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투수콘크리트 현장품질관리 지침서 개발에 관한 연구

        고은정,고은주,석호중,이혁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9 No.3

        General criteria for the quality of porous concrete have not been established yet in Korea. And yet, pavement and construction have been performed. In this paper, guidelines on the construction site quality control of porous concrete were developed in order to establish criteria for resolving the issues and problems of porous concrete, to establish methods for improving poor performance, and to manage porous concrete more systematically. In addition, a guide for the construction site quality control of porous concrete, which was appropriate for reality, was developed by researching several quality control guides and maintenance at construction sites. The guide consists of a total of nine chapters such as Application Range, Overview, the Structure of Porous Concrete, the Design of Package Thickness, Package Materials for Porous Concrete, Construction Methods, Quality Assurance and Inspections, Construction Site Quality Control, and Maintenance. It describes quality control guidelines in all steps such as methods for transporting porous concrete from the factory to the construction site, cautions for construction work at construction sites,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e Guide for the Construction Site Quality Control of Porous Concrete is expected to ensure the quality of porous concrete, to reduce national costs for quality assurance, and to help ensure the health and safety of Korean people. General criteria for the quality of porous concrete have not been established yet in Korea. And yet, pavement and construction have been performed. In this paper, guidelines on the construction site quality control of porous concrete were developed in order to establish criteria for resolving the issues and problems of porous concrete, to establish methods for improving poor performance, and to manage porous concrete more systematically. In addition, a guide for the construction site quality control of porous concrete, which was appropriate for reality, was developed by researching several quality control guides and maintenance at construction sites. The guide consists of a total of nine chapters such as Application Range, Overview, the Structure of Porous Concrete, the Design of Package Thickness, Package Materials for Porous Concrete, Construction Methods, Quality Assurance and Inspections, Construction Site Quality Control, and Maintenance. It describes quality control guidelines in all steps such as methods for transporting porous concrete from the factory to the construction site, cautions for construction work at construction sites,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e Guide for the Construction Site Quality Control of Porous Concrete is expected to ensure the quality of porous concrete, to reduce national costs for quality assurance, and to help ensure the health and safety of Korean people.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생체정보 인식 모바일 웨어러블 시스템 기반의 U-헬스캐어 서비스

        고은정,이형직,이전우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1D

        웰빙에 대한 사회의 관심이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접어들게 됨에 따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웨어러블 시스템을 위한 다양한 응용들이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서비스를 제공 할있는 U-헬스캐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센서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미들웨어, 유비쿼터스용 헬스캐어 서비스 등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생체정보 인식용 웨어러블 시스템을 위한 유비쿼터스 헬스캐어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유비쿼터스 헬스캐어 서비스는 자가진단서비스, 원격모니터링서비스, 응급관리 서비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 각각 서비스에 대해 논의해보고 더 나아가 유비쿼터스 헬스캐어 인프라를 고려한 시스템 구현을 하도록 한다.

      • KCI우수등재

        긴급차량 우선신호 운영 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

        고은정,조준한,이주영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지 Vol.39 No.3

        Recently, there is a trend of expanding the introduction of preemption/priority signals for emergency vehicles to secure golden time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fire, rescue, and first aid. A preemption/priority signal strategy to minimize the response time of emergency vehicles is required because response time is directly connected to safety and life, but in Korea, there is a limitation in application due to lack of signal operation strategy and detailed operational criteria. Besides, the transit strategy for returning to the ordinary signal is indefinite, which may adversely affect other traffic flows after passing an emergency vehicle. For this reason, this study proposes preemption/priority signal operation criteria for securing emergency vehicle golden time and minimizing congestion, suggest the appropriate preemption/priority signal operation standard and return strategy acrroding to traffic volume. Network and signal scenarios were designed and analyzed using VISSIM and VAP,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aturation in the intersection, it was found that the Preemption is advantageous when a v/c ratio above 0.4 to 0.6 and that Priority is advantageous when the v/c ratio exceeds 0.8. In the case of the transit signal, it was found that it is desirable to apply the Dwell if the difference in traffic volume between the main/minor road is 3:1 or more, and the Smooth if it is less than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proposed preemption/priority signal in Korea is expected to affect the efficient response system of emergency vehicles and increase the on-site response capacity. 최근 정부는 화재, 구조, 구급 등 긴급상황에서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긴급차량의 우선신호 도입과 운영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긴급차량의 출동시간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직결되므로 출동시간을 최소화하는 우선신호 전략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우선신호 운영전략과 세부기준이 미흡하여 적용에 한계가 존재하며, 우선신호 운영 후 일반신호로 복귀되는 전이 전략이 확보되지 않아 긴급차량 통과 후 일반 교통류에 악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긴급차량 골든타임 확보와 일반차량 통행불편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여 교통량에 따른 적절한 우선신호 운영기준 및 복귀 전략을 제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미시적인 교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VISSIM과 VAP을 활용하여 기본적인 분석 네트워크와 시나리오를 설계하였다. 우선신호 제어전략 분석 결과, 우선신호기법은 교차로 포화도에 따라 v/c=0.4-06 상태는 Preemption, v/c=0.8인 상태는 Priority 기법이 긴급차량의 이동성과 일반차량 혼잡 완화 측면에서 우수하였다. 또한 일반신호로의 복귀기법은 주 ‧ 부도로의 교통량 차이가 3:1 이상이면 Dwell 기법, 그 외 조건은 Smooth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우선신호 이전 수준의 소통상황으로 회복하는데 우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량에 따라 적절한 우선신호 운영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실제 현장에서 골든타임 확보와 이에 따른 현장 대응능력을 높힐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중년층의 구강건강지식, 실천 및 보철치료 만족실태 조사

        고은정,이용환,박광환,Go, Eun-Jeong,Lee, Yong-Hwan,Park, Kwang-Hwan 한국치위생학회 2011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0 No.2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actual oral health care of the selected subjects, their decision making about prosthetic treatment, the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prosthetic treatment and their satisfaction with prosthetic treatment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and the promotion of oral health.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0 people who received education in two differen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city of Busa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3 to June 15, 2011, the answer sheets from 217 respondents were analyzed. Results : 1.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men(52.1%) outnumbered the women. Those who were in their 60 and up(47.5%) made up the largest age group, and the married people(65.4%) outnumbered the unmarried ones. By occupation, the company employees(20.3%) made up the biggest group. By education, the greatest group was high-school graduates(36.1%). By monthly mean income, the biggest group gained an income of 2.01 million won or more(36.9%). As to medical security, community-based insurance was most prevailing (36.9%). In terms of health promotion, the largest group worked out to stay fit(52.4%). 2. Regarding oral health knowledge, they had a good knowledge about the cause of dental caries(56.7%), but they weren't well aware of the right time for regular dental checkup(47.9%). In relation to oral health care, regular scaling wasn't prevailing(16.9%). 3. Regarding connection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with prosthesis, the less-educated respondents expressed significantly more dissatisfaction(p=0.015). By monthly mean income, those who had a smaller income were dissatisfied in general(p=0.028).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it's required to sprea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among people in general, and that differentiated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should be provided for different age groups. In order to raise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with prosthesis, how to relieve their pain and anxiety and how to adjust prosthetic treatment cost properly should carefully be considered.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take measures to offer assistance for the low-income classes in preparation for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 체험교육을 통한 대학생의 장애인식개선 효과 연구

        고은정 한국복지상담실천학회 2020 한국복지상담실천학회지 Vol.1 No.-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반적인 장애인식에 대해 살펴보고 체험형 장애인식개선교육을 통해 비장애 대학생의 장애인식개선 여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희망나루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비장애 대학생의 장애 인식개선 효과에 대해 검증한 결과, 참여 대학생의 장애인편의시설에 대한 인식은 사전 사후검사 비교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희망나루 장애체험프로그램은 장애인편의시설에 대한 인식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 대학생의 성별, 종교, 주위의 장애인 유무는 장애인에 대한 수용태도와 일반적 인식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인편의시설에 대한 인식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disabled in college students and to find out whether they improved the disabled awareness in non-disabled college students through hands-on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 review of the effects of improving the perception of disabilities among non-disabled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Hopeful dock disability experience program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by comparing with the previous post-mortem examination, and the Hope Naru experienc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erception of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t also showed that the gender, religion, and presence of the disabled by participating college student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acceptance attitude and general perception of the disabled, but it also had a static impact on the perception of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KCI등재

        예비화학교사가 수강한 과학교육 과목이 학습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고은정,최병순,Koh, Eun-Jung,Choi, Byung-Soon 대한화학회 2014 대한화학회지 Vol.5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화학교사들이 사범대학에서 수강한 과학교육 과목은 학습관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3인의 학습관 및 수강한 과학교육 과목과 관련한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과학교육 과목의 수강을 통해 자신의 학습관을 변화, 수정하거나 유지, 강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과학교육 과목을 수강하기 전에 지녔던 예비교사 K와 P의 전통적 학습관은 과학교육 과목의 수강을 통해 구성주의적 학습관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구성주의 학습관은, 학교 현장 실제성에 바탕을 둔 과학교육 과목 수강 이후에 다시 현장의 수업 상황을 고려하여 수정되고 변형되었다. 예비교사 H는 이전부터 지녔던 구성주의적 학습관에 전통적 학습관을 추가하여 지니게 되었다. 이로부터 정도와 방향의 차이는 있지만 예비교사 K, P, H 모두 과학교육 과목의 수강을 통해 학습관을 고찰하고 수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론의 현장 적용을 강조한 과학교육 과목이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자신의 학습관을 고찰하고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교원 양성대학의 과학교육 과목의 내용에 현장성이 많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예비교사별 맞춤식 교수활동 및 학습관 정립을 위한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과정이 포함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view of learning focused on the influence of science education courses that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had learned. Thre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Documen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courses, survey data about their view of learning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transcrib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is study,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had changed, modified, maintained and strengthened their view of learning while they took the science education courses. Pre-service teacher K and P had changed their traditional view to the constructive view and then had modified their view by adding the reality. And pre-service teacher H had modified his constructive view with some traditional view. All Pre-service teachers had modified their own view of learning because of the science education course that emphasized the real field situation. As discussed above, science education courses focused on the applying the theory to real teaching situation gave the opportunity to modify pre-service teachers' own view of learning. It implied that the science education courses learned in the teachers college have to include contents based on real teaching situation and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for establishing their view of learning and customized teaching activities.

      • KCI등재

        미국 도입 수수 유전자원의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

        고은정,유지혜,성은수,이재근,황인성,김남준,유창연 한국자원식물학회 2012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5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orghum bicolor germplasms introduced from USA. Plant height, stem diameter, tiller number, leaf length, leaf width, leaf vein color, ear type, ear length and ear width have different from the cultivated accessions. Sweet-N-Sterile (#4) showed the tallest height,widest ear-width and stem diameter. Most of Sorghum bicolor plants may be available to use for bio-energy from these results showing big biomass. Antioxidant activities of 11 cultivars collected from USA were examined by DPPH assay and reducing power. Among the cultivars, Premium stock (#1), Early Sumac (#7), SS Silage (#9) and WGF Grain Sorghum (#11)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n comparison to others. Early Sumac (#7) and SS silage (#9)showed more strong reducing power activities than α-tocopherol, a positive control. Premium stock (#1), Sweet-N-Sterile (#4), Early Sumac (#7) and SS Silage (#9) were also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by DPPH assay and reducing power experiment. BMR Gold I (#3) display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a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125 μg/ml). 본 연구는 미국 수수 수집종의 작물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부분의 미국 수수 수집종은 200 cm 이상의 큰 초장을 보였으며, 간경 또한 2cm 이상의 값을 나타냈다. 수수 수집종 중에서는 Sweet-N-Sterile(#4)이 가장 우량한 수수의 생장 특성을 보였다. 수수의 DPPH를 이용한 활성 검정 결과, Premium stock (#1), Early Sumac(#7), SS Silage(#9), WGF Grain Sorghum(#11) 4개의 수집종에서 기존의 항산화제인 α-tocopherol과 BHA와 비슷한 활성을 보였고 BHT보다는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미생물 실험결과 BMR Gold I(#3)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Escherichia coli 에서 125 μg/ml으로 높은 활성수치를 나타냈다.

      • 중차량 영향을 고려한 편도 2차로 고속도로 공사구간 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

        고은정,장기태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8 No.-

        본 연구는 2개 차로 중 1개 차로를 차단하고 도로점용공사를 시행하는 고속도로 내 공사구간의 중차량 비에 따른 기본용량 및 추정식을 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영동고속도로와 중부내륙고속도로 공사구간의 CCTV 영상자료를 수집하고, 정체 후 병목의 통과 교통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고속도로 하류부 지점의 통과교통량을 분석하였다. 공사구간 용량 추청에 있어 차종별 차두간격 분포를 추정하고, 적합도 검증(GOF test)를 통해 적합한 용량 분포를 산정한다. 이를 통해 중차량 비에 따른 무작위 추출(Random sampling)기반의 일반적인 용량의 추정식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2→1차로 차단 고속도로의 공사구간에서 국내 현실에 적합한 용량추정 및 추정식 제시를 통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교통 관리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실존적 영적 안녕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고은정,김주은,조요한,신성만 한국재활심리학회 2019 재활심리연구 Vol.26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We collected data from a total of 230 college students, and after excluding 18 participants, we analyzed data from 212 participants who were enrolled in colleg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Gyeongsang province, or Jeolla provi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to test the fit of the hypothesized model and to estimate effects of the variables of inter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martphone addicti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Furth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on smartphone addiction, which indicates that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tervention and follow-up research for college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 건전화를 위한 자기주식 과다보유 제한의 정합성 검토

        고은정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과기업연구 Vol.9 No.2

        2012년 개정 전 상법은 자기주식 취득(stock repurchase, share repurchase)을 제한하고 특정목적에 의한 자기주식 취득만을 허용하였으나, 2012년 개정 상법은 자유롭고 창의적인 기업 경영활동을 지원하고 국제수준에 맞게 회사제도를 선진화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목표로 자기주식 취득을 원칙적으로 허용하였다. 개정 상법은 자기주식취득의 재원규제를 설정하여, 이익배당가능액 한도에서 자기주식 취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기업들은 자기주식 취득의 자율성이 보장되었지만, 자기주식 취득 목적과 취득 후의 기업 지배권 변동의 불투명과 주주 간의 자기주식매도 기회의 불평등을 낳았다. 자기주식 취득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현상에 대해 원인을 지적하고, 해결방안을 제안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자기주식의 과다보유 현상의 주요한 문제점은, 첫째, 정보의 비대칭으로 인한 대리인 비용을 심화시킨다. 기업의 내부자인 임원, 이사 및 경영자들이기업내부 정보를 이용하여 주가조작이나 시세조종 행위 등에 가담할 가능성이 높다는사실은 대리인 이론을 통해 증명되고 있다. 주주총회를 거지치 않고 이사회의 결의만으로 자기주식을 취득하고 처분하는 행위는 기업의 지배주주나 특정인의 이익을 위해서자기주식 취득이 악용될 가능성을 높인다. 자기주식 취득의 폐단은 주주들에게 피해를주고 특히 절대적 약자인 소수주주들은 결과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자기주식의 과다보유 현상은 주주의 권리를 약화시키고 피해를 줄 수 있다는 합리적인 의심의 개연성이증폭된다. 본 논문은 자기주식 과다보유 현상의 원인을 자기주식의 처분 및 이익소각에 관한 절차의 입법부재와 자기주식 취득에 있어 명의차용 및 상법 제341조제1항에서 규정하고있는 ‘이익배당가능액’의 상한선을 규정하지 않는 현행 상법에서 살핀다. 미국과 일본, 독일의 자기주식 취득 현황과 각국의 자기주식 취득 재원과 취득 규정을 조사하고 자기주식 취득의 제한 조항을 비교법적으로 검토한다. 기업지배구조 건전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지적하고 현상을 분석한 후, 자기주식 취득 과다보유를 억제할규제 신설을 위한 당위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자기주식최대보유 상한 설정과 자기주식의 처분 절차에 관한 규제 신설, 상법 제343조의 주식소각의 절차를통한 통제, 타인명의 자기주식 취득 금지규정 등을 통해 상법에 명문으로 타인명의 자기주식 취득 금지 규정을 두는 것을 제안한다. Recently the principles of Corporate Governance have been modified in many countries. Under the 2012 revised Korean Commercial Code, the stock repurchase is permitted with the profit available for dividends. As a consequence, the stock repurchase amount has been increasing sharply. Imbalance between treasury stock and regulation method are resolved by Commercial Law. Excessive possession of treasury stocks lead to inequality of dominance in corporation and excessive possession of treasury stocks make shareholder’s right weak. Firstly, This paper suggests that stock repurchase amount has to be restricted to 10% of the total number of issued stocks. In conclusion, the extension of r shareholders’ rights will help to improve the Corporate Governance. Secondly, Regula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procedure of treasury stock. Disposition of treasury stock is similar to issue of new shares, illegitimate disposition of treasury stock is strongly prohibited. Thirdly, Commercial Law §343, Stock incineration procedures should be regulated. The simplification of the profit incineration process contribute to excessive possession of treasury stocks. Conclusionly, Commercial Law Must create a new rule to prohibit third parties from owning own shares. This paper suggests that stock repurchase amount has to be restricted sternly. The extension of shareholders’ rights will help to improve the Corporate Governance. Above four measures can strengthen shareholders’ rights. The author hope that the suggested measures will contribute to desirable the Korean Corporate Gover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