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전시체제기 죠반(常磐)탄전 관련 명부자료를 통해 본 조선인 노무자의 사망실태

        정혜경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59

        죠반(常磐)탄전이란 일본 후쿠시마(福島)현의 후타바(双葉), 이와키(石城) 탄전과 이바라키(茨城)현의 이바라키(茨城) 탄전을 총칭하는 명칭이다. 일본 본토에는 홋카이도(北海道)탄전이 가장 많은 석탄 매장량을 기록하고 있고, 이어서 규슈탄전이 뒤를 잇는다. 이에 비해 죠반탄전은 일본 3대 탄전이기는 하지만, 1930〜1945년간 생산량이나 광부 인원수에서 전국 대비 7% 정도인 소규모 탄전이었다. 이 지역에는 1939년 이후에 약 2만명이 넘는 조선인이 탄광노무자로 동원되었다. 현재 국내에 알려진 죠반탄전에 동원된 조선인 노무자 관련 명부는 7종이고, 그 가운데 4종은 사망자 명부이다. 이 글은 필자가 다른 논문을 통해 제시한 명부분석 연구방법론에 의거해 죠반탄전에 동원된 조선인 노무자의 사망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는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국내 소장 죠반탄전 관련 명부에 대한 기록학적 방법을 통한 미시적 분석을 실시하고, 이 가운데 「戰時下常磐炭田朝鮮人鑛夫殉職者名簿(長澤秀 정리)」를 중심으로 필자가 검증한 「常磐탄전조선인사망자명부(鄭惠瓊 정리. 305명)」를 대상으로 사망 실태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305명의 본적지 및 사망연도별 실태, 사망원인별 실태, 입산시기별 실태, 사망 당시 연령별 실태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1944년과 1945년에 가장 많은 수의 조선인이 입산을 했고, 이 기간에 입산한 조선인의 사망률이 가장 높으며, 가장 많은 수의 조선인이 입산한 후 1년 이내에 사망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대부분이 작업과 관련하여 목숨을 잃었고, 사망원인은 작업 교육의 미비와 무리한 작업장 투입, 유년 노동력의 동원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 글을 통해 죠반탄전에 동원되었다가 사망한 조선인들의 전반적인 사망실태를 제시할 수는 없다. 다만 명부자료에 대해 기록학적인 분석방법은 어떠한 것이며, 명부자료를 역사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은 어떠한 것인가 하는 사례를 제시할 뿐이다. 죠반탄전의 사망자 명부자료를 통해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대상은 바로 명부에 나타나지 않는 빙산의 실체이다. 사망자 명부에 남아 있지 않으나 발생한 것으로 추정(이바라키현 소재 탄광의 사망자 현황이나 공습으로 인한 사망자, 1944년 10월 이후 입산자 가운데 사망자)되는 사망자의 실태이다. 기록에 남아 있지는 않지만, 결코 잊어서는 안 되는 ‘이름 없는 죠반 탄전 조선인 사망자’의 실태를 규명하는 것은 여전히 남은 우리의 과제이다. When you call Joban (常磐) coal field, it comprehensively includes the area such as Hutaba (双葉) and Iwaki(石城) field of Hukushima (福島) Prefecture, and Ibaraki (茨城) of Ibaraki Prefecture in Japan. Following two major coal fields, Hotkaido field of Hotkaido Prefecture and Kushu field, Joban coal field was the third big coal field in Japan; but it was comparatively quite smaller than two major ones in its coal reserves. It occupies only 7 percentage of the mine laborers population during 1930 to 1945 in Japan. Since 1939 more than twenty thousands of Korean people was moved to this field to provide human power. To the present there have been found seven forms of registers of the Korean workers in the Joban coal field among which four were the death rolls.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the death rolls of three hundreds and five of people based on the analytical approach to the rolls with which the writer already dealt in a previous paper. As a result, the writer attained the detailed facts of the deceased; their legal domicile, the distribution of the years and ages in which they died and what caused them to die were unveiled. According to the findings, during the year 1944 to 1945 the number of Korean workers who were moved to the field was the biggest and the death rate also hit the highest record in the field. The main death causes include the early involvement in the filed work without enough training, and abuse of child labor. It is not possible for the writer to reveal the whole picture of the dead persons with analytic approach to the archives, but she still has another job to identify the dead persons who are believed to have been dead by the air attack, or other reasons in the Joban coal filed during the Wa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불소가 구강내 노출된 탈회법랑질의 내산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진,남순현,정혜경 大韓小兒齒科學會 199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18 No.1

        탈회법랑질의 자연적인 재석회화와 불소가 이러한 재석회화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매복되었거나 부분 맹출된 제 3대구치에 6개의 개구부를 형성한 후 5개의 개구부를 0.1M laric acid-sodium lactate buffer solution(ph 4.5)에 노출시켜 탈회시킨 후 14명의 환자의 구강내에 레진상을 이용하여 탈회법랑질을 노출시키면서 불소 도포 하지 않은 군,APF 겔 도포군,NaF 양치용액을 사용한 군,APF와 NaF 혼용군의 4개 군과 구강내에 노출시키지 않은 건전법랑질과 탈회법랑질의 2개군의 내산성도를 비교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3주간 구강내에 노출시킨 탈회법랑질의 칼슘 및 무기인의 용출량이구강내에 노출시키지 않은 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낮게 나타났다(P<0.01). 탈회법랑질에 불소를 도포한 군의 칼슘용량은 불소도포없이 구강내에 노출시킨 군보다 칼슘용출량이 1,3주 공히 유사하게 낮게 나타났으나(P<0.05),3주후 5군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P>0.05). APF gel과 불소양치를 혼용한 군의 저항계수가 불소를 도포한 군중 가장 낮게 나타났고,칼슘용출량도 건전법랑질에 비해 유사하게 낮게 나타났으나(P<0.05). 무기인의 용출 역시 불소를 도포한 군중 3주후 APF gel과NaF 양치 혼용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1).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fluoride on remineralization and acid resistance of demineralized enamel in vivo. The decalcified enamel were mounted in acrylic removable appliances and worn by 14 subjects. 6 experimental groups were involved. 1.Group of sound enamel without exposure to oral fluid 2.Group of demineralized enamel without exposure to oral fluid 3.Group of demineralized enamel exposed to oral fluid without `F' treatment 4.Group of demineralized enamel exposed to oral fluid after 1.23% gel 5.Group of demineralized enamel exposed to oral fluid with 0.05% NaF rines 6.Group of demineralized enamel exposed to oral fluid with APF and NaF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ntent of dissolved calcium and phosphorus of the demineralized enamels exposed to oral flui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demineralized enamel without exposure to oral fluid(P<0.01). The contents of dissolved calcium of the group exposed to oral fluid with `F' treatment significantly lower after 3 weeks than those group the exposed to oral fluid without `F' treatment except the group 5(P<0.05). The resistance factor of the group with APF gel and NaF rinse was higher than those other groups exposed to `F' treatment and the content of dissolved calcium of the group APF gel and NaF rins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ound enamel without exposure to oral fluid(P<0.05). The contents of dissolved phosphorus of the group with APF gel and NaF rinse was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exposed to `F' treatment(P<0.01).

      • KCI등재

        Mammary Fibromatosis: Sonographic Features and Pathologic Correlations

        정혜경,김은경,고경희,노지영,강혜윤 대한초음파의학회 2010 ULTRASONOGRAPHY Vol.2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the sonographic features of mammary fibromatosis had correlation with the pathologic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We identified four cases of fibromatosis of the breast at our institution over a 10-year period. The patients were all women, and they ranged from 25 to 48 years of age (mean, 34.3 years). All four patients complained of palpable breast masses and were subsequently diagnosed with mammary fibromatosi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ir imaging findings. Results: Mammography obtained in one patient revealed architectural distortion. On sonography, all four cases showed spiculated, irregular, hypoechoic masses that could not be differentiated from malignant lesions. After surgical excision and vacuumassisted biopsy of the masses in four patients, there was no recurrence on clinical or sonographic follow-up over a 13-36 month period. Conclusion: Although mammary fibromatosis is a very rare condition, it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when an un-calcified, spiculated, irregular and hypoechoic masses are encountered on breast sonography. 목적: 유방 섬유종증의 초음파 소견을 병리 결과와 연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10년 동안 유방의 섬유종증으로확진된 4명의 환자 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4명의 환자 모두 여자였으며 나이는 25세에서 48세 (평균 34.3세)였다. 4명의 환자 모두 만져지는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저자들은 종괴의 영상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유방 촬영술은 1예에서 시행되었으며 구조 왜곡의소견을 보였다. 유방 초음파에서 종괴의 모양은 4예 모두침윤성 경계, 불규칙한 모양, 저에코를 보였으며 이는 악성종괴와 감별되지 않는 소견이었다. 수술적 절제 (3예)와맘모톰 조직 검사 (1예)에 의해 섬유종증으로 진단되었으며 13개월에서 36개월 동안 임상 혹은 초음파 추적 검사에서 재발의 징후는 없었다. 결론: 유방의 섬유종증이 매우 드문 질환이라 하더라도유방초음파 검사 도중 석회화가 없는, 침윤성 경계, 불규칙한 모양을 보이는 저에코의 종괴를 발견하였을 때 감별진단에 섬유종증을 포함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고고학 자료와 휴무스 자분석료를 이용한 당가 구석기 유적의 고환경 복원

        정혜경,이헌종,Dergacheva M. I 한국구석기학회 2010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1

        Humus was analyzed using soil chemical methods, which is an organic compound contained in the soil. Humus is composed of humic acid, fulvic acid and humin while the ratio of humu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time when the soil was formed. Humus was analyzed using the Ponomareva method, which is a modified version of the Tyurin method. The total organic carbons and the humic acid, fulvic acid and humin contained in the organic carbons in the soil were measured. The ratio of humic acid and fulvic acid (Cha:Cfa)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limatic environment. Results of analyzing humus showed that in the case of paleosoil, humus was detected in all layers at the Dangga site. The sediments of the Dangga site is subdivided into 5layers by its pedogen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soil of the Dangga site was generally deposited in a stable status. Results of analyzing data of the archaeology and the humus showed that layer 1 formed during the last interglacial, layer 2, 3 formed during last glacial. As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Paleolithic people lived in the three different warm periods of the late Pleistocene.

      • 자연어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위한 개념 그래프 생성에 관한 연구

        鄭惠京,李庸碩 全北大學校 1996 論文集 Vol.41 No.-

        In this paper we present a consistent semantic model between a natural language and a relational database. The objective of the model is to transform Korean inquires into semantically equivalence SQL expression. We describe the conceptual graph translator, which translates a conceptual graph - the result of semantic analysis to the korean inquires -into a database-suitable conceptual graph. We use a conceptual graph to represent our semantic model of the database. The translator generates a conceptual graph by using a synonym dictionary for queries of various patterns. Beginners are able to retrieve data without knowledge in a specific field. As a result, more practical system with unrestricted inquires can be expec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