tree buri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