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유견문』 1~2편의 전거와 유길준의 세계지리 인식

        서명일(徐明一) 한국역사연구회 2019 역사와 현실 Vol.- No.114

        Despite habitual descriptions such as the first ever Korean student in the United States, Yu Kilchun’s thought reflected in Seoyu gyeonmun (Observations of a journey to the West) has oftentimes been considered as an understanding of Modern knowledge with a ‘Japanese filter,’. In other words, his comments in Seoyu gyeonmun are usually considered as a result of learning about the West not in its original form but with ‘Japanese-translated’ works. A major portion of Seoyu gyeonmun does show translations of Japanese writings, while traces of his own consulting of English-language sources are rather scarce. That led to scholar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his study in U.S. having any sort of real bearing or influence on his thinking as ‘minimal’ or ‘probably’ at best. Yet an extensive examination of all the sources of Yu’s references made in the first and second chapters of Seoyu gyeonmun reveals that Yu Kilchun did consult U.S. High School Geography textbooks at least in his writing on World Geography. Six out of nine parts of Seoyu gyeonmu n’s first two chapters were translation of David Warren’s An Elementary Treatise on Physical Geography. Yu Kilchun studied modern geography using the same textbook alongside U.S. students at Dummer Academy, and apparently integrated the results of his study into the first two chapters of Seoyu gyeonmun. In other words, contents of these two chapters were not a rehash of a Japanese interpretation of the same source. It was a result of Yu’s own seeing, hearing and studying of U.S. contents during his stay in the country. The fact that he translated a textbook at Dummer shows us that his stay in the U.S. not only provided him with an opportunity to hone his English or superficially experience the Western culture, but also prompted him to embrace modern knowledge rather directly, and not using any Japanese proxy or media.

      • 보상업무 선진화를 위한 범국가적인 보상자료 통합 관리방안

        서명배 ( Myoung-bae Seo ),김남곤 ( Nam-go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2

        공익사업 수행시 발생하는 용지보상은 매년 20조원에서 30조원에 이르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반면 각종 규정과 업무절차가 복잡하여 업무처리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에 국토해양부와 같은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도로공사 등 주요 공익사업 사업시행자들은 기관별로 별도의 보상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과학부, 국방부 등 보상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중앙부처가 대부분이고 기 개발되어 있더라도 시스템 활용도가 낮아 보상시스템을 활용한 보상통계자료의 작성 등이 어려워 매년 국가가 취득하는 공공용지 취득실적 및 규모 등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회계시스템과 연계가 되어 있지 않은 시스템이 많아 정확한 보상비 집행실적 추적이 어려워 과세자료 누락으로 인한 세금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 더불어, 과다보상비 책정 및 지급시 이를 체계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전산자료 부재 등으로 보상비 집행의 투명성이 저하될 소지가 있다. 이에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별로 용지보상시스템 사용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을 근간으로 범국가적으로 보상업무를 선진화 할 수 있는 보상자료 통합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건설CALS 완성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이해당사자간 보상자료 공유방안 연구

        서명배(Myoung-Bae Seo),김남곤(Nam-G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7 No.1B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산업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990년대 후반부터 건설사업정보화(CALS : 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cycle Support) 사업을 진행중에 있다. CALS는 제조업의 모든 상품, 즉 주요장비 또는 다양한 상품 등을 획득하기 위한 설계, 생산과정, 또는 보급, 조달 및 이를 운영하는 운용지원과정을 연결시키고, 이들 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표준이라는 공통 창구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상으로 정보를 통합하여 자동화시키는 개념이다. 이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해 상호 교환이 이루어지는 자동화되고 통합된 환경으로 변환시키는 정부와 기업간의 경영전략이라고 볼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서 확장된 건설CALS는 건설공사 전 과정, 즉 기획, 설계, 조달, 시공, 유지보수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교환하고 공유하기 위한 개념으로 출발하였으며, 현재 이를 지원하기 위한 5개의 단위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중에 있다. 이중 용지보상시스템은 건설공사의 업무중에 시공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보상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보상업무는 건설사업 과정 중에서 민원인과 직접대면하는 일이 많고, 액수도 클 뿐만 아니라 개인의 소유권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분쟁의 소지가 매우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상업무 수행시 다양한 이해당사간의 각종 보상자료교환체계 확립을 통한 업무 선진화방안 제시를 통해 업무의 투명성을 최대화하고 민원을 최소화하여, 보상업무 담당자에게는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민원인들에게는 국가행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보상업무 선진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건설CALS와 국가재정정보시스템 연계를 통한 보상비 집행의 투명성 확보 방안

        서명배 ( Myoung-bae Seo ),김남곤 ( Nam-go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1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사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건설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건설기술관리법 제15조의 2에 따라 건설공사지원통합정보체계의 구성·운영에 관한 법률을 마련하고 1998년부터 건설사업정보화(Continuous Acquisition Life-Cycle Support : CALS)를 추진중에 있다. 건설사업정보화의 일환으로 건설공사비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개인의 소유권과 관계되어 있어 민원 소지가 많은 보상자료를 관리하기 위해 용지보상시스템이 기 개발되어 운영중에 있으나 보상비 지출의 핵심과정인 지급단계가 국가재정정보시스템과 별도로 운영중에 있어 체계적인 보상자료 관리 및 보상비 지급의 이력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 지고 있지 않다. 이는 곧 부적절한 보상비 집행으로 인한 국고예산 낭비의 소지가 있고 보상비 집행에 대한 대민 신뢰도 저하로 인해 다수의 소송으로 이어질수 있다. 이에 기존의 보상비 집행업무 프로세스 개선 및 건설CALS 용지보상시스템과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의 연계를 통해 보상비 집행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민원인들에게 대민행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계절상품 판매매출액 시계열의 계절 조정에 관한 연구

        서명,이종태 한국경영과학회 2003 經營 科學 Vol.20 No.1

        The seasonal adjustment is an essential process in analyzing the time series of economy and business. There are various methods to adjust seasonal effect such as moving average, extrapolation, smoothing and X11. One of the powerful adjustment methods is X11-ARIMA Model which is popularly used in Korea. This method was delivered from Canada. However, this model has been developed to be appropriate for Canadian and American environment. Therefore, we need to review whether the X11-ARIMA Model could be used properly in Korea. In this study, we have applied the method to the annual sales of refrigerator sales in A electronic company. We appreciated the adjustment by result analyzing the time series components such as seasonal component, trend-cycle component, and irregular component, with the proposed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비수유성 유두분비에서의 유선조영술의 역할

        서명 대한영상의학회 1988 대한영상의학회지 Vol.24 No.4

        Nipple discharge in non-lactating breast is classified as 2 groups. The first group is stagnation discharge which is determined by an apocrino-like exfoliation and stagnation within the ductal system, The second group is hyperplastic or neoplastic group. The secretory breast disease combined with nipple discharge can not be diagnosed by simple X-ray mam-mography of ultrastonography.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secretory breast disease and for localizagionof le-sions the galactography is ncessory. 1. the most common cause of galatography in non-lactating breat and obtained followign results. (23%) in hyperpiastic discharge group. 2. Hyperplastic discharge group occured most frequently in 5th decade of age and was discovered more fre-quently in fatty parenchymal pattern on simple mamography. 3. The most frequent type of nipple discharge was cloudy-milky type in stagnation group and bloody nature in hyperplastic group. 4. the most common cause of bloody discharge was papilloma (58%) 5. The bloody nipple discharge among 56 cases of breast cancer during 4 years occured only in 5 cases (9%)

      • KCI등재

        유가 몸공부법의 존재 위상

        서명석(Seo, Myoung-Se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0 敎育思想硏究 Vol.24 No.3

        이 글은 율곡의 구용법을 현대적인 공간에서 재평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해 율곡이 성리학의 구도 속에서 그리고자 했던 몸공부의 패러다임은 무엇이고, 이것이 어떤 경로를 따라가면서 구용법과 만나는지를 밝혀 두었다. 그리고 그 접점에서 만나게 되는 성리학에서의 예교, 예학, 그리고 예법의 코드를 판독하는 행로를 만들었다. 요즈음 아이들이 몸공부가 미진하다 보니 학교에서 발생되는 온갖 비례와 무례의 일상화, 그리고 아이들의 욕설과 폭력이 도를 넘는 실상은 일정 부분 아이들이 예를 통한 몸의 규율에 실패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그렇다면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략으로 율곡의 구용법은 교육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겠다. 그래서 실제 교육의 사태에서 쉽게 응용 가능한 구용법의 몇 가지 실천방안도 여기에 아울러 제시해 두었다. 앞으로의 문제는 교육 실천가들이 구용법을 어떻게 교육적으로 적용할 것인가가 관건이다. This paper is to study Lee Yulgok’s theory of SuSin[修身]. It is also called as SoHak[小學] or YeHak[禮學]. This theory is about the system of setting the body in order. It starts with thinking about the best ways to accomplish children’s first propriety. Another name of this is MomGongBu[몸工夫], which designs precepts of self-discipline. Yulgok’s education was carried out on a wide variety of Confucian topics. Above all, how to take care of Mom[몸] is the integrated set of the nine rules of self-propriety[九容法]. The nine rules of self-propriety is the text that he had studied and expounded its meaning from self-cultivation. I found out that the curriculum of the nine rules of self-propriety[九容法] has been better organized to teach children. Keeping this in mind, we can be upgraded by performing the rites of nine propriety. This Elementary Studies[小學] is mainly based on Little Sage[小之聖人]. This Yulgok’s perspective will be certainly impressed and will make the opportunity to have the returning point in our lives.

      • KCI등재후보

        확정과 불확정의 이중구조로 본 아동본질에 대한 탐구

        서명석(Seo, Myoung Se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3

        아동의 본질은 무엇인가? 이것을 논구하는 것이 이 글이 가려는 최종 목적지이다. 그러기 위해서 본질을 논의하는 마당에 진입하기 전에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유사개념들을 자연, 실재, 실체, 정수라는 것들로 묶어둔다. 이것들 모두는 본질을 축으로 하여 돌아가는 개념망의 유기적 소통 안에 어떤 자리-잡음이다. 그런 다음 본질의 성립조건을 보편자와 특수자의 상호 대비를 통하여 검토해 놓고 그 결과 보편 안에서 본질이 성립하는 가능근거를 되밝혀 놓는다. 이를 토대로 하여 아동본질을 새롭게 축성하는 인식틀을 부채와 부챗살의 비유로 상정한 후, 이것으로 아동본질의 근원적 존재방식임을 논리적으로 해명하는 길을 열어둔다. 이 도정에서 스피노자와 라이프니츠의 사유방식에 도움을 청하고, 이들이 보여주는 사유방식을 가지고 아동본질을 읽어내는 결정적 문제틀로 삼는다. 그것은 이런 것이다. 즉, 아동본질이란 본질이라는 실체로 보면 하나인데 실체가 드러내주는 양상으로 보면 다수라는 입장이다. 이것을 여기에다는 아동본질을 둘러싼 확정적 본질관과 불확정적 본질관의 공시적 존재가능성의 차원으로 승격시킨다. 이런 본질관은 아동본질에 대한 논의를 둘러싼 기존의 확정적 본질관과 비확정적 본질관을 동시에 해체하며 아동본질관의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줄 것이다. What is nature of children? David Hume said as follows in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The table, which we see, seems to diminish, as we remove farther from it: But the real table, which exists independent of us, suffers no alteration: It was, therefore, nothing but its image, which was present to the mind.” Admittedly, nature of children is not form but real. Turning to the setting of the argument, “children are Spinozaite.” This sentence is the philosophy of the hermeneutical turn described as deconstruction of previous interpretation of children. For this reason I pay attention to the double images which arises from the Nature of natures of children. The term ‘appearances’ of the Nature of natures which children have takes strong visual connotations. The defining interpretation of this premise is being implicitly contrasted with certain lens to nature of children, that is, natal determinism and environmental determinism which are placed nature of children. But the other lens in this article involves not only the defining interpretation but also the non-defining interpretation that are emerged the nature of natures. Now, we can say on nature of children: “Nowhere but everywhere.” This argument tries to drive a wedge to the objectionable argument undermined by ‘the proper stance of s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