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업무능력에 대해 취업자가 인식한 최종학력 요인 및 영향

        영식 한국직업교육학회 2022 職業 敎育 硏究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strengthen long-term employment competency by exploring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with a focus on the contribution of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to the actual work ability perceived by the employed. A study that analyzes 286 young employed people aged 25-29 based on the 2020 data of the youth panel survey, and subdivides the work ability recognized by the employed into 4 categories and confirms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quired area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ubdividing work capabilitie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eign language & math and psycho-social skills were maintained based on the basic and specialized knowledge skills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while computer utilization skills were considered as additional specialized knowledge skills. Second, it was recognized that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or academic background, the higher the contribution of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o work ability. Third, the level of recognition of contribution to professional knowledge ability and foreign language/mathematics abi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and in particular, the size of the workplace and the regular workers had an effect. Fourth, the contribution of final educational attainment to psycho-social ability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residential area or household gross income but disappears as workplace and job characteristics variables are add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① to strengthen the job and career educa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②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at the workplace, and ③ to link organically the education with employment for developing the employment competency of college graduates. 본 연구는 취업자가 인식하는 실제 업무능력에 대한 최종학력의 기여도를 중심으로 관련 변인의 영향력을 탐색하여 장기적인 취업역량의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청년 패널조사 2020년 자료 기준 만25~29세 청년 취업자 28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며, 취업자가 인식하는 업무능력을 4가지로 세분화하여 그 필요영역의 특성에 따른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업무능력을 세분화한 결과 기존 연구에서 드러난 기본 및 전문지식 능력을 바탕으로 외국어・수학 및 소통・성찰 능력이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컴퓨터 활용 능력이 추가적인 전문지식 능력으로 고려되고 있었다. 둘째, 가구 총소득이 높거나 대학 이상의 학력 수준을 가질수록 최종학력의 업무능력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업무능력 가운데 전문지식 능력과 외국어・수리 능력은 직무 특성에 따라서 기여도 인식 수준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직장의 규모나 정규직 유무가 영향을 주고 있었다. 넷째, 소통・성찰 능력에 대한 최종학력 기여도는 거주지역이나 가구 총소득이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직장 및 직무 특성 변인이 추가됨에 따라 소멸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졸자의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기관의 직무 및 진로 교육 강화, 직장에서의 제도적 뒷받침, 교육과 취업간 유기적 연계를 제언한다.

      • SCOPUSKCI등재SCIE
      • KCI등재

        고등교육 지표를 활용한 적정 고등교육 투자 규모 추정

        영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appropriate amount of investment in higher education using major higher education indicators. Existing studies on the size of investment in higher education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actual environmental variables of higher education by only considering individual programs at a micro level or estimating only GDP. Accordingly,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calculation-participation-financial-environmental variables based on OECD's major higher education indicators, and estimated the optimal size of domestic higher education investment by applying the expansion of existing calculation formul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ppropriate investment in higher education calculated when only GDP was taken into account still needs to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actual size, and it is far below the OECD average.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chang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the appropriate size was found to be more similar to the actual support size. Since then, when the major factors of higher education are taken into account, it found that a higher level of appropriate investment in higher education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is required. Although it is still below the OECD average, it is higher than the case where only GDP is taken into account. Based on this, various implications for estimating the optimal investment size linked to the higher education index will b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고등교육 지표를 활용하여 적정 고등교육 투자 규모를 추정하는 것이다. 기존의 고등교육 투자 규모에 관한 연구는 미시적 수준에서 개별적 프로그램 중심의 논의에 그치거나 GDP만을 고려하여 추정함으로써 실제 고등교육의 환경적 변인들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ECD의 주요 고등교육 지표를 바탕으로 산출-참여-재정-환경적 변인들을 중심으로 그 영향력을 평가하고, 기존의 산출식을 응용하여 국내 고등교육 투자의 최적 규모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GDP만을 고려했을 때 산출된 적정 고등교육 투자는 실제 규모와 비교했을 때 여전히 그 규모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OECD 평균에도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령인구변화를 고려했을 경우 그 적정 규모가 좀 더 실제 지원 규모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후 고등교육의 주요변인들을 고려했을 때는 기존방식보다 더 높은 수준의 적정 고등교육 투자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여전히 OECD 평균에는 못 미치지만, 단순히 GDP만을 고려했을 경우보다 높게 나타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고등교육지표와 연계하여 최적 투자 규모를 추정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를 제시한다.

      • KCI등재

        Key Infection의 보안성 향상을 위한 개선된 키 설정 방법

        영식,남택용,한승완 대한전자공학회 2006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3 No.7

        Traditional security mechanisms do not work well in the sensor network area due to the sensor's resource constraints. Therefore security issues are challenging problems on realization of the sensor network. Among them, the key establish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challenging security primitives which establish initial associations between two nodes for secure communications. Recently, R. Anderson et al. proposed one of the promising key establishment schemes for commodity sensor network called Key Infection. However, key infection has an intrinsic vulnerability that there are some areas where adversaries can eavesdrop on the transferred key information at initial key establishment time.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curity-enhanced key establishment scheme for key infection by suggesting a mechanism which effectively reduces the vulnerable areas. The proposed security mechanism uses other neighbor nodes' additional key information to establish pair-wise key at the initial key establishment time. By using the additional key information, we can establish security-enhanced key establishment, since the vulnerable area is decreased than the key infection's. We also evaluate our scheme by comparing it with key infection using logical and mathematical analysis. 기존의 보안 메커니즘들은 센서 노드의 자원의 제약 사항들로 인해 센서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적용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센서 네트워크상의 보안 이슈들은 센서 네트워크의 구현에 있어서 선행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로 인식된다. 이런 보안 이슈들 중 키 설정은 두 노드들 간의 보안 통신을 위해 초기 단계에서 해결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보안 요소이다. 최근 R. Anderson 등에 의해 Key Infection이라는 commodity sensor network 상의 키 설정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key infection의 경우 공격자가 초기 키 설정 시간에 전송되는 키 정보를 감청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는 본질적인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key infection의 위험 영역을 효율적으로 줄이는 보안 메커니즘을 제안함으로써 key infection의 보안성 향상을 위한 키 설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보안 메커니즘은 key infection의 위험 영역을 줄이기 위해 초기 키 설정 시에 다른 이웃 노드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공유키 쌍(pair-wise key)을 생성한다. 추가적인 키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위험 영역을 얻을 수 있으며 이 영역은 기존 key infection의 위험 영역보다 면적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보다 보안이 향상된 키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보안 메커니즘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논리적, 수학적 관점에서 비교 평가한다.

      • 마우스에 있어서 免疫反應에 미치는 마늘의 效果

        黃永植,金正勳,安榮根 圓光大學校 1989 論文集 Vol.23 No.2

        마늘이 아직도 世界倒處에서 많은 疾病의 治療 및 豫防의 目的으로 이용되고, 飮食의 향신료로서 마늘의 利用과 世界的 分布는 그의 人氣를 한층 더하여 주고 있다. 또한 健康專門分野에 從事하거나 硏究하는 사람들의 새로운 關心은 無毒내지 低毒性의 廣範圍 治療能을 갖는 物質이나 藥을 마늘로부터 探索하고저 하는데 집중되고 있다. 어떤 硏究報告는 많은 病原性眞菌과 細菌에 대하여 마늘推出物이 增殖沮止 또는 殺菌作用이 있다고 記述하였고, 最近의 動物實驗을 通한 硏究報告는 마늘의 高脂血症, 血液凝固, 動脈硬化症 및 低血壓 등에 대하여 有意性있는 保護作用이 있음을 밝힌 바 있다. 本 硏究의 結果 마늘이나 allicin은 體液性免疫에는 큰 影響이 없었으나 細胞性免疫은 顯著히 抑制하였고, 白血球數와 大食細胞의 活性에는 別로 影響이 없었으나 NK-cell의 活性은 그 量에 따라 增加시킴이 밝혀졌다. 이것이 抗癌作用의 動機가 된다고 思料된다. The immunomodulating and antitumor effect of raw garlic, boiled garlic and allicin were studied in mice. ICR male were divided into 10 groups and were fed on experimental diets for 4 weeks. Mice were evaluated for changes in immune status as measured by the antibody titer(HA) and hypersensitivity to sheep red blood cells(SRBC), organ weight, peripheral circulation white blood cell number, macrphage activity, and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Antitumor activity was measured by the inhibition rate of growth of Sarcoma 180. Increase of body weight was retarded, but liver weight was increased by raw garlic diets. However, spleen weight was increased by 2% boiled garlic diet and 0.002% allicin diet. Raw garlic and allicin diets suppressed the weight of thymus. Raw garlic and boiled garlic diets reduced Arthus reaction, and allicin diets reduced the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HA titer and peripheral circulating white blood cell number were not affected by all experimental diets. Macrophage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1% raw garlic diet and 0.003% allicin diet administration. Growth rates of Sarcoma 180 were inhibited by all experimental diets administration. Especially, boiled garlic diets and allicin diets inhibited the growth of tumor. Natural killer(NK) cell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3% boiled garlic diet and 0.002% allicin diet administration. The data show that raw galic, boiled garlic and allicin treatment altered humoral and cell-mediated immunity. Increased NK cell activity may account for the increased resistance to challenge with tumor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