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원(道原) 류승국(柳承國)의 사상을 통해 고찰한 한국철학의 현대적 역할 — 생명⋅상생⋅평화⋅조화 정신을 중심으로 —

        강보승 한국철학사연구회 2024 한국 철학논집 Vol.- No.81

        본고는 현대 한국철학계의 석학 도원 류승국의 사상으로부터 한국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도출하고, 현대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한 한국철학의 역할을 살펴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도원은 한국철학 전반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세계사적 안목을 바탕으로 한국 고유의 사상적, 철학적 특질을 통찰하였는데, 그가 제시한 한국철학, 사상, 문화의 특질은 생명과 조화, 평화와 상생으로 규정될 수 있다. 또한 도원은 역사를 순환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이 시대를 물질문명 발전의 정점으로 규정하면서 수렴과 조화의 후천 시대가 도래했다고 판단하였다. 도원은 한국철학의 특질 제시와 역사의식을 바탕으로 도원은 과학기술이 인간을 위해 존재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철학의 방향이 ‘인간’을 향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또한 과학기술과 종교, 즉 형이하와 형이상이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인간의 주체적 제어로 양자 모두 인간을 위하여 기능해야 현대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도원은 인간이 과학과 종교를 제어하고 진정으로 인간다운 세상을 열기 위해서는 한국철학의 핵심 정신인 평화, 상생, 생명, 조화의 정신을 실천해야 한다고 보았다. 세계가 지구촌으로 하나가 되어가면서 국가 간 민족 간 소통과 협력이 필수불가결하게 되었으므로, 한국철학의 핵심 정신은 미래사회에 더욱 중요한 가치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도원은 실천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으므로, 한국철학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실천해야 하는 과제가 남게 되었다. 필자의 견해로 그 과제를 제시하면, 첫째, 한국철학 정신을 초등⋅중등⋅고등 교육에 반영해야 하며, 둘째, 정치⋅사회 분야에 한국철학 정신과 경세론을 투영시켜야 한다. 셋째, 방송과 언론, 미디어를 활용하여 한국철학을 대중에 알리고, 넷째, 전공자들의 객관적⋅과학적 연구로 유용성 있는 연구 성과를 도출하여 현대인들이 한국철학 정신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paper is an exploratory study to derive the direction in which Korean philosophy should move from the thoughts of Dowon Ryu Seung-guk, a scholar in modern Korean philosophy, and to examine the role of Korean philosophy in resolving modern social problems. Dowon uncover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original thought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Korean philosophy and Eastern philosophy in general and an insight into world histor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hilosophy he presented can be defined as life, harmony, peace, and coexistence. In addition, Dowon believed that history was cyclical and defined this era as the peak of material civiliz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hilosophy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Dowon emphasized that even if science and technology are great and convenient, they must exist for the benefit of humans, and emphasized that the direction of philosophy's inquiry should be ‘humans.’ He also argued that science, technology and religion must be balanced and that both function for the benefit of humans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In addition, he emphasized that in order for science and religion to function for humans, humans themselves must be able to independently control both. Dowon believed that in order for humans to control science and religion and open a truly humane world, they must practice the values of peace, coexistence, life, and harmony, which are the cor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He argued that as the world becomes one as a global villag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ountries and peoples have become essential, so the cor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will become an even more important value in future society. However, since Dowon did not suggest concrete measures to be implemented in reality, he left to future generations the task of setting up and putting into practice the role of Korean philosophy in detail. The tasks presented are as follows. First, th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must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so that schools can teach it. Second, th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must be incorporated into the political and social fields. Third, broadcasting, journalism, and media should be actively utilized to inform the public of th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Fourth, researchers majoring in Korean philosophy should help modern people understand and accept th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by deriving useful research results through objective and scientific research.

      • KCI등재

        栗谷 人心道心說에서 道德性 實現과 現實의 關係 - 退溪學派의 栗谷 批判과 견주어 -

        강보승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6 No.-

        율곡은 ‘道心도 氣를 떠나지 못하며 人心도 理에서 나왔다’라고 하여 인심과 도심에 언제나 理氣가 함께 작용하고 있음을 전제하고, 인심을 도심으로 절제하여 항상 도심의 명령 하에 있으면 인심도 도심이 될 것이라고 함으로써 상호 轉化에 무게를 두고 있다. 나아가 율곡은 인심과 도심 모두 현실 속에서 氣가 발동한 것으로써, 性命에 근원을 두고 발하였다 해도 현실 속에서 마땅함을 얻지 못하면 人欲으로 흐르고, 形氣에 근원을 두고 발하였다 해도 時中性과 適宜性이 확보되면 그것이 곧 도심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인심도심의 문제는 인욕천리의 문제에서 중절․부중절, 과․불급의 문제로 그 초점이 옮겨지는데 이것은 곧 인심과 도심이 사물 속에서 適宜하게 발현되었는가의 문제이다. 따라서 율곡의 인심도심설에 있어서 인심과 도심이 어디에서 근원하여 발했는가보다 그것이 현실과 사물 속에서 적절히 발했는가가 더 중요하다. 즉 사물 속에 스스로 존재하는 중[事物上自有之中]과 내 마음속의 중[未發之中]이 합치하는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퇴계학파의 비판을 보면, 葛庵은 율곡의 인심도심상위종시설이 羅整菴의 인심도심체용설을 수용한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으며, 인심과 도심은 그 발출 근거가 처음부터 완전히 다른 것으로, 인심과 도심이 서로 시작과 끝이 될 수 있다는 율곡의 입장에 반대한다. 사단과 칠정, 도심과 인심은 그 근본과 苗脈이 다르다는 것이다. 愚潭은 인심과 도심은 본래부터 상대시켜 이름붙인 것이기 때문에 서로 終始가 될 수 없다고 한다. 그는 인심이 도심의 命을 듣기 위해서는 待對의 관계이어야 하며, 理와 氣의 관계 또한 理主御氣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우담은 만약 理가 無爲한 존재라면, 모든 사물은 오직 氣의 작용에 의한 것이므로 선험적 善을 밝힐 수 없다고 한다. 따라서 우담이 보기에 율곡의 주장은 理를 수동적 존재로 한정시키고 도덕성 실현 주체를 氣로 봄으로써 선험적 도덕의지로서 理의 자율성을 인정하지 않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처럼 퇴계학파는 도덕성의 실천 동력이 理에 있다고 주장하며 나아가 현실에서 適宜하게 구현될 수 있는 조건 또한 현실[氣]과의 관계가 아닌 운동성과 자율성을 가진 理에 이미 내재해 있다고 본다. 그러나 율곡이 보기에 理에는 능동성과 자율성이 없는데다가, 만약 있다 해도 그것이 언제나 외부 사물과 무관하게 현실에서 適宜하게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율곡은 우리의 도덕성이 현실과의 관계 속에 있지 않고 단지 주관적 心속에 있다면 도덕성은 실현되지 못할 것이라 보았다. 결국 우리 내면의 도덕성 실현은 현실과의 관계 속에서 얼마나 適宜性과 時中性을 확보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 응급센터에 내원한 치아외상 환자의 임상적 고찰

        강보승,장순봉,임태호,배성만 대한응급의학회 2002 대한응급의학회지 Vol.13 No.3

        Purpose: Tooth injuries are common complaints presenting at emergency departments, so emergency physicians (EP)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nitial care of dental trauma.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interest in and research on this subject. Examining the various clinical factors helpful for the emergency physician's care of tooth injuries, we attempted to acquir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reatment guideline.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by reviewing the dental charts of 214 patients who presen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s of one secondary hospital and one teriary hospital following tooth injuries during a 1-year period (Oct. 2000-Sept, 2001).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extracted and examined: age, mechanism of injury, number & location of injured teeth, radiograph performance, diagnosis, type of treatment. Results: With the 1992- WHO classification, 9 types of tooth injuries were found (multiple response): in adults, concussion (23.5% of cases), subluxation (16.7%), pulp-exposed crown fracture (16.7%), avulsion (10.8%), and non-pulp-exposed crown fracture(15.7 %); in children subluxation (20.2%), luxastion (17.2 %), avulsion(17.2 %), and concussion (11.1 %), Seven types of treatment were performed based on single most difficult treatment recorded per patient: 91 conservative cares (42.5% of cases), 9 pulp cappings (4.2 %), 49 splints (22.9 %), 7 replantations (3.3 %), 17 pulpectomies (7.9 %), 30 extractions (14.0 %), and 10 others. Conclusion: Considering that the most prevalent treatments were splints and conservative cares, we think emergency medicine could play a wide role in the initial management of tooth injuries and suggest a further co-study with a dentist.

      • KCI등재

        우계(牛溪) 성혼(成渾) 연구의 성과와 전망

        강보승 한국철학사연구회 2019 한국 철학논집 Vol.0 No.63

        우계 성혼 연구는 1970년대 말 시작되었고 198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연구 성과가 제출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에 연구 성과 제출이 대폭 증가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연구가 이어져 2019년 현재 총 287건의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다. 연구 성과들은 절반 이상이 성리학(본체론⋅심성론) 분야이고, 나머지가 생애와 학문 소개, 학파⋅문인, 교육 분야이며, 10명 내외의 주요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주도되었다. 우계 연구가 단기간에 이루어짐으로 인해 우계 연구의 양적 성과에 비하여 질적 성과가 미흡하였다. 연구 분야가 치중되어있고 체계적이지 않으며 우계의 학문을 대표하거나 규정할만한 개념이나 색깔이 모호하다. 따라서 다음 세 가지가 향후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우계의 학문에서 ‘보편성’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연구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다. 특히 우계 학문을 ‘퇴계·율곡의 절충론’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지 면밀한 고찰이 필요하고, 성리학, 도학이 가진 보편성의 측면에서 우계를 연구해야 한다. 둘째, 우계 삶의 특수성, 우계가 처한 당대 현실의 특수성의 전제 위에 우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우계로 우계를 이해해야 한다. 성리학은 ‘실천’을 위한 학문이고 따라서 본체론⋅심성론도 중요하나 수양론·경세론이 더 실질적 의미를 갖는다. 때문에 우계의 학문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계가 어떤 이론이나 학설을 제시했는가보다는 그가 어떻게 수양하고 실천했는가를 살펴야 한다. 셋째, 단편적·산발적 연구가 아닌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체론·심성론을 구심점으로 잡고 수양·경세론 및 교육·문학·역사 분야를 균형 있게 연구해야 할 것이다. 단순히 분야 간 균형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우계 연구의 방향성이나 기조를 세워 우계 학문의 정체성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측두골에 발생한 골아세포종 1예

        강보승,신진근,이원용,김종애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2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45 No.4

        An osteoblastoma is a rare, benign and vascular tumor of bone that comonly afects the vertebrae or the long bones. Histo-logicaly, it is characterized by numerous osteoblast cells and its occurrence in the temporal bone is extremely rare in the world thus far. A 17-year old woman was refered to us with an one-year history of tinnitus and decreased hearing in the right ear. CT (computerized tomography) scan showed a 2.5× 2× 1 cm sized, wel defined soft tissue mass with central heterogeneous high density lesion in the right temporal bone. T1 and T2-weighted MRI (magnetic resonance image) scan showed iso-signal trabeculae of various sizes and riming osteoblasts surounded by spreading vascular stromas. Preoperative arterial embolization was done because massive bleeding during operation was expected. We did partial resection of the tumor wih the open cavity mastoidectomy with type III tympanoplasty. She was in good shape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neurological deficits or recurence after 17 months follow-up. We experienced an osteoblastoma of the temporal bone. So we present this case with literature reviews. (Korean J Otolaryngol 2002;45:393-8)

      • Oral Intake of Anti-hangover Substance Increases Metabolizing Capacity of Aldehyde Dehydrogenase in Rat Model: New Preventive and Therapeutic Potentials for Influenza Virus-Induced Lung Injury?

        강보승,방채영,정세영,최경우,최혁중,김창선,예진허치슨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5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0 No.-

        Background: Aldehyde dehydrogenase (ALDH) metabolizes acetaldehyde, the major cause of alcohol hangover symptoms. It also detoxifies cytotoxic reactive aldehydes. Influenza virus-induced oxidative stress promotes lipid peroxidation of cellular membrane, leading to the accumulation of reactive aldehydes that contribute to lung injuries. A variety of anti-hangover products are commercially available, however, almost none of them has been proven to show enhanced metabolizing capacity of ALDH in a live subject. We aimed to test a specific product of interest. Methods: A powder sample of anti-hangover (KISLip, Pico Entech, Korea) was examined by in vitro & in vivo experiments to measure the amount of NADH formation which is generated through catalytic conversion of acetaldehyde. In-vivo examination tested the ethanol and acetaldehyde level in blood of rats with oral infusion of substance before or after ethanol intake. Results: The activities of alcohol dehydrogenase & aldehyde dehydrogenase within the anti-hangover substance were 1.84 unit/g and 0.28 unit/g, respectively. The oxidation capacities of rats were dose-dependently increased after substance gavages. Particularly, the cases with oral intake of substance 220 mg/kg after 1hr of ethanol intake have shown more meaningful decreases in acetaldehyde level in blood. Conclusions: Oral intake of anti-hangover substance has significantly enhanced acetaldehyde-metabolizing capacity in rat model, potentially suggesting increased ALDH capacity within circulation and detoxifying ability of other reactive aldehydes.

      • KCI등재

        퇴계의 虛心遜志: 비우는 공부와 실천 방법

        강보승 한국유교학회 201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4

        This paper aims to expound the empty mind meditation by Toegye in terms of emptying one’s mind to remain humble. He set up his will as a starting point of study. We should be determined and set up a goal clearly in order to do the empty mind meditation, because our mind would not be moved by something which has nothing to do with our goal. At the same time, Toegye explains that the essence of the empty mind meditation is that you should not forget it nor be impatient. In his opinion, many scholars have the same problem that they studied hard to achieve something quickly, only to be impatient. Also, they use Daoist or Bhuddist way of clearing their mind, which is another inappropriate way. Toegye asserts that a scholar should concentrate on the empty mind meditation without being hasty. The essence of his way is to achieve emptying one’s mind to remain humble with the peaceful and awakened mind. Toegye practices two ways of the empty mind meditation on the basis of “not forget it nor be impatient.” One is “Emptying one’s mind naturally” and the other is “Emptying one’s mind actively.” Emptying one’s mind naturally is to abandon the desire for worldy pleasure; to reduce the unnecessary conversation; to commune with nature. He also put a great importance on practicing the teachings of <Elementary Learning> which preaches the empty mind meditation in daily life. However, it is required that a scholar should consciously. Toegye suggests the Quiet Sitting Meditation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too many thoughts and lack of concentration. Toegye's Quiet Sitting Meditation is characterized by giving consistency to necessary thoughts without forgetting them or trying to make them something great. 본고에서는 ‘마음을 비움[虛心]’ 또는 ‘마음을 비우고 뜻을 겸손히 함[虛心遜志]’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퇴계의 ‘비우는 공부’를 고찰하였다. 퇴계는 立志를 비우는 공부의 시작으로 설정한다. 목적과 방향이 명확할수록 목적과 관계없는 것들에 마음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비우는 공부를 하고자 한다면 먼저 立志를 더욱 굳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퇴계는 비우는 공부의 요체를 ‘잊지도 않고 조장하지도 않음[勿忘勿助長]’으로 설정한다. 퇴계가 보기에 억지로 탐구함과 조장함은 자신을 비롯하여 학자들이 가진 공통된 문제점이었고, 많은 학자들이 해결책으로 생각을 없애는 老․佛의 방식을 사용하는 등 대처 방안도 적절치 못하였다. 비우는 공부에 힘쓰되 조장하거나 집착하지 않고, 조장하거나 집착하지 않되 비우는 공부에서 떠나지 않아야 한다. 고요하지만 惺惺한 마음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럽게 ‘虛心遜志’를 이루어 가는 것이 퇴계가 제시하는 비우는 공부의 요점이다. 勿忘勿助長의 心法을 기반으로 퇴계는 두 가지 길로 비우는 공부를 실천한다. 하나는 ‘자연스럽게 비우기’이고 하나는 ‘적극적으로 비우기’이다. 퇴계는 자연스럽게 마음을 비우는 공부로 세속의 가치를 도외시하고 대인관계와 불필요한 대화를 줄이며 자연을 가까이 하면서 悠悠自適할 것을 제시한다. 그리고 『小學』의 실천을 통해 일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럽게 비우는 공부를 해야 함을 중시한다. 하지만 자연스럽게 마음을 비우는 방법 외에 의식적으로 마음을 살펴서 불필요한 요소를 찾고 제거하는 적극적 노력도 필요하다. 특히 생각이 많고 전일하지 못하여 비우는 공부를 실천할 수 없는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퇴계는 靜坐를 제시한다. 잊지도 않고 조장하지도 않으면서[勿忘勿助長] 꼭 필요한 생각을 全一하게 하는 것이 퇴계가 제시한 靜坐의 핵심이다.

      • KCI등재

        Land Reform in the Realization of a Confucian Ideal: The Debate among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Mid-Chosŏn Period

        강보승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2 Acta Koreana Vol.25 No.2

        The so-called “well-field system” (chŏngjŏnje 井田制), a field allotment and taxation method based on the operation of nine identical plots, long functioned as the dominant land system of East Asia and was admired by Mencius and Zhu Xi 朱熹. However, in the mid-Chosŏn 朝鮮 period, Han Paekkyŏm 韓百謙, a Neo-Confucian scholar, surveyed farmland on the outskirts of the walled city of P’yŏngyang 平壤 and contended that the land system there, allegedly established by the ruler Kija 箕子 of the Shang 商 dynasty, differed from the original well-field system of the Zhou 周 dynasty. He explained that the site in P’yŏngyang was in the shape chŏn 田, not the chŏng 井 pattern of Zhou. Han maintain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institute land reform based on a rearrangement of how land was partitioned. Critics of Han, however, argued that not all the arable land around P’yŏngyang was composed of chŏn-shaped plots and claimed that land reform would not be a realistic solution but rather a burden to the people. Han’s idea was significant in that it triggered a debate on land reform. As a result, many scholars called for the adoption of a 10% tax rate aimed at stabilizing the people’s welfare. The well-field debate is a true reminder that Chosŏn scholars believed that a successful land system was a precondition for realizing benevolent governance based on Confucian and Mencian th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