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청소년 자녀진로태도 간의 관계: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자녀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예나(慶예나),박선영(朴善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성취동기를 통해 자녀의 성숙한 진로태도와 가지는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MAPS: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의 8차년도 자료 중 외국인 어머니와 16-19세 사이의 청소년 자녀로 이루어진 1,137쌍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의 진로태도 간의 관계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성취동기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양육효능감과 부적 관계,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성취동기는 정적 관계를 나타냈고, 자녀의 성취동기는 성숙한 진로태도와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준비 정도가 개인의 심리내적 요인뿐 아니라 맥락적 변인에 의해 예측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가 다문화 가정과 관련한 상담 및 교육에 갖는 함의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lications of immigrant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on their children’s career attitudes and whether parenting efficacy beliefs and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mediate this link. The sample used in the present study was derived from the 8th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in South Korea, and it consisted of 1,137 immigrant mothers and their adolescents children (ages from 16 to 19).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and children’s career attitudes is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parenting efficacy, which in turn,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career attitudes. Findings underscore the role of contextual factors in predicting adolescents’ career adjustment. Further implications for family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actic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re discussed.

      • 대사산물을 포함한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의 분석법개선 및 잔류실태 조사

        경예나 ( Yena Kyung ),이현숙 ( Hyun-sook Lee ),장문익 ( Moon-ik Chang ),이규식 ( Gyu-seek Rhee ),이한진 ( Han-jin Lee ),최은혜 ( Eun-hye Choi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현재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글리포세이트 잔류물의 정의는 GMO인 대두, 옥수수, 유채의 경우 글리포세이트와 엔-아세틸 글리포세이트의 합으로 보고 있으며, 일반 농산물의 경우 글리포세이트로 정의하고 있으며, Estimate Daily Intake 측정시엔 글리포세이트, AMPA, 엔-아세틸글리포세이트, 엔-아세틸 AMPA를 모두 포함하도록 한다. 글루포시네이트 잔류물의 정의는 글루포 시네이트와 3-methylphosphinico propionic acid를 포함하고 있으며, 글루포시네이트에 내성을 가진 GMO 작물에 사용하는 경우 엔-아세틸 글루포시네이트를 추가하여 잔류물을 정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모화합물과 글루포시네이트 대사산물 2종을 분석하던 현행 식품공전에서 글리포세이트 대사산물 3종을 포함한 글리포세이트 및 글루포시네이트 총 7종의 잔류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식품공전 시험법을 개선하고, 시험법 검증 및 기기 분석조건을 확립하였다. 또한 전처리시 시간이 오래 걸리는 유도체화 과정 및 정제, 농축과정을 생략· 개선하여 전처리 시간을 단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 물로 추출하였으며, 유지 및 비극성 갑섭 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Chloroform/Dichloromethan(95/5, v/v)으로 액액분배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Dichloromethan으로 액액분배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여 LC-MS/MS로 분석하였다. 시험법 검증을 위하여 6품목의 대표 농산물(대두, 옥수수, 감자, 현미, 감귤, 고추)을 대상으로 0.05, 0.1, 0.5 mg/kg 농도에서 회수율 실험을 한 결과 모든 처리농도 및 대상 농산물에서 70-120%의 양호한 회수율을 보였으며, 회수율에 대한 상대표준편차는 10% 이내였다. 개선된 시험법을 적용하여 국내 유통 농산물 중 옥수수와 대두를 포함한 30품목, 630건에 대하여 글리포세이트와 글리포세이트 대사산물 3종 및 글루포시네이트와 글루포시네이트 대사산물2종을 동시 분석한 결과, 글루포시네이트의 대사산물인 3-methylphosphinico propionic acid가 감자에서 2건, 양송이에서 1건, 대두에서 1건이 정량한계 이하로 검출되었으며, 나머지 626건에서는 7종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 KCI등재

        긴꼬리가루깍지벌레와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의 국내 분포 및 온도별 발육특성

        정대훈,경예,김현경,구현나,조수원,김길하,Jeong, Dae-Hoon,Kyung, Ye Jin,Kim, Hyunkyung,Koo, Hyun-Na,Cho, Soowon,Kim, Gil-Hah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2

        국내 분포조사가 되어 있지 않은 긴꼬리가루깍지벌레와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를 대상으로 3년간(2015~2017년) 281지점의 관엽식물과 666지점의 과수를 조사하였다. 관엽식물의 경우 긴꼬리가루깍지벌레는 34지점에서 발견되었고,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는 87지점에서 발견되었으나 과수에서는 두 종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분포조사를 통해 채집한 긴꼬리가루깍지벌레와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는 실내사육하며 온도별 발육특성을 조사하였다. 긴꼬리가루깍지벌레 암컷 약충은 $14^{\circ}C$에서 정상적인 발육을 하지 못하였으며, $16^{\circ}C$에서는 361.4일로 발육기간이 가장 길었으며 $32^{\circ}C$에서는 39.0일로 가장 짧았다. 긴꼬리가루깍지벌레 암컷 성충수명은 $28^{\circ}C$에서 71.7일로 가장 짧았으며, 산자수의 경우 $32^{\circ}C$에서 177.7마리로 가장 많았다.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 암컷 약충은 $12^{\circ}C$에서 정상적인 발육을 하지 못하였으며 $14^{\circ}C$에서 184.9일로 발육기간이 가장 길었으며, $28^{\circ}C$에서는 21.5일로 가장 짧았다.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 암컷 성충수명은 $28^{\circ}C$에서 51.5일로 가장 짧았으며, 산자수의 경우 $28^{\circ}C$에서 143.8마리로 가장 많았다. 세대순증가율($R_0$)과 내적자연증가율($r_m$)은 긴꼬리가루깍지벌레는 각각 $32^{\circ}C$에서 162.3, 0.127이며,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는 각각 $28^{\circ}C$에서 98.3, 0.139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긴꼬리가루깍지벌레와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의 최적 온도는 각각 $32^{\circ}C$와 $28^{\circ}C$로 판단되며 국내에서의 월동은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We surveyed 281 sites of tropical plants and 666 sites of fruit plants for three years (2015~2017) on Pseudococcus longispinus and Pseudococcus orchidicola which have not been surveyed domestically. In tropical plants, P. longispinus were found at 34 sites, while P. orchidicola were found at 87 sites. However, both species were not found in fruit plants.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P. longispinus and P. orchidicola were investigated under various temperatures. The female nymph of P. longispinus did not develop at $14^{\circ}C$ and the developmental period was the longest at $16^{\circ}C$ for 361.4 days and the shortest at $32^{\circ}C$ for 39.0 days. The longevity of female adult of P. longispinus was the shortest at $28^{\circ}C$ as 71.7 days. The number of offspring was highest at 177.7 at $32^{\circ}C$. The female nymph of P. orchidicola did not develop at $12^{\circ}C$. However, the developmental period was the longest at $14^{\circ}C$ for 184.9 days and the shortest at $28^{\circ}C$ for 21.5 days. The longevity of female adult of P. orchidicola was the shortest at 51.5 days at $28^{\circ}C$. The number of offspring was highest at 143.8 at $28^{\circ}C$. The net reproductive rate ($R_0$) and intrinsic rate of increase ($r_m$) of P. longispinus were 162.3 and 0.127 at $32^{\circ}C$, respectively. The $R_0$ and $r_m$ of P. orchidicola were 98.3 and 0.139 at $28^{\circ}C$,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um temperature of P. longispinus and P. orchidicola was $32^{\circ}C$ and $28^{\circ}C$, respectively. Therefore, we guess that they can never be able to survive the winter of Korea.

      • KCI등재

        중학생의 성별, 수줍음, 자기조절의 상호작용이 또래 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

        설경옥,경예나,지영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8 No.4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또래 괴롭힘의 피해 청소년들의 개인내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성별을 포함하여 이들의 성격적 특질인 수줍음 그리고 자기조절의 상호작용이 또래 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했다. 또래 괴롭힘 피해는 선행연구에 따라 외현적 괴롭힘과 관계적 괴롭힘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진입하며 또래 괴롭힘이 급증하는 시기인 중학교 1학년 305명을 대상으로 수줍음 수준, 자기조절 수준, 외현적 및 관계적 괴롭힘 피해 경험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성별, 수줍음, 자기조절의 삼원상호작용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현적 괴롭힘 피해에서는 성별과 수줍음 수준, 그리고 자기조절 수준 간의 삼원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남자 청소년은 수줍음 수준이 높고, 자기조절 수준이 낮은 경우 외현적 괴롭힘 피해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여자 청소년은 이와 반대로 수줍음 수준이 낮고 자기조절 수준이 낮은 경우 외현적 괴롭힘 피해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관계적 괴롭힘 피해에서는 성별과 수줍음 수준, 그리고 자기조절 수준 간의 삼원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의 의의와 함의를 논의에 포함했다. The current study aim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victims of bullying. We examined how relationships between shyness, self-regulation, and gender were associated with peer victimization among 305 adolescents. Peer victimization was divided into two facets: overt and relational victimization. Results revealed that a three-way interaction between shyness, self-regulation, and gender was significant on overt victimization. For boys, high levels of shyness and low levels of self-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high levels of victimization. For girls, low levels of shyness and self-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high levels of victimization. Results showed the main effects of shyness, self-regulation and gender on relational victimization. No three-way interaction between shyness, self-regulation, and gender on relational peer victimization was observed.

      • KCI등재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에 대한 51종의 살충제 감수성 평가

        조성우,경예,조선란,신소은,정대훈,김성일,박근호,이승주,이영수,김민기,조인준,구현나,김현경,김길하,Cho, Sung Woo,Kyung, Yejin,Cho, Sun-Ran,Shin, Soeun,Jeong, Dae Hun,Kim, Sung Il,Park, Geun-Ho,Lee, Seung-Ju,Lee, Young-Su,Kim, Min-Ki,Jo, In-J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3

        시판되고 있는 51종(단제 21종과 합제 30종)의 살충제를 이용한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 성충에 대한 약제 감수성을 검토한 결과 90% 이상의 살충률을 보인 약제 15종을 선발하였으며, 시판되고 있는 합제에서 많은 유효성분들이 오남용되고 있다고 보여진다. 2종의 총채벌레에 대한 살충제 감수성을 비교한 결과 모든 약제에 대하여 대만총채벌레가 꽃노랑총채벌레에 비해 높은 감수성을 보이기 때문에 꽃노랑총채벌레에 효과 있는 약제로 동시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꽃노랑총채벌레를 대상으로 선발된 15종의 약제를 이용하여 약효발현속도($LT_{50}$과 $LT_{95}$), 침투이행성, 잔효성을 비교하였다. 약효 발현속도를 $LT_{95}$ (hour)값으로 비교했을 때, chlorpyrifos WP, chlorpyrifos + diflubenzuron WP가 2시간 이내로 가장 빨랐고, spinetoram WG은 62.3시간으로 가장 느렸다. Chlorfenapyr SC에서 뿌리와 엽면을 통한 침투이행 효과가 나타났고, spinetoram WG에서 엽면을 통한 침투이행 효과만이 나타났다. 약제 잔효성 실험에서 chlorfenapyr SC는 14일, benfuracarb WG와 chlorpyrifos WP는 3일까지 효과가 지속되었다. 꽃노랑총채벌레 야외집단(화훼재배지와 과채류재배지)간의 감수성 비교에서는 화훼재배지에서 채집된 집단이 더 낮은 약제 감수성을 보였다. The susceptibility of the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garden thrips, Frankliniella intonsa was evaluated using 51 commercial insecticides. 15 kinds of insecticides which showed more than 90% mortality against both thrips, F. occidentalis and F. intonsa was selected. Many active ingredients were misused and abused in commercial mixture formulation insecticides. Since the F. intonsa was more susceptible than F. occidentalis, it was considered that both thrips can be controlled by insecticides that showed insecticidal activity on the F. occidentalis. Lethal time ($LT_{50}$ and $LT_{95}$), systemic toxicity and residual toxicity of selected insecticides were compared. Both chlorpyrifos WP and chlorpyrifos + diflubenzuron WP revealed the fastest toxicity within 2 h ($LT_{95}$), while spinetoram WG revealed the slowest toxicity as 62.3 h ($LT_{95}$). Chlorfenapyr SC showed toxicity at foliar and drenching application while spinetoram WG was toxic only in foliar application. Chlorfenapyr SC showed residual effect at 3, 5, 7, 10, 15 days after treatment and both benfuracarb WG and chlorpyrifos WP showed residual effect at 3 days after treatment. As a result of treatment of selected insecticides for field population of F. occidentalis,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horticultural crops showed lower susceptibility than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vegetable crops.

      • KCI등재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이 양육행동과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설경옥,경예나,박지은 한국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1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implications of Korean mother’s tendency to base their feelings of worth contingent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i.e., child-based self-worth),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hypothesis is that Korea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is more of a cultural phenomenon and child-based self-worth itself would not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psychological functioning. Yet, when Korea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was associated with maladaptive parenting behavior (i.e.,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it was detrimental to their children. In other words, the hypothesis is that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would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based self-worth of mothers’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children’s. The hypothesis was tested among 315 children from 4~6 grade (M=11.02, SD=.83), and their mothers. Mothers reported child-based self-worth. Mothers and children reported mothers’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Children reported on their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their school teachers reported o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The hypothesis was confirm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predicted,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itself was not related to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However,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and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in turn, predicte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본 연구는 자녀의 성취를 중시하고 이로부터 자신의 가치를 확인받는 한국 어머니들의 특성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어머니가 자기가치감을 자녀에게 수반시키는 경향(자녀-수반 자기가치감), 양육행동 그리고 자녀의 심리적 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의존적인 집단주의 문화권에 속하는 우리나라에서, 어머니가 자녀의 성취로부터 자존감을 느끼는 자녀-수반 자기가치감 자체가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부정적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은 이와 관련이 높은 부정적 양육방식인 심리적 통제를 매개로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했다. 즉,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자녀-수반 자기가치감 → 어머니 심리적 통제 → 자녀의 심리적 적응의 완전매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고, 초등학교 4-6학년 315명과 어머니 315명을 대상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은 어머니보고를, 심리적 통제 양육방식은 어머니보고와 자녀보고를 사용하였고, 내재화 문제는 자녀보고, 그리고 외현화 문제는 자녀의 담임교사보고를 통해 측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연구모형 검증 결과, 예상대로 자녀-수반 자기가치감 자체가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심리적 통제를 매개로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주었다. 즉,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의 정도가 높을수록 어머니는 자녀에 대한 심리적 통제 양육방식을 더 빈번히 사용하였고, 어머니가 심리적 통제 양육방식을 더 사용할수록 자녀는 더 높은 수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