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ESG 연구 동향 분석

        박성욱 혁신클러스터학회 2023 혁신클러스터연구 Vol.13 No.3

        본 논문은 국내 ESG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2009년부터 2023년 4월까지 국내 게재된 ESG 관련 논문 766편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문헌 고찰 방법론의 하나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Textom과 UCINET 6.0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중심성 분석, 군집 분석인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국내에서는 2009년에 ESG 관련 논문이 등장하여 논문 편수는 해마다 소폭 증가하다가 2021년 178편, 2022년 405편으로 급증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빈도 분석과 중심성 분석을 하여 국내 ESG 주요 키워드들을 도출하고 핵심 키워드들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셋째, 군집 분석인 CONCOR 분석을 통해 4가지 핵심이슈인 지속가능경영, 지배구조, 규제 시스템, 글로벌 경영전략으로 클러스터링 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효과적인 ESG 관련 정책 마련에 대한 전략 수립과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onducted a keyword network analysis based on 766 ESG-related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09 to April 2023, us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a type of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extome and UCINET 6.0.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ESG-related papers first appeared in 2009, and the number of papers increased slightly, then rapidly increased to 178 papers in 2021 and 405 papers in 2022. Second, we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and centrality analysis to derive key domestic ESG keywords and confirm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 keywords. Third, through CONCOR analysis, a cluster analysis, it was clustered into four topics: Sustainability management, Governance, Regulatory system, and Global management strategy. This paper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upport strategy establishment and decision-making for effective ESG-related policies.

      • KCI우수등재

        근거이론을 통해 본 아모레퍼시픽 신사옥 조경의 함의

        박성욱,홍윤순,김우진 한국조경학회 2022 韓國造景學會誌 Vol.50 No.6

        The landscaping of Amore-Pacific's new building has received various awards since its construc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mechanisms of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is project through the ground theo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lient's place attachment of the sites, which was the company’s parent, was the driving force for an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on in which architecture and landscaping were integrated. After that, in the detailed design stage for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contest-winning plan, competent local designers and contractors were selected, and a consultative body was operated to engage in various opinions and promote rational decision-making. As for consultative body’s operation method, simulation, physical model production, and detailed drawings were created after sharing opinions, and landscape design supervision played a major role. Establishing consistency in design and construction through integrated planning and landscape design supervision is required to cultivate craftsmanship and foster landscape coordinators in today's industrialized practice. The accumulation of related follow-up studies and supplementation of the system is anticipated. 아모레퍼시픽 신사옥의 조경은 준공 이후 다양한 수상 실적을 보유한다. 본 연구는 이 환경의 기획, 계획, 설계, 시공상의 매커니즘을 근거이론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 시도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기업의 모태였던 대상지를 대하는 클라이언트의 장소애착은 ‘건축과 조경이 통합적으로 기안’된 국제지명 현상설계를 추진케 한 원동력이었다. 이후 공모 당선안의 실제적 구현을 위한 상세설계 단계에서 역량 있는 로컬 설계사와 시공사를 선정하면서 제 분야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운영함으로써 다양한 의견을 포용하면서 합리적 의사결정을 촉진하였다. 협의체 운영방식은 시뮬레이션과 실물 모형의 제작, 그리고 의견 공유 후 상세도를 작성하는 방식을 반복하였으며, 이때 조경 디자인감리가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러한 통합적 기획과 조경디자인 감리를 통한 ‘설계․시공의 정합성 확립’은 오늘날의 분업화된 실무 현실에서 장인정신의 배양과 조경 코디네이터와 양성을 위해 요청되는 조건이라 할 수 있는바, 관련 후속 연구의 축적과 제도의 보완을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뇌졸중환자에서 한약과 양약의 병용투여가 간장 및 신장에 미치는 영향

        박성욱,이형철,고창남,윤성우,한지영,이상욱,Park Sung-Wook,Lee Hyung-Chul,Ko Chang-Nam,Yun Sung-Woo,Han Ji-Young,Lee Sang-Wook 대한한방내과학회 2003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4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herbal medication may injure the liver function and kidney function. We clinically studied the changes of biochemistry and complete blood cell count in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Korean hospital. Methods : The subjects were 160 patients admitted in Kangnam Korean hospital, Kyung Hee, whose mean duration of medication was 70 days(min 30, max 252). All patients had been checked biochemistry and complete blood cell count for 30 days since their hospitalization. Results :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lkaline phosphatase(ALP), blood urea nitrogen(BUN) and Creatinine(Cr) decreased significantly on discharge, compared with the values of admissoin(P<0.05). Total protein significantly elevated on dischrge compared with the values of admisson(P<0.05).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even though there are few toxic herbal medicines, in general, herbal medications which are prescribed by oriental medicine doctors should be carefully administered not to hurt liver and kidney function.

      • KCI등재

        국가해양정원 조성 및 관리를 위한 제도 연구 - 국내・외 해양정원 사례분석을 통한 제도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박성욱,이주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1 해양정책연구 Vol.36 No.1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s making a lot of effort to create a marine garden in Garorim Bay under the strategy of spreading marine tourism using marine ecological resources.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s pursuing the project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Facilities for Conserving and Using Marine Ecosystems under Article 43 of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ARINE ECOSYSTEMS ACT as a basis for promoting the Garorim Bay project as a national policy project. However, since the concept of an marine garden is not a legal concept, a legal basis is needed not only for the creation of marine gardens, but also for the continuous, systematic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m. In this paper, the legal interest that should be protected as a target area and marine garden in order to legalize the concept of the national marine garden, along with the need for the provision of marine protected areas and marine ecological culture services, was examined for the relevant ministries and management entities. In addition, the revision of the current Marine Ecosystem Act and the Arboretum Garden Act were reviewed as well as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National Marine Gardens was also reviewed. When constructing the National Marine Garde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it as one of the oceans and fisheries strategies to create new demand for marine tourism by reflecting the diverse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sea area, such as the East Sea and the South Sea of Korea, as well as the Garorim Bay area. As one of these strategic measures, making the term ‘marine garden’ in legal terms should be of the utmost priority. At this time, the marine garden should be a place where people can enjoy marine ecological and cultural services by encompassing marine landscapes, marine humanities and marine culture along with the core value of marine protected areas. 해양수산부는 해양생태자원을 활용하여 해양관광을 확산한다는 전략아래 가로림만 해양정원을 조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가로림만 사업을 국가정책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근거로 해양생태계법 제43조상의 해양생태 보전‧이용 시설의 설치‧운영 규정에 따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정원이라는 개념이 법적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해양정원의 조성은 물론이고 이들에 대한 지속적 ·체계적 운영·관리를 위해서는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해양정원이라는 개념을 법정 개념화하기 위해서 대상권역, 해양정원으로 보호해야할 법익으로서 해양보호구역과 해양생태문화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과 함께 소관부처 및 관리주체에 대한 검토요소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국가해양정원 설치를 위한 법률의 정비방향으로 현행 해양생태계법과 수목원정원법 등의 개정방향을 알아봄과 동시에 국가해양정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국가해양정원 조성시 유의하여야 할 점은 가로림만 해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동해와 남해 등 각 해역별로 다양하고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여 새로운 해양관광 수요를 만들기 위한 해양수산전략의 하나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략방안의 하나로 해양정원이라는 용어를 법정용어로 만드는 것이 가장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이때 해양정원은 해양보호구역이라는 핵심적인 가치와 함께 해양경관이나 해양인문, 해양문화 등을 포괄함으로써 국민들이 해양생태문화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국제수지 불균형 발생 우려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2022 주간 금융 브리프 Vol.31 No.6

        우크라이나 전쟁의 충격으로 높은 국제원자재 가격이 장기간 지속되면 우리나라는 교역조건 악화로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대폭 줄어들 위험이 있음. 경상수지 흑자가 급격하게 축소되는 경우에도 거주자의 해외 직 · 간접투자 규모가 그만큼 줄어들지 않으면 비금융부문에서 외환수급에 불균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음. 이러한 위험에 대비하여 외환시장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금융회사 및 외환당국 등 금융부문의 대응 여력을 확충할 필요가 있음.

      • 코로나19가 소득분위별 체감물가상승률에 미친 영향

        박성욱,장민 한국금융연구원 2021 KIF 정책보고서 Vol.2021 No.1

        Ⅰ. 연구 목적 ▣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가계의 소비구성이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공식 소비자물가지수가 가계에서 체감하는 물가를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커졌음. ㆍ코로나19 위기 기간 중 식료품, 방역용품 등 수요가 늘어난 소비품목의 가격이 오른 반면, 여행상품 등 수요가 줄어든 소비품목의 가격은 하락하는 등 급격한 소비 여건 변화가 발생하였음. ㆍ 하지만 공식 소비자물가지수는 기준년도의 소비구성이 지속된다는 전제하에 고정된 가중치로 개별소비품목의 가격변화를 가중평균하는 라스파이레스(Laspeyres)방식으로 계산되므로 급격한 소비변화를 충분하게 반영하기 어려움. ㆍ반면 2020년 당해년도 소비구성을 가중치로 이용하는 파셰(Paashe) 방식으로 물가상승률을 계산하면 코로나19 확산 이후 소비비중이 늘어나고 가격도 오른 소비품목의 가중치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반영하기 때문에 공식 소비자물가지수보다 물가상승률이 높아지게 됨. ▣ 선행연구도 코로나19 이후 우리나라 가계가 실제로 느낀 체감물가상승률이 공식물가상승률보다 높았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음. ㆍ선행연구는 주로 카드사용실적과 같은 속보성 자료를 이용하여 코로나19 이후의 소비구성을 실시간에 가깝게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가 체감하는 물가를 도출하였음. ㆍ Cavallo(2020)은 미국, Reinsdorf(2020)은 미국 및 캐나다에서 관찰된 소비구성 변화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는 전제하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국의 체감물가를 측정한 반면 한국은행(2020)은 우리나라 카드사용승인액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음. ㆍ Cavallo(2020)은 코로나19 이후 우리나라의 체감물가상승률이 공식물가상승률보다 0.49%p 높았음을 보였고, Reinsdorf(2020)은 계산기준에 따라 0.38~0.50%p의 차이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였으며, 한국은행(2020)은 그 차이를 0.2~0.6%p 범위로 제시하였음. ▣ 한편 Cavallo(2020)는 2020년 5월 미국의 경우 소득계층별로 소비구성 가중치를 달리하여 분석해보면 식료품 소비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의 체감물가상승률이 더 높았다는 분석결과도 제시하였음. ㆍ즉, 미국의 소득5분위 가계의 체감물가상승률이 0.57%에 그친 반면, 소득1분위 가계의 체감물가상승률은 1.12%에 달했음. ▣ 본 연구에서는 가계동향조사 통계를 활용하여 소비구성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코로나19가 2020년 우리나라 가계의 체감물가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였음. ㆍ가계동향조사 통계는 카드사용실적에 비해 속보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소비자물가지수의 가중치를 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때문에 물가자료와 대분류 소비품목 기준이 대체로 일치하며,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 양 측면을 조사하기 때문에 소득계층별 분석을 수행하기에 용이함. ㆍ하지만 가계동향조사와 소비자물가지수 통계의 세분류 품목에 차이가 있어서 세분류 품목 단위의 분석이 어렵고 가계동향조사의 통계조사 기준이 수차례 변경되었다는 한계도 있음. Ⅱ. 연구 주요 내용 ▣ 분석 결과, 파셰방식으로 계산한 우리나라의 2020년 체감물가상승률은 0.66%로 나타나 공식 소비자물가상승률(0.54%)에 비해 0.12%p 높았으며, 코로나19의 영향만을 분리하여 파악하기 위해 전년도인 2019년 소비구성을 기준으로 계산한 연쇄지수상승률(0.48%)과 비교하면 0.18%p 높았음. ㆍ공식 소비자물가지수는 2017년이 기준년이어서 코로나19 이외에도 2017년~2019년 기간 중 소비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요인도 체감물가와의 괴리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코로나19 확산의 영향만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년도 기준인 연쇄지수상승률과 비교하는 것이 타당함. ㆍ 2020년의 체감물가와 연쇄지수 상승률 격차는 1991년 이후 30년 기간 중 가장 커서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선행연구 결과인 0.2~0.6%p와 대체로 부합하는 크기임. ㆍ 다만, 소비품목을 12개의 대분류 기준으로 분석하다 보니 세분류 기준으로 소비비중이 늘어난 품목과 줄어든 품목 간에 코로나19 효과가 상쇄되었을 수 있다는 점에서 본고의 계산 결과는 실제치의 하한에 가깝다고 할 수 있음. ㆍ1997년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과거 금융위기 사례의 경우와 비교해보면 코로나19 위기에서 관측된 체감물가상승률과 연쇄지수상승률 사이의 격차 확대가 경제위기에 일반적으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었다는 점이 확인됨. ▣ 소득분위별로 소비가중치를 달리하여 체감물가상승률을 구해보면 2020년에 저소득층의 소비 비중이 높은 식료품 등의 가격상승이 높았기 때문에 저소득 가계의 체감물가상승률이 고소득 가계보다 높았음. ㆍ 2020년 체감물가상승률은 소득1분위 가계의 경우 1.16%로 공식 소비자물가상승률보다 두 배 이상 높았던 반면 소득5분위 가계는 0.45%에 그쳐 공식 소비자물가상승률보다 다소 낮았는데, 이러한 격차는 Cavallo(2020)이 미국 가계를 대상으로 계산한 결과와 비슷한 수준임. ㆍ코로나19로 인한 소비구성 변화에 따른 체감물가와 연쇄지수의 상승률 격차는 소득분위별로 0.12~0.25%p 범위 안에 머문 반면, 저소득 층의 소비 비중이 이미 컸던 품목의 가격이 코로나19로 상대적으로 더 상승하였던 것이 소득계층별로 체감물가상승률에 차이가 난 주요요인임. ▣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비춰볼 때, 코로나19가 가계 경제에 미친 부정적 영향은 고용 및 소득의 변화만이 아니라 실질 생계비에 영향을 주는 체감물가의 변화까지 포함한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함. ㆍ 특히, 가계가 체감하는 소비지출 부담이라는 측면에서 코로나19가 준 충격이 저소득층에게 더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ㆍ코로나19 위기 기간 중에 상대적으로 피해가 커서 취약해진 저소득층이 앞으로의 회복과정에서 뒤처짐으로써 부문간 격차가 확대되는 “K-자 회복”이 되지 않도록 두터운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DCT를 이용한 차량 번호판 추출 및 문자영역 분리에 관한 연구

        박성욱,황운주,박종욱,Park, Sung-Wook,Hwang, Woon-Joo,Park, Jong-Wook 대한전자공학회 1999 電子工學會論文誌, C Vol.c36 No.1

        본 논문에서는 1-D DCT를 이용한 차량 영상의 번호판 영역 및 번호판의 문자 영역을 효과적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차량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과 번호판의 문자영역은 일정 크기의 고주파 성분에 의하여 구별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이러한 고주파 성분을 DCT로써 추출하고, 추출된 고주파 성분에 의하여 번호판 영역과 문자영역을 분리하는 방법을 보인다. 또한 제안된 방법에 대한 타당성을 보이기 위하여, 다양한 영상에 대해 실험하였다. 그 결과, 간단한 전처리 만으로 비교적 정확한 번호판 영역 추출이 가능하였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문자영역을 분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methods which segment more efficiently the car license plate and the character region by using 1-D DCT. In the car images, a license plate region and a character region of the license plate can be distingushed by the regular high frequency components from the car images. In this method, it is shown that the regular high frequency componets are extracted by using DCT and license plate region is segmented in the car image and the caracter region is then seperated at the extracted license plate by using the previously extracted regular high frequency components. Some experiment results of the various images are shown. It has been shown from the results that the car license plates and the character regions can be segmented more exactly and efficiently than conventional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