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산재사망의 관례화에서 범죄화로 -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운동 과정을 중심으로

        박상은 비판사회학회 2024 경제와 사회 Vol.0 No.142

        중대재해처벌법은 제정 3년이 지난 지금도 논란의 한가운데에 있다. 안전보건의무를 위반한 경영책임자를 상대로 엄벌을 촉구하는 노동안전보건운동의 모습은 이들이 처벌의 효과를 과대평가하고 다른 예방책이나 구조적 해결방안은 도외시한다는 인상을 강화한다. 그러나 중대재해처벌법 제정을 사회운동이 처벌을 통한 사후 예방책을 최우선한 결과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 논문은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운동과 노동안전보건운동의 주요 요구를 교차해 보며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논한다. 첫째,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운동은 처벌법 제정이 제한적 역할만을 할 수 있으며 예방정책을 대체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처벌 그 자체보다 규제 준수의 매개로서 범죄화를 요구했다. 둘째,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운동 과정 내내 노동자 권한 강화를 통해 안전보건규제를 작동시키려는 다양한 시도 역시 동시에 진행되었다. 이는 세월호 참사나 구의역 사고 등 중대재해 사건을 거치면서도 유지되었다. 셋째,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 등 제도적 성과가 후퇴할 전망 속에서 범죄화 요구는 강화되었으며, 경영책임자 처벌과 동시에 기업의 조직적 책임을 물으려는 사회운동의 의도는 국회 협상 과정에서 약화되었다.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은 노동자 참여 등 민주적 규제 기반이 취약한 한국에서 오랜 저규제 상태를 극복하고자 한 노동안전보건 운동의 제한된 선택지였다. Three years after its enactment,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remains controversial. The OHS movement calls for severe penalties against management who violate their obligations. This reinforces the impression that the movement overestimates the effectiveness of punishment and neglects other preventive measures. However, the enactment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is not the result of social movements prioritizing reactive prevention through punishment. This paper discusses the reasons for this as follows. First, the movement emphasized that punitive legislation can only play a limited role and cannot replace preventive policies, and called for criminalization as a means of compliance rather than punishment per se. Second, throughout the movement, various attempts to make safety and health regulations work through worker empowerment were simultaneously underway. This was maintained even after major disasters such as the Sewol ferry tragedy and the Guui Station accident. Third, calls for criminalization intensified as the movement’s gains were expected to be rolled back, and the movement’s intention to hold corporations accountable was weakened during the parliamentary negotiations. Criminalization was a limited option for the OHS movement to overcome a long history of under-regulation in South Korea, which has a weak democratic regulatory base.

      • KCI등재

        지방 고등학생의 대학진학 포부에 있어 지역선택 결정요인 : 가정배경과 학교의 영향력

        박상은,서봉언 한국교육사회학회 2017 교육사회학연구 Vol.27 No.3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determinants of local choice of university in educational aspiration, focusing on influences of family background and school factors. We used the data from the Daegu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in our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background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students who aspired to attend a university located in the capital city of Seoul and students who opted to attend a local institution. For example, the education level of parents, monthly family income,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were higher among students who wanted to attend university in Seoul compared with students who chose to attend a local university, including a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as a representative variabl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as a result of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aspiration of entering university in Seoul as the reference category, individual-level factors such as parents’ educational level, parents’ influences on career decision, academic achievements and self-efficacy; as well as school-level factors such as attending an autonomous private school, teachers’ enthusiasm and teachers’ pressure on students to achieve academically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a high level of self-efficacy and whose parents have a high level of education are inclined to desire entry to a university in Seoul, as are students who attende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Taken together, many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university entrance gap using data from Seoul or national studies, however, this study explored differentiated perspective of university aspir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local area, such as Daegu. 본 연구는 「대구교육실태연구2016」을 활용하여 지방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포부에 있어 지역선택 결정요인을 가정배경과 학교의 영향력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서울 4년제 대학진학 포부집단과 지방 4년제 대학진학 포부집단 간 가정배경, 개인특성의 뚜렷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서울 4년제 희망 집단에서 부모의 학력, 월평균 가구소득, 사회자본, 문화자본 등에서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자기효능감에서도 서울 4년제 진학포부를 가진 학생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서울 4년제 대학진학을 준거로 한 이항 로지스틱 다층분석 결과, 부모학력, 부모 진로 영향력, 학업성취, 자기효능감 등의 개인수준 변수와 자사고 재학여부, 학교평균 교사열의 및 성취압력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 대구에 거주 중인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포부에 가정배경과 고교유형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특히 부모학력이 높고, 높은 수준의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고에 비해 자사고에 다니는 학생들이 서울소재 4년제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진학 격차 관련 연구물 대부분이 전국 자료나 서울 및 수도권 자료를 주로 활용하고, 상위 명문대학의 상당수가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현실에서 지방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대학진학 포부에 있어 지역선택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구 수성구 교육격차와 학생・학부모 특성 연구

        박상은,서봉언,이철우 한국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연구 Vol.26 No.2

        Using the data from the Daegu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parents in the Suseong district in Daegu, focused on differences between Suseong and other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main area in Suseong and other area in Suseong. We also explored determinants of enrolling in high schools in Suseo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grades, individual student characteristics, and family background between Suseong district and other districts. Private tutoring expense is a critical factor as the determinant of enrolling in high schools in Suseong. Second, academic grades among students in the main Suseong area a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in other Suseong high schools. There are big difference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family background between the main Suseong area and others in Suseong district. Math achievement is a main factor as the determinant of enrolling in main area high schools. Thes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families living in the main Suseong areas and those living in others areas of Suseong, especially derived from residential segregation based on socio-economic factors. 본 연구는 대구교육실태연구 2016년 고등학생 자료를 활용하여 대구 수성구 지역과 비수성구 지역, 수성구 내 핵심지역과 일반지역의 학생 및 학부모의 특성을 살펴보고, 수성구 고등학교 재학 결정요인과 수성구의 핵심지역 고등학교 재학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첫째, 대구 수성구와 비수성구 지역 간에는 전국연합학력평가 등급, 학생의 개인특성과 가정배경 특성에서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성구와 비수성구 재학을 결정하는 가장 큰 상위 변인은 사교육비로 확인되었다. 둘째, 수성구 내 핵심지역과 일반지역 간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은 평균 1등급 이상의 차이가 있었으며, 개인특성과 가정배경 특성에서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핵심지역과 일반지역 재학을 결정하는 가장 큰 상위 변인은 수학성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수성구와 비수성구, 수성구 내에서 핵심지역과 일반지역 간 학생의 개인특성과 가정특성을 객관적 데이터로 확인하여 거주지 내 차별적 분화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돼지 분만 시기의 조절에 관하여;IV. 자궁 평활근의 운동성에 대한 APT의 영향

        박상은,황보원,변유성,조광제 한국동물위생학회 1996 韓國家畜衛生學會誌 Vol.19 No.2

        The effcets of adenosine 5'-triphosphate(ATP) were investigated on the uterine smooth muscle motility in the pig.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ffects of the porcine uterine smooth muscle and the contractile responses increased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ATP $10^{-5}$ and $10^{-3}$ M with a dose-dependent manner. 2. The contractile response induced by ATP($10^{-4}$ M) was not blocked by pretreatment with cholinergic receptor blocker, atropine ($10^{-6}$ M) 3. The contractile response induced by ATP ($10^{-4}$ M) was not blocked by pretreatment with $\alpha$ -adrenergic receptor blocker, phentolamine(10$^{-6}$ M) and ${\beta}$-adrenergic blocker, propranolol ($10^{-6}$ M). 4. The contractile response induced by ATP($10^{-4}$ M) was not appeared in 4Ca^{++}$ -free medium. As the concentration of $Ca^{++}$ in $Ca^{++}$ -free medium was increased, the contractile response induced by ATP ($10^{-4}$ M) was enhenced but was complete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Ca^{++}$ -channel blocker, papaverine($10^{-6}$ M) or verapamil($10^{-6}$ M).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ed that the effects of ATP were the contraction mediated by purinergic receptor in uterine smooth muscle of pig.

      • KCI등재
      • KCI등재

        돼지 분만 시기의 조절에 관하여 I. 자궁 평활근의 운동성에 대한 부교감 신경과 Cholinergic Agonist의 영향

        박상은,황보원,변유성,조광제 한국동물위생학회 1994 韓國家畜衛生學會誌 Vol.17 No.3

        To elucidate the action of the cholinergic nerve on the isolated uterine smooth muscle of the pig, effects of electrical transmural nerve stimulation and acetylcholine were investigated on the pretreatment of the physostigmine ; cholinestrase inhibitor and atropine ; cholinergic receptor blocker from physiograph. 1. The contractile response induced by acetylcholine was responsed in the concentration of >10^{-8}$ M at first and the maximum contractility was concentration of $10^{-6}$ M. 2. The contractile response induced by electrical transmural nerve stimulation(20 V, 0.5 Msec, 20 sec) was the frequency(2-64 Hz) -dependent manner. 3. The contractile response induced by acetylcholine was completely blocked by the pretreatment with cholinergic receptor blocker, atropine and was increased by the pretrement of cholinestrase inhibitor, physostigmine. 4. The contractile response induced by electrical transmural nerve stimulation was completely blocked by the pretreatment with cholinergic receptor blocker, atropine, and was increased by the pretretment of cholinestrase inhibitor, physostigmin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was powerful excitatory action by cholinergic nerve on uterine smooth muscle of the pi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상호작용적 피드백을 적용한 대학 글쓰기 강의 방안 연구

        박상은,안서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5

        상호작용적 피드백이란 교수자가 일방적으로 피드백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저자로서 글을쓴 의도와 자신의 글쓰기의 과정을 스스로 표현하고 학술 공동체의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바를 적게한 다음, 교수자가 이러한 학생의 이야기에 대한 응답의 방식으로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상호작용적 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은 교수자가 일방적으로 부여하는 수정 요구나 평가로서의 피드백대신 독자와의 대화와 소통의 과정으로서의 피드백을 경험할 수 있다. 그리고 독자로부터 피드백을받고 이를 반영하는 글쓰기 전략을 습득할 수 있다. 교수자 역시 학생의 집필 의도와 글쓰기 고민을미리 파악한 다음 그에 맞는 조언과 수정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글쓰기 지도를할 수 있다는 데 상호작용적 피드백의 교육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해외 사례를 통해 상호작용적피드백의 이론과 실제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강의에서 실행할 수 있는 쓰기 후 활동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대학에서의 글쓰기 강의에 적용, 수강생들이 이 활동을 통하여 글쓰기 피드백의 과정을 자기주도적이며 상호 소통적인 것으로 경험하였음을 확인하였다. Interactive feedback refers not to the unidirectional feedback given by a professor, but rather to responsive feedback is provided as response the student’s self statement on their own writing, regarding his or her their intentions as an author and their writing process. It allows students to accept feedback as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with readers within the academic community, rather than as a modification demand or justification of evaluation from the professor. Students can experience feedback request and constructive application of the feedback in their writing as a useful writing strategy. Professors also can provide effective and efficient writing guidance and advice by identifying their students’ writing intentions and concerns in advance.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y and overseas examples of practiced interactive feedback, constructed post-writing activities and feedback process that can be implemented in class, and then demonstrated them in writing courses of university.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 experience the writing process in a more communicative manner through interactive feedba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